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방 쓰는법? 어렵지 않아요 .. '현고학생부군신위' 기억하세요"

김신혜 기자 2021. 2. 12. 04:52
자동요약 기사 제목과 주요 문장을 기반으로 자동요약한 결과입니다.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설날인 오늘(12일) 차례상에 올릴 지방 쓰는 법에 대해 관심이 쏠린다.

지방은 고인의 제사나 차례를 모시는 대상자를 상징하는 것으로 사당에 쓰이는 신주가 없을 때 임시로 만드는 위패를 의미한다.

고인의 이름과 사망날짜를 적은 위패인 신주(神主)를 모시고 있지 않은 집안에서 차례나 제사에 조상을 모시기 위해 임시로 이를 종이에 기록한 것이다.

음성재생 설정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설날 차례상에 쓰일 지방 쓰는 법에 대한 관심이 커졌다. /사진=이미지투데이
설날인 오늘(12일) 차례상에 올릴 지방 쓰는 법에 대해 관심이 쏠린다.

지방은 고인의 제사나 차례를 모시는 대상자를 상징하는 것으로 사당에 쓰이는 신주가 없을 때 임시로 만드는 위패를 의미한다. 고인의 이름과 사망날짜를 적은 위패인 신주(神主)를 모시고 있지 않은 집안에서 차례나 제사에 조상을 모시기 위해 임시로 이를 종이에 기록한 것이다.

차례상에 올리는 지방은 폭 6㎝, 길이 22㎝의 깨끗한 한지(백지나 창호지)에 붓을 이용해 작성한다. 한자로 쓰는 것이 전통이지만 최근에는 한글로도 쓴다.

글씨는 세로로 작성하며 이 때 지방의 상단 모서리가 접히거나 잘리지 않도록 유의해야 한다.

지방에는 고인을 모신다는 뜻의 나타날 현(顯)자를 쓴 후 ▲고인과 제사를 모시는 사람과의 관계 ▲고인의 직위 ▲고인의 이름 ▲신위(神位) 순으로 쓴다. 부모님 제사의 경우 두 분이 모두 돌아가셨을 땐 하나의 지방에 부모를 같이 쓰며 아버지는 왼쪽, 어머니는 오른쪽에 적는다. 부모님이 아닌 조상의 경우 지방에 쓸 조상이 두 분 이상이면 남자 조상을 왼쪽에 여자 조상을 오른쪽에 쓴다.

차례를 모시는 사람과의 관계에 따라 아버지는 상고할 고(考), 어머니는 죽은 어미 비(妣), 할아버지는 조고(祖考), 할머니는 조비(祖妣), 증조 이상에는 증(曾)자와 고(高)자를 앞에 붙인다.

관계 뒤에는 직위를 적는다. 만약 조상이 벼슬을 했다면 관계 뒤에 벼슬 이름을 쓰면 된다. 벼슬을 지내지 않았다면 남자 조상은 학생(學生), 여자 조상은 유인(孺人)이라 적는다.

이어 벼슬 뒤에 이름을 적고 남자 조상은 부군(府君)이라 쓰고 여자 조상은 고인의 본관과 성씨를 적으면 된다.

마지막으로 신위(神位)를 붙이면 된다. 예를 들어 아버지를 기리는 제사나 차례를 지낼 경우 ‘현고학생부군신위’(顯考學生府君神位)라고 쓰면 된다.

지방은 죽은 사람의 혼을 대신하는 것이므로 한 번 사용한 뒤 바로 소각하는 게 관례다.

[머니S 주요뉴스]
美친 골반… 킴 카다시안, 비키니 자태도 상위 1%
'헉' 각선미 실화야?… 난리난 이성경 몸매
"다리에 눈이 가네"… 한예슬, '아슬아슬' 하의실종룩
압도적인 볼륨감… 유채련, 숨막히는 비키니 몸매
소방관 20명, 집단성폭행… "옷 벗고 촬영해"
'컬투쇼' 박진영 "요요미 누군지 몰랐다"
'돈방석' 유덕화, 첫 SNS 라방으로 86억 벌었다?
'정인이 사건' 김새롬 간접 심경… "요즘 말조심"
초아 3년만에 예능복귀… "송은이 식사대접하고파"
'학폭 논란' 요아리 해명… "가해자였던 적 없다"

김신혜 기자
<저작권자 ⓒ '성공을 꿈꾸는 사람들의 경제 뉴스' 머니S,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Copyright © 머니S & moneys.co.kr,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