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0대 '혈소판 감소성 혈전증' 사망, 백신 인과성 인정..국내 '첫 사례'

서지민 디지털팀 기자 2021. 6. 21. 16:49
자동요약 기사 제목과 주요 문장을 기반으로 자동요약한 결과입니다.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코로나19 백신 접종 이후 희귀 혈전증으로 사망한 30대 남성에 대해 당국이 국내에서 처음으로 접종 인과성을 인정했다.

그 결과 '혈소판 감소성 혈전증' 진단을 받고 사망한 사례 1건과 관련해 백신 접종 간의 인과성이 인정된다고 판단했다.

백신 접종과 사망 간의 인과성이 공식 인정된 것은 지난 2월26일 백신 접종 시작 이후 이번이 처음이다.

음성재생 설정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지난달 27일 AZ 백신 접종 받고 열흘 후에 두통 심해져 치료
혈전증, 접종 후 4~28일 내 발생..증상 숙지해야

(시사저널=서지민 디지털팀 기자)

5월3일 서울 용산구보건소에서 의료진이 아스트라제네카(AZ) 백신 접종을 준비하고 있다. ⓒ연합뉴스

코로나19 백신 접종 이후 희귀 혈전증으로 사망한 30대 남성에 대해 당국이 국내에서 처음으로 접종 인과성을 인정했다.

21일 코로나19 예방접종대응추진단에 따르면, 예방접종피해조사반은 지난 16일과 18일 제17·18차 회의를 열고 이상반응 신고 사례를 검토했다. 그 결과 '혈소판 감소성 혈전증' 진단을 받고 사망한 사례 1건과 관련해 백신 접종 간의 인과성이 인정된다고 판단했다. 백신 접종과 사망 간의 인과성이 공식 인정된 것은 지난 2월26일 백신 접종 시작 이후 이번이 처음이다.

추진단에 따르면, 해당 남성은 지난달 27일 아스트라제네카 잔여 백신을 접종 받았다. 그 후 열흘이 지난 6월5일 심한 두통과 구토 등의 증상을 느껴 의료기관을 찾았다. 그러나 진료를 받은 이후 의식저하까지 나타나면서 이달 8일부터 상급병원에서 치료를 받다가 지난 16일 결국 사망했다.

혈소판 감소성 혈전증은 '바이러스 벡터' 계열의 AZ나 얀센 백신을 맞은 뒤 발생할 수 있는 부작용 중 하나다. 매우 드물게 발병하나 다른 연령대보다 젊은 층에 혈전증이 발생률이 높은 것으로 나타나, 국내에서는 30대 미만에게 AZ 백신 접종을 금지하고 있다. 

혈전증은 혈관 속에서 피가 굳어진 덩어리로 인해 발생하는 질환이다. 이중 희귀 혈전증은 일반 혈전과는 다르게 뇌정맥동과 내장정맥 등에 생긴다. 특히 백신 접종으로 인한 희귀 혈전증은 접종 후 4~28일 사이에 발생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질병관리청에 따르면 백신 접종 후 혈전증 의심 증상은 ▲진통제 효과가 없는 지속적이고 심한 두통 ▲국소 신경학적 증상 ▲발작 ▲흐릿한 시력 ▲흉통 ▲호흡곤란 ▲복통 ▲사지의 부종·발적·창백 ▲접종 부위가 아닌 위치에 생긴 멍이나 자반 ▲소혈종, 비정상적인 출혈 등이다. 이런 증상이 발생했다면 즉시 병원으로 가야 한다.
 

※ 전문가들은 백신 접종이 가지고 오는 이익이 잠재적인 피해를 압도한다며 적극적인 접종을 권장하고 있습니다. 

6월21일 0시 기준 코로나 확진자는 15만1506명이며, 이 중 2004명이 사망했습니다. 코로나 확진자의 1.32%가 사망했습니다. 같은 시간 백신 접종자는 1차 접종 기준 1501만4819명이며, 사망 이상반응 신고 건수는 6월12일까지 238건 접수됐습니다. 인과관계를 고려하지 않아도 백신 접종자의 0.001%가 사망한 셈입니다.

Copyright ⓒ 시사저널(http://www.sisajournal.com).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Copyright © 시사저널.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