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기 '비대면바우처' 사용처 287개 추가..총694개

고석용 기자 2020. 12. 23. 14:36
자동요약 기사 제목과 주요 문장을 기반으로 자동요약한 결과입니다.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중소벤처기업부는 23일 비대면 바우처 서비스 공급기업 281개사를 추가 선정했다고 밝혔다.

기존 서비스 407개(361개사가 제공)까지 합하면 중소기업이 바우처를 사용할 수 있는 서비스는 총 694개다.

비대면 서비스 바우처는 중소기업이 재택근무 시스템 등 비대면인프라를 갖출 수 있도록 정부가 400만원의 바우처를 지원하는 사업이다.

음성재생 설정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중소벤처기업부는 23일 비대면 바우처 서비스 공급기업 281개사를 추가 선정했다고 밝혔다. 이들이 제공하는 서비스는 재택근무서비스, 에듀테크서비스, 네트워크·보안서비스 등 총 287개다. 기존 서비스 407개(361개사가 제공)까지 합하면 중소기업이 바우처를 사용할 수 있는 서비스는 총 694개다.

비대면 서비스 바우처는 중소기업이 재택근무 시스템 등 비대면인프라를 갖출 수 있도록 정부가 400만원의 바우처를 지원하는 사업이다. 올해 중소기업 8만개사에 제공했고 내년에는 6만개사에 제공할 예정이다.


중기부는 공급기업 선정평가에서 체험평가단을 구성하는 등 타당성을 높이기 위한 작업을 진행했다. 사업취지·목적에 맞지 않는 기업이 서비스를 제공하는 등 바우처 악용사례를 막기 위해서다.

선정된 서비스 분야별로는 재택근무 지원분야가 39.7%로 가장 많은 비중을 차지했다. 이어 에듀테크 38.0%, 네트워크·보안 솔루션 9.4%, 화상회의 5.9% 순으로 이어졌다.

서비스 공급기업 업력은 7년 미만 기업이 151개사로 53.7%를 차지했고 이 중 업력 3년 미만의 초기 스타트업도 59개사(전체의 21.2%)가 있었다. 중견기업은 4개사가 선정됐다.

신규 선정된 비대면 서비스들은 업무협약, 서비스 상품 등록과정 등을 거쳐 내년 1월 말부터 서비스를 제공하게 된다. 비대면 바우처를 지원받은 중소기업들은 'K-비대면 바우처 플랫폼'(www.k-voucher.kr)을 통해 원하는 서비스를 골라 신청할 수 있다.

김주화 중기부 비대면경제과장은 "신규 공급기업들이 포스트 코로나 시대에 중소벤처기업 원격근무 확산과 디지털화 촉진을 지원할 것"이라고 밝혔다.

[관련기사]☞ 스타벅스 라떼 한잔에 도넛 7개 분량의 설탕전지현 남편 펀드 수익률 1위 "올해만 120%…무슨 상품?"'55세' 김예령, 20대 못지 않은 몸매…"손주까지 둔 할머니"태국 후궁 나체 사진 1000장 유포, 무슨 일이?100만원 든 지갑 돌려주자 억만장자에게 연락이 왔다
고석용 기자 gohsyng@mt.co.kr

<저작권자 ⓒ '돈이 보이는 리얼타임 뉴스' 머니투데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Copyright © 머니투데이 & mt.co.kr,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