强추위에 어깨통증 앓는 중장년, 온찜질 소용 없다면..

김유경 기자 2021. 1. 19. 10:52
자동요약 기사 제목과 주요 문장을 기반으로 자동요약한 결과입니다.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겨울철은 남녀노소를 불문하고 어깨통증으로 병원을 찾는 환자들이 많아지는 시기다.

힘찬병원 관계자는 "중장년층 어깨의 지속적인 통증은 일상적인 동작에 미치는 영향이 크고 관절 변형을 야기할 수도 있다"며 "겨울철 추위로 어깨 통증이 심해졌다면 온찜질과 스트레칭, 휴식 등을 우선 시행해보고 이후에도 통증이 지속된다면 전문적으로 진단·치료를 받아야 한다"고 말했다.

음성재생 설정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사진제공=힘찬병원, 아이클릭아트

겨울철은 남녀노소를 불문하고 어깨통증으로 병원을 찾는 환자들이 많아지는 시기다. 기온 저하는 혈관을 수축시키고 관절주변 조직을 뻣뻣하게 만들어 관절통을 유발할 뿐만 아니라 혈액순환 저하로 근육과 인대로 가는 영양분과 통증 완화 물질을 적게 전달하기 때문에 평소보다 심한 통증을 느끼게 한다.

어깨 통증의 원인으로는 오십견, 어깨충돌증후군, 회전근개파열 등이 있다. 이 질환들은 증상이 비슷해 전문의의 정확한 진단이 중요하다.

힘찬병원 관계자는 "중장년층 어깨의 지속적인 통증은 일상적인 동작에 미치는 영향이 크고 관절 변형을 야기할 수도 있다"며 "겨울철 추위로 어깨 통증이 심해졌다면 온찜질과 스트레칭, 휴식 등을 우선 시행해보고 이후에도 통증이 지속된다면 전문적으로 진단·치료를 받아야 한다"고 말했다.

◇굳어서 움직이기 힘든 '오십견'…보온 관리로 예방!= 오십견은 어깨관절의 통증과 운동제한을 일으키는 대표적인 어깨관절 질환이다. 흔히 50세 전후로 발병한다고 하여 오십견이라고 부르지만 정확한 의학적인 명칭은 유착성 관절낭염이다. 특별한 외상이나 충격없이 어깨관절이 굳어 통증이 생기는 것으로 밤에 특히 통증이 심하고, 운동이 제한되는 증상을 보인다.

목동힘찬병원 정형외과 유순용 원장은 "두 팔을 올려서 만세 동작을 취하는 게 안 되고 뒷짐지는 동작이 어려우면 오십견을 의심해 볼 수 있다”며 “팔을 바깥쪽으로 뻗거나 위로 들 때 특히 불편한 게 특징이며 퇴행성 변화 보다는 잘못된 습관이 원인이 되는 경우가 많다”고 설명했다.

겨울철 심해지는 오십견을 예방하기 위해서는 올바른 자세를 유지하는 것이 중요하다. 장시간 같은 자세를 취하는 것을 지양하고, 1시간 같은 자세를 취해야 하는 경우에는 10분 이상 팔과 어깨근육을 좌우로 돌리며 스트레칭을 해주는 것이 좋다. 요즘같이 추위로 어깨 주변이 경직되기 쉬울 때는 규칙적으로 하루에 10~15분 온탕에서 전신욕을 하거나 온찜질 팩 등을 어깨에 올려놓는 것도 방법이다.

◇어깨 충돌증후군, 어깨 근육 강화로 예방!= 충돌증후군은 어깨를 움직이는 힘줄(회전근개) 중에서 가장 위쪽에 위치해 팔을 올리는 데 사용되는 ‘극상건’이라는 힘줄에 염증이 생기는 질환이다. 주로 어깨를 사용하는 운동을 즐기거나 업무상 어깨를 자주 사용하는 직업군에서 자주 발생하며, 환자 절반 이상이 40~50대 연령대에 해당한다.

충돌증후군을 예방하기 위해서는 어깨 근육을 강화하는 것이 필수다. 의자에 앉아 양 손잡이를 잡고 어깨를 들어올려 버티는 것을 3~4회 정도 반복하는 것이 좋다. 어깨의 근육을 단련시키고, 어깨 주변의 혈액 순환을 원활하게 해 도움을 받을 수 있다.

◇회전근개 파열이 중장년 어깨통증 주원인= 회전근개파열은 어깨관절의 회전운동을 시켜주는 근육과 힘줄이 손상되거나 끊어진 상태를 말한다. 팔을 몸 뒤로 돌리기 어렵거나 수 개월 이상 어깨 통증이 지속되고 잠을 설치는 증상이 나타나나 손상의 정도와 통증이 비례하지 않아 증상만으로는 손상의 유무를 진단하기 어렵다.

특히 부분파열이 진행되는 경우 어깨 위로 팔을 많이 쓸 때 쉽게 피로해지는 이외에는 나머지 근력이 놀라울 정도로 정상인 경우가 많아 질환임을 모르고 지나치기도 한다.

일반적으로 회전근이 파열되면 초기엔 팔을 위로 들 수 없을 정도로 통증이 심하다. 하지만 시간이 지남에 따라 통증이 잦아들고 팔도 들어 올릴 수 있는 특징을 보인다. 때문에 단순 염증이나 타박상으로 생각하고 가볍게 지나치는 경우도 많다.

그러나 한번 파열되거나 손상된 회전근개는 자연적으로 치유가 어렵고, 힘줄 파열이 50%이상이거나 완전히 파열된 경우에는 관절경을 이용한 힘줄 봉합수술을 받아야 하니 각별한 주의가 필요하다.

[관련기사]☞ 박성희 "남편 아침에도 다 벗고"…권혁모 "7번 가능"남의 아이 임신하고 결혼…남편 군대간 새 또 남의 아이 낳은 아내최고기 '재혼' 제안에 유깻잎 거절하면서 한 말일 끝나고 '미친 약' 찾는 이주노동자들'69세' 김수희 동안미모 깜짝…재혼 남편 누구?
김유경 기자 yunew@mt.co.kr

<저작권자 ⓒ '돈이 보이는 리얼타임 뉴스' 머니투데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Copyright © 머니투데이 & mt.co.kr,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