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16년전 한인들 상륙한 멕시코 프로그레소에 기념동판 설치

고미혜 2021. 3. 17. 16:48
자동요약 기사 제목과 주요 문장을 기반으로 자동요약한 결과입니다.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지금으로부터 116년 전인 1905년 5월 멕시코 한인 1세대 1천여 명이 발을 디딘 멕시코 프로그레소에 이들의 자취를 기리는 동판이 설치됐다.

주멕시코 한국대사관과 프로그레소시(市)는 16일(현지시간) 멕시코 동부 유카탄주 프로그레소 시청사에서 한인 도착 기념 동판 제막식을 열었다.

프로그레소항에 도착한 한인이 정확히 몇 명이었는지는 기록마다 차이가 있지만, 당시 공문서 등에 따르면 살리나크루스에 처음 상륙한 이들보다 적은 1천14∼1천19명으로 추정된다.

음성재생 설정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1905년 1세대 한인 1천여명 도착한 항구.."멕시코 한인 이민사 명소 되길"
116년 전 한인들 상륙한 멕시코 프로그레소에 기념동판 설치 (프로그레소[멕시코 유카탄주]=연합뉴스) 고미혜 특파원 = 서정인 주멕시코 한국대사(오른쪽)와 훌리안 사카리아스 쿠리 멕시코 프로그레소 시장이 16일(현지시간) 프로그레소 시청사에서 1905년 한인들의 도착을 기리는 기념 동판을 제막했다. 2021.3.17. mihye@yna.co.kr

(프로그레소[멕시코 유카탄주]=연합뉴스) 고미혜 특파원 = 지금으로부터 116년 전인 1905년 5월 멕시코 한인 1세대 1천여 명이 발을 디딘 멕시코 프로그레소에 이들의 자취를 기리는 동판이 설치됐다.

주멕시코 한국대사관과 프로그레소시(市)는 16일(현지시간) 멕시코 동부 유카탄주 프로그레소 시청사에서 한인 도착 기념 동판 제막식을 열었다.

서정인 주멕시코 대사와 훌리안 사카리아스 쿠리 프로그레소 시장, 그리고 이르빙 리 멕시코·쿠바 한인후손총연합회 회장을 비롯한 유카탄주의 한인 후손들이 자리했다.

항구도시 프로그레소는 멕시코 1세대 한인들에게는 '고향'과도 같은 곳이다.

당시 황성신문에 실린 멕시코 에네켄(용설란의 일종) 농장 한인 노동자 모집 광고를 보고 전국에서 모인 1천33명이 영국 선박 일포드호를 타고 1905년 4월 4일 제물포항을 떠나 먼 '묵서가'(墨西哥·멕시코)로 향했다.

한 달을 훌쩍 넘긴 험난한 항해 도중 3명이 숨지고 아기 1명이 태어나 1천31명이 멕시코 살리나크루스항에 상륙했고, 이들이 다시 기차와 배를 타고 도착한 최종 목적지가 바로 프로그레소항이었다.

프로그레소항에 도착한 한인이 정확히 몇 명이었는지는 기록마다 차이가 있지만, 당시 공문서 등에 따르면 살리나크루스에 처음 상륙한 이들보다 적은 1천14∼1천19명으로 추정된다.

프로그레소 항구의 옛날 선착장 [연합뉴스 자료사진]

이들은 항구에서 내려 프로그레소 시청까지 걸어간 후 그곳에서 신체검사를 받고, 인근 여러 에네켄 농장으로 흩어졌다.

에네켄 농장에서 열악한 대우를 받으며 강도 높은 노동을 해야 했던 한인들은 어려운 상황 속에서도 일제 치하로 들어간 고국의 독립을 위해 멀리서 힘을 보태기도 했다.

현재는 이들의 후손 3만여 명이 멕시코 전역에 거주하고 있다. 1세대 이민자 중 일부는 이웃 쿠바로 재이민해 뿌리를 내렸다.

서정인 대사는 이날 제막식에서 한인들이 어려움 속에서 고국의 독립을 위해 힘썼던 사실을 상기시키며, 쿠바 한인 이민 100주년이기도 한 올해 설치된 이번 동판이 한인 정착의 역사를 되새길 수 있는 중요한 기념물이라고 의미를 부여했다.

사카리아스 시장은 "내가 만난 한인 후손들은 모두 매우 근면하고 노력하는 이들이었다"며 한인 이민사가 담긴 프로그레소가 역사적 명소가 되길 기대했다.

멕시코 국민이지만 한국의 뿌리를 잊지 않고 사는 한인 후손들도 조상들의 자취가 시청사에 새겨진 것에 감격을 표시했다.

독립운동가 이종오 선생의 후손이기도 한 한인 3세 율리세스 박은 제막식을 지켜보며 "우리 조상들이 이곳에 처음 도착해 낯선 음식과 날씨, 거친 노동 등으로 겪었을 고난이 생각나 뭉클했다"고 말했다.

mihye@yna.co.kr

☞ 기성용 측 "성폭력 증거 내놔라"…PD수첩 비판도
☞ 묘지서 꽃 팔아 뒷바라지한 옥스퍼드생 딸의 충격반전
☞ 中귀화 최근 결심했다더니…임효준, 9개월 전 이미
☞ "애 낳은적 없다"…구미 여아 친모 뭐가 그리 억울할까
☞ '남성 성전환' 엘리엇 페이지, 유방 제거 사실도 공개
☞ "동거남에 복수하려고" 8살 딸 살해 엄마의 담담한 고백
☞ '고향에 나무 심으러 갔다가'…정광수 전 산림청장 별세
☞ 술잔 기울이고 화해한 에릭·김동완…신화 지킨다
☞ "벌금만 물것" 조롱한 여배우 스토커, 징역 2년 실형
☞ 박원순 피해자 "고인이 살아서 방어권 행사했다면…"

▶연합뉴스 앱 지금 바로 다운받기~

<저작권자(c) 연합뉴스, 무단 전재-재배포 금지>

Copyright © 연합뉴스. 무단전재 -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