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일 쓰는 '내열·강화유리, 인덕션·하이라이트'..도대체 뭐가 다를까?

조현기 기자 2020. 12. 13. 07:26
자동요약 기사 제목과 주요 문장을 기반으로 자동요약한 결과입니다.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소비자들이 일상에서 많이 쓰고 있는 것들이지만 '제대로' 알고 쓰는 이들은 많지 않다.

13일 소비자들이 가장 혼동하는 '내열유리 vs 강화유리', '인덕션 vs 하이라이트'의 장·단점과 차이점을 분석했다.

내열유리는 명칭 그대로 '열에 잘 견디는 유리', 강화유리는 '충격에 강한 유리'다.

좀 더 쉽게 표현하면 내열유리는 락앤락과 같은 밀폐용기 회사에서 만든 '식기용', 강화유리는 주로 '건자재'·'인테리어'에 많이 사용되는 유리다.

음성재생 설정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작지만 큰 차이'..안전 위해 잘 알고 써야
© News1 최수아 디자이너

(서울=뉴스1) 조현기 기자 = 내열유리 vs 강화유리, 인덕션 vs 하이라이트…

소비자들이 일상에서 많이 쓰고 있는 것들이지만 '제대로' 알고 쓰는 이들은 많지 않다. 비슷한 제품으로 알거나 혼동해서 쓰는 경우가 많다. 만일 제품을 제대로 구분하지 못할 경우, 유리가 파열돼 부상을 입을 수 있다. 또 엉뚱한 식기류를 구매한다면 비싼 돈만 지불하고 사용하지 못할 수 있다.

13일 소비자들이 가장 혼동하는 '내열유리 vs 강화유리', '인덕션 vs 하이라이트'의 장·단점과 차이점을 분석했다.

내열유리로 만들어진 '락앤락 탑클라스'(왼쪽), 강화유리로 만들어진 강원 정선 병방치스카이워크(오늘쪽) © 뉴스1

◇ 내열유리 vs 강화유리 구분해서 써야 '안전'

내열유리는 명칭 그대로 '열에 잘 견디는 유리', 강화유리는 '충격에 강한 유리'다. 좀 더 쉽게 표현하면 내열유리는 락앤락과 같은 밀폐용기 회사에서 만든 '식기용', 강화유리는 주로 '건자재'·'인테리어'에 많이 사용되는 유리다. 하지만 강화유리로 만든 그릇들도 주변에서 쉽게 찾을 수 있어 차이점을 알 필요가 있다.

내열유리는 열에 강한 성질이 있는 '붕규산 유리'로 만들어져 내열성이 뛰어나고, 급격한 온도 변화에도 잘 깨지지 않는다. 이같은 성질로 인해 Δ식기 Δ젖병 Δ실험용 비커 등에 많이 활용된다.

가령 내열유리로 만든 식기는 냉동실에 뒀다가도 바로 고온의 오븐이나 에어프라이어에 사용할 수 있다. 식기세척기뿐만 아니라 열탕 소독도 할 수 있다. 요리할 때 발생하는 급격한 온도차이를 견딜 수 있는 것이다. 만일 내열유리 제품을 찾기 힘들다면, 제품 설명 부분에 '오븐용'이나 '붕규산 유리'라는 표시를 확인하면 된다.

다만 내열유리는 이처럼 성능이 뛰어나지만 원료가 비싸고 제조과정이 복잡해 비싼 것이 단점이다.

강화유리는 소다석회유리를 500~700℃ 정도로 가열했다가 급격히 냉각시켜 표면 강도를 높인 유리다. 이런 특성 덕분에 Δ건물 Δ자동차 앞 유리 Δ샤워부스 등 건축 분야에 광범위하게 활용되고 있다. 최근 관광지에 가면 볼 수 있는 스카이워크 역시 강화유리도 만들어졌다.

강화유리는 떨어뜨려도 잘 깨지지 않는다는 장점이 있지만, 모서리 등에 강화처리가 균일하게 이뤄지지 않으면 온도 차에 쉽게 파손될 수 있다. 따라서 오븐에 사용할 수 없으며 전자레인지 사용하기 전 반드시 표시사항을 확인해야 한다.

강화유리의 단점을 보완, 전자레인지 사용이 가능한 내열강화유리 소재 유리용기도 출시되고 있다. 소비자의 기호나 쓰임새에 따라 선택해 사용하면 된다.

쿠쿠 하이브리드. 인덕션과 하이라이트 두 기능 모두 탑재돼있다. 빨간 원으로 빛나는 곳이 '하이라이트', 왼쪽에 두개의 화구가 '인덕션'이다© 뉴스1

◇ '같은 듯 다른 듯'…인덕션 vs 하이라이트, 뭐가 다르지?

전기레인지 활용이 늘어나면서 '인덕션'과 '하이라이트'에 대한 소비자들의 관심이 높아지고 있다.

인덕션은 자기장을 이용해 조리 용기에만 직접 열을 가하는 유도 가열방식 조리도구다. 다시 말해 자기장을 이용해 전용 용기 부분에만 전류를 흘려보내 가열한다. 자기장을 활용하는 특성 때문에 별도 '인덕션 전용 용기'가 필요하다.

반면 하이라이트는 상판 아래에 있는 열선에 전기가 통하면서, 이때 발생한 열로 상판이 달궈지는 방식이다. 열이 전달되는 원형 부분이 빨갛게 달아오른 모습을 떠올리면 쉽다.

하이라이트는 상판 자체를 달궈야 해 인덕션보다 조리 시간이 길다. 또 전원을 차단해도 바로 식지 않아 화상 위험도 있다. 하지만 전용 조리 기구가 필요하지 않아 활용 범위도 넓다. 가스레인지에서 사용하던 조리기구를 사용할 수 있다.

하이브리드는 '인덕션'과 '하이라이트' 기능을 한 제품 안에 탑재한 제품을 일컫는다.

© News1 이지원 디자이너

chohk@news1.kr

Copyright © 뉴스1.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및 재배포, AI학습 이용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