네이버·다음 중국어사전, 김치 검색하면 '파오차이' 뜬다

왕길환 2021. 7. 8. 11:05
자동요약 기사 제목과 주요 문장을 기반으로 자동요약한 결과입니다.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사이버 외교 사절단 반크는 포털사이트 네이버와 다음의 중국어 사전에서 김치를 검색하면 중국어 표기인 '파오차이'(泡菜) 로 나온다고 8일 밝혔다.

박기태 반크 단장은 "중국어를 공부하는 학생들이 단어를 찾아볼 때 대부분 인터넷 사전을 사용하고 있고, 그곳에 나온 단어가 당연히 맞을 것으로 단정하고 학습한다"며 "김치가 파오차이로 소개된다면 학생들은 맞는 표기로 간주할 것이기에 이런 오역은 반드시 시정해야 한다"고 밝혔다.

음성재생 설정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네이버 중국어사전에서 김치는 '파오차이'로 나온다 [네이버 검색 결과 캡처]

(서울=연합뉴스) 왕길환 기자 = 사이버 외교 사절단 반크는 포털사이트 네이버와 다음의 중국어 사전에서 김치를 검색하면 중국어 표기인 '파오차이'(泡菜) 로 나온다고 8일 밝혔다.

네이버 중국어 사전을 방문해 한글로 '김치'를 검색하면 가장 먼저 '泡菜'가 뜨고, 연관 검색어로 김치찌개(泡菜湯), 열무김치(小夢卜泡菜) 등의 단어가 나온다.

다음에서도 김치를 파오차이로 번역했다. 특히 '어머니는 김치를 담기 위해 갖은양념을 준비했다', '김치를 맛있게 담그는 비결을 좀 알려주세요', '김치가 잘 익어서 먹기 좋다' 등 여러 사례에서는 대부분 '파오차이'로 썼다.

반면 두 사이트의 영어사전에서는 뜻과 관련어, 예문에서 모두 고유명사인 'kimchi'라고 표기했다.

파오차이는 중국 쓰촨(四川)성의 절임 채소를 뜻하며 제조 공정과 발효 단계 등이 한국의 김치와는 전혀 다른 식품이다. 하지만 중국은 김치를 '한궈 파오차이'(韓國 泡菜)'라 부르는가 하면 "김치가 중국의 음식이고, 기원"이라고 왜곡하고 있다.

또 중국은 '파오차이'를 국제표준으로 정하면서 "한국 김치도 파오차이에 해당하므로 이젠 우리가 김치산업의 세계 표준"이라는 주장을 펼치고 있다.

박기태 반크 단장은 "중국어를 공부하는 학생들이 단어를 찾아볼 때 대부분 인터넷 사전을 사용하고 있고, 그곳에 나온 단어가 당연히 맞을 것으로 단정하고 학습한다"며 "김치가 파오차이로 소개된다면 학생들은 맞는 표기로 간주할 것이기에 이런 오역은 반드시 시정해야 한다"고 밝혔다.

반크는 네이버와 다음에 중국어 사전 속 김치와 관련 잘못된 표기를 2013년 농림축산식품부가 제정한 김치의 중국어 표기인 '신치'(辛奇)로 바꾸거나 고유명사 그대로 수정할 것을 요청했다.

다음 중국어 사전에 나오는 김치의 예문 대부분 '파오차이'로 쓰고 있다.[다음 중국어사전 검색후 캡처]

ghwang@yna.co.kr

☞ 코로나19 무섭게 퍼지는데…수천명 모이는 트롯 공연 괜찮을까
☞ 홍준표 "무상연애에 쥴리까지…프리섹스 미국서도 치명상"
☞ 한겨울 5살 딸 전남편 회사 앞에 13시간 세워둔 엄마
☞ 길 건너던 20대 치어 숨지게 하고는 "재수 없어" 되레 큰소리
☞ 수십만 원까지 부르는 게 값…백신 안 맞으려 이렇게까지
☞ 4살 딸 유치원 보내던 엄마 치어 사망…운전자 혐의 인정
☞ "딱지 왜 붙여" 아파트 주차장 막은 주민 벌금 150만원
☞ 대깨문 깨고 박정희 격찬…송영길 '금기파괴' 어디까지
☞ 침대 옆에 변기…무서운 집값에 등장한 '초소형 원룸'
☞ 경복궁서 정화기능 갖춘 150년전 공중화장실 유적 나왔다

▶연합뉴스 앱 지금 바로 다운받기~

<저작권자(c) 연합뉴스, 무단 전재-재배포 금지>

Copyright © 연합뉴스. 무단전재 -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