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내에 기록 없던 흰꼬리유리딱새, 흑산도에서 첫 발견

김은경 2021. 5. 11. 06:01
자동요약 기사 제목과 주요 문장을 기반으로 자동요약한 결과입니다.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환경부 산하 국립공원공단은 다도해해상국립공원 생물자원 조사 중에 그동안 국내에 기록이 없었던 미기록종 '흰꼬리유리딱새(가칭)'를 발견했다고 11일 밝혔다.

이번에 관찰된 흰꼬리유리딱새는 1개체로, 지난달 20일 조류연구센터 모니터링 중 다도해해상국립공원 전남 신안군 흑산면에 위치한 암동마을에서 발견됐다.

음성재생 설정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국립공원공단, 분포지 벗어난 '길 잃은 새'로 추정..미기록종 조류 25종 찾아내
흰꼬리유리딱새 [국립공원공단 제공. 재판매 및 DB 금지]

(서울=연합뉴스) 김은경 기자 = 환경부 산하 국립공원공단은 다도해해상국립공원 생물자원 조사 중에 그동안 국내에 기록이 없었던 미기록종 '흰꼬리유리딱새(가칭)'를 발견했다고 11일 밝혔다.

흰꼬리유리딱새(영명 White-tailed Robin·학명 Myiomela leucura)는 크기 17∼19㎝의 솔딱새과의 소형 조류로, 인도 북동부에서 중국 중부, 미얀마 남부, 말레이시아 반도, 인도차이나반도 중부, 대만, 하이난섬 등지에서 서식하는 텃새다.

이번에 관찰된 흰꼬리유리딱새는 1개체로, 지난달 20일 조류연구센터 모니터링 중 다도해해상국립공원 전남 신안군 흑산면에 위치한 암동마을에서 발견됐다.

연구진은 이번에 발견된 흰꼬리유리딱새를 기존 분포지에서 벗어난 '길 잃은 새(미조)'로 판단했다.

조류연구센터는 2003년부터 현재까지 이번 '흰꼬리유리딱새'를 포함해 긴다리사막딱새 등 총 25종의 국내 미기록종 조류를 찾아냈다.

최승운 국립공원연구원장은 "동아시아 철새 이동에 있어서 다도해해상국립공원 흑산도·홍도 지역의 중요성을 다시 한번 확인할 수 있는 사례"라며 "국립공원의 철새 중간 기착지 관리와 보호를 위해 최선을 다하겠다"고 밝혔다.

bookmania@yna.co.kr

☞ 박신영 아나운서, 오토바이와 교통사고…"유족분께 사과"
☞ 故손정민씨 친구 9시간 조사…휴대전화 속 '골든' 밝혀져
☞ 고객 휴대폰 자료 옮기다 성관계 동영상 발견하고는…
☞ 앗! 실수…20대 여성에 화이자 백신 6회분 한번에 주입
☞ '심봤다' 63㎝ 역대급 천종산삼 발견…감정가격 '깜짝'
☞ 유서 남기고 베란다서 춤을? 중국 여성 추락 미스터리
☞ 손준호·신성록·전동석도 박세리에 이어 코로나 완치
☞ 칫솔엔 락스·녹음기엔 "왜 안죽지"…아내가 날 노린다
☞ 성남 화재현장 출동하던 소방차 전도…소방관 1명 사망
☞ "평범한 일상들이…" 박세리, 코로나19 확진 그 후

▶연합뉴스 앱 지금 바로 다운받기~

<저작권자(c) 연합뉴스, 무단 전재-재배포 금지>

Copyright © 연합뉴스. 무단전재 -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