헷갈리는 플라스틱 용어 ⑤ 환경 호르몬 없는 HDPE [우리가 몰랐던 과학 이야기] (178)

황계식 2021. 2. 15. 14:30
자동요약 기사 제목과 주요 문장을 기반으로 자동요약한 결과입니다.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플라스틱은 겉으로 보기에 비슷해 보여 같은 소재라고 여겨지는 제품이 적잖지만, 막상 제품 아랫부분을 살펴보면 종류가 다른 것을 알 수 있습니다.

이와 달리 HDPE는 단단하고 불투명한 소재로, 어린이 장난감과 우유병, 식품 및 화장품 용기(사진), 산업용 파이프, 폐기물용 봉투 등 가벼우면서도 내구성이 우수한 제품에 이용되고 있습니다.

HDPE를 이용하면 적정한 힘으로 병뚜껑을 열 수 있을 뿐 아니라 맛에 대한 안정성도 우수해 대부분의 음료수 병뚜껑 소재로 사용되고 있습니다.

음성재생 설정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플라스틱은 겉으로 보기에 비슷해 보여 같은 소재라고 여겨지는 제품이 적잖지만, 막상 제품 아랫부분을 살펴보면 종류가 다른 것을 알 수 있습니다. 대표적인 게 음료병으로 자주 사용되는 페트(PET·Polyethylene terephthalate·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와 HDPE(고밀도 폴리에틸렌·High Density Polyethylene)인데요. 

페트병은 금방 알 수 있지만, HDPE는 왠지 낯설게 느껴질 거에요. 우리 생활에서 자주 쓰이지만 헷갈리는 플라스틱 용어 다섯번째 이야기로 HDPE를 소개하겠습니다.

◆HDPE, LDPE랑 어떻게 다를까?
 
헷갈리는 플라스틱 용어 네번째 이야기에서 LDPE(저밀도 폴리에틸렌·Low Density Polyethylene)를 소개했었죠. HDPE도 LDPE와 마찬가지로 폴리에틸렌(PE) 중 하나로, 밀도가 상대적으로 높습니다. 

LDPE는 밀도가 낮아 비닐과 필름, 코팅재 등의 부드럽고 말캉한 소재의 플라스틱을 만들 수 있습니다. 

이와 달리 HDPE는 단단하고 불투명한 소재로, 어린이 장난감과 우유병, 식품 및 화장품 용기(사진), 산업용 파이프, 폐기물용 봉투 등 가벼우면서도 내구성이 우수한 제품에 이용되고 있습니다.

◆HDPE 특징
 
HDPE는 내화학성이 우수해 강력한 산화제, 산·염기 및 유기용제의 부식과 용해에 견딜 수 있으며, 뛰어난 내후성(각종 기후에 견디는 성질)에 힘입어 녹이 슬지 않습니다.
내수압성도 좋아 수도용 송·배수관과 급수관, 소화전용 파이프(사진) 등으로 활용됩니다. 
 
비흡습성과 방습성으로 습기를 방지하고 뛰어난 위생성과 무독성, 무취까지 더해 식품 포장재로 각광받고 있습니다. 영하 40도의 저온에서도 우수한 내충격성을 자랑하는 특징으로 냉장고에 보관하기 용이하며, 내열온도는 90∼120도로 전자 레인지 용기(사진)로도 적합니다. 

특히 인체에 유해한 화학성분을 배출하지 않고 독성이 없어 식품용기와 어린이 장난감으로 사용되는 친환경 플라스틱으로 알려져 있습니다.

◆병은 PET, 뚜껑은 HDPE!
 
우리가 물을 마실 때 자주 쓰는 페트병(사진)의 병 부분은 페트 소재지만, 뚜껑은 HDPE입니다. HDPE는 외부로부터 산소를 차단하는 밀봉성이 뛰어난 데다 알루미늄 소재 뚜껑 대비 가볍고 부식성이 없습니다. 고온 살균이 필요한 음료를 생산할 때 필요한 높은 내열성도 지니고 있습니다. 

병뚜껑은 음료가 밖으로 나오지 않도록 하는 밀봉력도 중요하지만, 적절한 힘을 가했을 때 열리는 ‘열림 토크’도 중요합니다. 열림 토크가 과하면 힘이 부족한 노약자와 어린이는 음료 뚜껑을 열기가 힘들지만, 너무 약하면 내용물 보관이 어렵습니다. 

HDPE를 이용하면 적정한 힘으로 병뚜껑을 열 수 있을 뿐 아니라 맛에 대한 안정성도 우수해 대부분의 음료수 병뚜껑 소재로 사용되고 있습니다. 

◆무독성 친환경 플라스틱
 
위에서도 언급했지만 HDPE는 인체에 유해한 환경 호르몬을 배출하지 않는 친환경 플라스틱으로, 식품에 바로 닿아도 안전할 만큼 위생적입니다. 또한 100% 재활용할 수 있기 때문에 분리배출만 잘 해도 환경오염을 줄일 수 있습니다. 우리 생활에서 우유통(사진)과 세제나 샴푸, 화장품 용기, 장난감 등이 HDPE로 만들어져 있으니, 용기의 밑바닥 표시를 확인하고 배출하면 됩니다. 

HDPE는 한화솔루션이 생산하고 있는 제품 중 하나로, 1972년 LDPE를 국내 최초로 생산한 뒤 국내 최대의 설비를 보유하고 차별화된 품질과 안정적인 공급능력을 바탕으로 플라스틱 산업 발전에 기여하고 있습니다. 

또한 우리 생활을 더욱 편리하게 하면서도 지속가능한 미래를 위해 친환경 고부가가치 제품 개발의 연구·개발(R&D)에 노력하고 있는 한화솔루션에 많은 응원 부탁합니다.

한화솔루션 블로거

Copyright © 세계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