역대 지방선거 결과는?..잠시 후 MBN 출구조사 결과 발표

2021. 4. 7. 20:11
음성재생 설정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 앵커멘트 】 최근 지방선거 결과는 어땠는지, 이번 선거 흐름은 어떨지 정치부 선한빛 기자가 짚어드리겠습니다.

【 기자 】 먼저 가장 가까운 지방선거였던 2018년 결과부터 보시죠.

"2018, 민주당 싹쓸이"(CG)

서울부터 볼까요.

민주당 박원순 후보가 52.79% 자유한국당 김문수 후보가 23.34%로 박원순 서울시장이 탄생했었습니다.

득표율을 색으로 표시해봤는데요.

서울 내 지역 전체가 다 파란색으로 도배돼있습니다.

강남 일부 지역을 제외하고 모두 진한 파란색을 보이고 있죠.

종로구에서 박원순 후보가 51.37% 김문수 후보가 23.44%

강서구에서는 박원순 후보가 56.1% 김문수 후보가 21.52%

이번엔 강동을 보겠습니다,

박원순 후보가 52.74% 김문수 후보가 24.98%로 거의 두 배 가량 차이가 났습니다.

상대적으로 파란색이 옅은 지역 볼까요?

보수색채가 상대적으로 더 강한 지역구들인데요.

강남구에서 박원순 후보가 40.82% 김문수 후보가 33.07%

용산구에서 47.06% 김문수 후보가 27.09%로 이곳들마저 모두 박 후보가 가져가면서 시장에 당선됐습니다.

부산도 서울과 크게 다르지 않았습니다.

최종 득표율은 오거돈 후보가 55.23%로 서병수 후보 37.16%를 크게 이겼는데요.

역시 서울과 마찬가지로 부산 내 모든 지역에서 오 후보가 서 후보를 눌렀습니다.

두번째로는 오세훈 후보가 등판했었던 두번의 선거 결과가 어땠는지 볼까요.

"33.74%"(2006) "0.6%"(2010) (CG)

2006년, 2010년 모두 오 후보가 이겼는데 상대 후보와의 차이가 이렇게 나왔습니다.

오 후보가 크게 이긴 2006년부터 보겠습니다.

이번에는 서울 전역이 빨간색 물결이네요.

오 후보가 열린우리당 강금실 후보, 민주당 박주선 후보를 서울 내 모든 지역에서 큰 차이로 이겼습니다.

오 후보가 강남구에서는 무려 74%를 얻었고요, 득표율이 가장 낮았던 관악구에서도 50%를 넘겼네요.

2010년 볼까요.

초박빙이었습니다.

오 후보가 한명숙 민주당 후보를 0.6%p 불과 2만6천여표 차이로 이겼습니다.

민주당 전통 강세지역인 구로, 금천구에서는 한 후보가 5~6%가량 앞섰고요, 서초 강남에서는 오 후보가 20%이상 차이를 벌리며 이겼습니다.

마지막으로 저희 MBN이 지난 2월부터 세차례에 걸쳐 실시했던 이번 선거의 여론조사 추세 보겠습니다.

먼저 서울을 보면,

야권후보 단일화 전이었죠 1차 때는 박영선 39.5% 오세훈 27.0%였습니다.

단일화이 이뤄진 날 실시된 2차에서는 박영선 25%, 오세훈 46%로 차이가 나더니

3차에서는 박영선 32.5% 오세훈 60.1%로 차이가 더 벌어졌습니다.

부산은 1차 때는 김영춘 28.2% 박형준 40.8%

2차 때는 김영춘 29.3% 박형준 58.8%

3차 때는 김영춘 34.5% 박형준 56.7%

박 후보가 김 후보를 계속 20%p 넘는 차이로 앞서왔습니다.

과연 오늘 결과는 어떻게 나올지, 투표가 종료되고 8시15분에 ARS출구조사로 결과를 예측해보겠습니다.

잠시 후 다시 뵙겠습니다.

Copyright © MBN. 무단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