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럽 3대 등산화/잠발란] '3代 가족경영'이 만든 명품

글 손수원 기자 2021. 3. 8. 10:13
자동요약 기사 제목과 주요 문장을 기반으로 자동요약한 결과입니다.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잠발란Zamberlan'은 '장인정신'이라는 말에 가장 어울리는 등산화다.

잠발란은 1929년, 돌로미티Dolomite와 인접한 이탈리아 북동부 베네토Veneto주 스키오Schio마을의 신발수리공 주세페 잠발란Giuseppe Zamberlan에 의해 탄생했다.

등산가이기도 했던 주세페 잠발란은 돌로미티 일대의 등반 문화가 활성화되면서 등산화 수요가 늘어나는 점에 주목하고 등산화 수리에서 생산으로 업종을 바꾸었다.

음성재생 설정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잠발란의 역사는 3대를 이어 계속되고 있다.
‘잠발란Zamberlan’은 ‘장인정신’이라는 말에 가장 어울리는 등산화다. 잠발란은 1929년, 돌로미티Dolomite와 인접한 이탈리아 북동부 베네토Veneto주 스키오Schio마을의 신발수리공 주세페 잠발란Giuseppe Zamberlan에 의해 탄생했다.
이탈리아와 스위스, 프랑스, 오스트리아가 경계를 이루는 알프스 돌로미티는 험난한 절벽으로 이루어진 산악지대로 알피니즘과 같은 등반 문화가 발달했다. 때문에 이탈리아 북부에서 유명 등산화 브랜드가 많이 탄생했다. 하지만 90년 넘는 세월 동안 3대째 가족경영을 하고 있는 브랜드는 잠발란이 유일하다.
등산가이기도 했던 주세페 잠발란은 돌로미티 일대의 등반 문화가 활성화되면서 등산화 수요가 늘어나는 점에 주목하고 등산화 수리에서 생산으로 업종을 바꾸었다. 당시 등산화의 가죽 바닥창은 눈이나 얼음 위에서 미끄러지기 일쑤였고 거친 땅에선 금방 닳았다.
1 쇠징을 박은 밑창을 사용한 옛 잠발란 등산화. 2,3 잠발란을 창업한 주세페 잠발란의 모습. 4 잠발란은 90년 넘는 세월 동안 장인의 손길을 거쳐 등산화 만들기를 고집한다.
고민 끝에 그는 가죽 밑창에 쇠징을 박은 등산화를 만들었다. 하지만 만족스럽다고는 할 수 없었다. 한 켤레의 무게가 3㎏에 달했고, 쇠징을 박느라 생긴 구멍으로 물이 스며들었다. 주세페 잠발란은 친구이자 고무창을 개발하던 ‘비브람Vibram’의 창업자 비탈레 브라마니Vitale Bramani와 함께 연구에 몰두했고, 결국 가죽보다 가볍고 바위에서 잘 미끄러지지 않는 고무창을 만들어 냈다. 고무 밑창을 덧댄 세계 최초의 등산화는 그렇게 탄생했다.
주세페 잠발란의 열정은 그의 아들이자 2대 CEO인 에밀리오 잠발란Emilio Zamberlan에게 고스란히 전해졌다. 에밀리오는 아버지가 개발한 기술력을 바탕으로 해외시장으로 사업을 확장한다. 그리고 잠발란의 역사는 주세페 잠발란의 손자인 3대 CEO 마르코 잠발란Marco Zamberlandl으로 이어진다. 그는 돌로미티를 필드 삼아 다양한 용도의 등산화를 개발하며 잠발란의 혁신을 추구했다.
‘차이를 발견하다’
잠발란의 캐치프레이즈는 ‘Discover the Difference차이를 발견하다’이다. 92년 동안 쌓아온 노하우와 기술력에 자신감이 묻어 있는 문구다. 잠발란이라는 브랜드의 정체성은 크게 세 가지로 압축된다. 첫째는 독보적인 가족경영, 둘째는 차별화된 품질, 셋째는 메이드 인 이탈리아Made in Italy이다.
잠발란은 등산화를 대충 만들어 많이 팔기 위해 존재하는 브랜드가 아니다. 그들은 최고 품질의 등산화 만들기에 사활을 건다. 오랜 세월 100% 수작업 공정을 고집해 왔고, 타 업체가 해외 생산에 눈을 돌릴 때도 여전히 전 공정의 60% 수준을 장인의 손으로 작업한다.

잠발란 본사에서 일하는 약 50명의 직원들은 최소 3년 6개월간 1:1 교육을 받은 후에야 홀로 작업할 수 있는 자격이 주어진다. 조작법을 배우는 데는 한 달 정도 걸리지만, 숙련공이 되려면 짧게는 5년에서 길게는 10년까지 걸린다.
※ '본 기사는 월간산 3월호에 실린 기사입니다'

- Copyright ⓒ 조선일보 & Chosun.com -

Copyright © 월간산.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