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똑똑 우리말] 음운의 축약/오명숙 어문부장

오명숙 2021. 3. 18. 05:08
자동요약 기사 제목과 주요 문장을 기반으로 자동요약한 결과입니다.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축약은 두 음운이 하나로 합쳐지거나 두 음절이 한 음절로 줄어드는 것으로 국어의 4가지 음운 변동 중 하나이다.

'모음 축약'은 두 개의 모음이 만나 하나의 모음으로 변하는 것을 말한다.

한데 이 모음 축약에서의 잘못된 쓰임을 종종 볼 수 있다.

얼핏 '바뀌+어→바껴', '바뀌+었다→바꼈다'로 줄어들 것 같지만 '바뀌어', '바뀌었다' 형태 그대로 써야 한다.

음성재생 설정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축약은 두 음운이 하나로 합쳐지거나 두 음절이 한 음절로 줄어드는 것으로 국어의 4가지 음운 변동 중 하나이다.

‘자음 축약’은 예사소리인 ‘ㄱ, ㄷ, ㅂ, ㅈ’이 ‘ㅎ’을 만나 거센소리인 ‘ㅋ, ㅌ, ㅍ, ㅊ’으로 바뀌는 현상으로 ‘좋+고→조코’, ‘잡+히다→자피다’ 등에서 일어난다. 자음 축약은 발음상으로만 나타날 뿐 표기가 변하는 건 아니다. ‘모음 축약’은 두 개의 모음이 만나 하나의 모음으로 변하는 것을 말한다. ‘사이→새’처럼 두 개의 단모음이 합쳐져 단모음이 되거나(간음화) ‘그리어→그려’처럼 단모음 둘이 줄어 이중모음이 되는 것 등이다. 모음 축약은 표기로도 나타난다. 한데 이 모음 축약에서의 잘못된 쓰임을 종종 볼 수 있다.

대표적인 예가 ‘바뀌다’이다. ‘바뀌다’는 ‘바꾸이다’의 준말로 더이상 줄어들지 않는다. 얼핏 ‘바뀌+어→바껴’, ‘바뀌+었다→바꼈다’로 줄어들 것 같지만 ‘바뀌어’, ‘바뀌었다’ 형태 그대로 써야 한다. 한글맞춤법엔 여러 가지 준말 규정이 있으나 모음 ‘ㅟ’ 다음에 ‘ㅓ’가 올 때 줄이는 방식은 나와 있지 않다. 이를 표기할 수 있는 모음이 없기 때문이다. 모음끼리 어울려 ‘ㅕ’로 바뀌는 것은 ‘ㅣ’ 뒤에 ‘-어’가 결합할 때다. ‘견디어→견뎌’, ‘다니어→다녀’, ‘막히어→막혀’와 같은 경우다.

바뀌다와 비슷한 예로 ‘사귀다’, ‘할퀴다’, ‘뀌다’도 ‘사겨/사겼다’, ‘할켜/할켰다’, ‘껴/꼈다’로 줄여 쓰는 경우가 많다. ‘사귀어/사귀었다’, ‘할퀴어/할퀴었다’, ‘뀌어/뀌었다’가 올바른 활용이다.

oms30@seoul.co.kr

▶ 밀리터리 인사이드 - 저작권자 ⓒ 서울신문사 -

Copyright © 서울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