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단독] 1200년전 신라 그림 담긴 경전, 100년간 수장고에 묻혀있었다
국립중앙박물관에 소장된 사실
한정호 동국대 교수가 밝혀내
"중·일에 없는 범자·한자 합체본"
1200여년 전 신라 화가의 그림이 세상에 나왔다. 큰 절의 수문장인 불교의 수호신 금강역사가 고대 인도의 무기 금강저를 들고 신라 관리의 머리를 어루만지는 독특한 불화다.
미술사가인 한정호 동국대 경주캠퍼스 교수는 최근 “변상도(불교 경전 내용을 알기 쉽게 그린 그림)가 들어간 8~9세기 통일신라시대 밀교 계통의 경전 <수구즉득대자재다라니>(隨求卽得大自在陀羅尼, 이하 수구다라니)와 이 경전을 담았던 금동 경함이 국립중앙박물관에 100여년간 소장돼온 사실을 확인했다”고 9일 밝혔다. 한 교수는 11일 경주 남산의 세계유산 등재 20주년을 맞아 열리는 ‘경주 남산의 어제와 오늘’ 학술대회(한국미술사학회·국립경주문화재연구소 주최)에서 ‘경주 남산의 사리장엄구’라는 논문을 통해 자세한 내용을 공개할 예정이다.
신라 그림이 그려진 수구다라니경과 보관함은 일제강점기인 1919년 8월 국립중앙박물관의 전신인 조선총독부박물관이 고적 조사위원 김한목(1872~1941)에게서 사들였다고 총독부 문서에 기록돼 있다. 해방 뒤 국립박물관 쪽이 넘겨받았으나 지금까지 주목을 받지 못한 채 수장고에 보관됐고, 함은 최근 꺼내어 전시 중이다. 한 교수는 지난 수년간 박물관이 공개한 일제강점기 소장품의 유리 건판 사진 가운데 ‘경주 남산 출토 금동호부용기 내 범자문편’이란 제목이 달린 사진에서 수구다라니경 조각이 찍힌 사진 2장을 찾아냈다. 이를 확대 판독한 결과, 글자 사이에 신라 화가가 그린 불화가 있었다는 설명이다. 다라니를 담았던 경함은 불국사 석가탑에서 발견된 8세기 금동 장방형 사리기와 문양·제작기법이 비슷해, 경함과 <수구다라니>의 제작 연대는 8세기 후반~9세기 초반으로 추정된다.
발견된 신라 그림은 수구다라니경의 염송 내용을 한자와 고대 산스크리트 글자(범자)로 각각 따로 옮겨 적은 두 가지 종이본의 글자 사이에 나눠 그려져 있다. 범자본 <수구다라니>는 너비 31.3㎝, 길이 44㎝의 직사각형으로 가운데 부분에 네모진 여백을 두고, 오른손에 금강저를 든 금강역사상이 관을 쓴 채 무릎 꿇고 앉은 사람의 정수리를 손가락으로 어루만지는 모습을 정교하게 그려 넣었다. 관을 쓴 사람은 발원자인 신라의 관리로 추정된다. 도상 옆 오른쪽에 발원자 이름으로 추정되는 먹글씨 ‘…叱知(질지)’가 쓰여 있다. ‘질’(叱) 자는 신라 인명에 자주 쓰인 글자다. ‘지’(知) 자는 이름 또는 존칭일 가능성이 있다. 한자본은 31×31㎝의 정사각형으로, 문서 외곽 사방 모서리에 연화좌 위 정병이 배치된 도상을 그렸고, 주변에 다양한 법구와 연꽃 수염 등을 묘사했다.
수구다라니경은 7~8세기 중국 승려들이 한역해 8~9세기께 신라에 전래한 밀교 계통의 염송용 경전이다. 범자로 된 경전을 몸에 지니고 주문을 외거나 탑과 무덤에 넣으면, 재액을 물리치고 복덕을 얻는다는 믿음이 널리 퍼져 조선시대까지 호신용 부적처럼 쓰였다. <삼국유사>에 신라 태자 보천이 울진 장천굴(성류굴)에서 수구다라니경을 밤낮으로 염송했다는 기록이 전하며, 해인사 길상탑에 들어간 통일신라기 탑지에도 수구다라니경을 같이 넣었다는 기록이 있어 당대에 이 경전이 널리 퍼졌음을 보여준다.
신라인이 종이·비단 등의 지본에 그린 그림은 삼성미술관 리움에 소장된 8세기 초 신라 묵서 <대방광불화엄경>에 나오는 부처와 보살의 변상도가 거의 유일하다. 한 교수는 “신라 그림이 그려진 국내 최고의 수구다라니경이 실물로 처음 발견됐고, 중국과 일본에도 없는 범자와 한자의 합체본이란 점에서 역사적 가치가 크다”며 “불교 미술사 연구는 물론 서지학과 불교학, 언어학, 보존과학 등의 분야에 중요한 자료가 될 것”이라고 말했다. 소장처인 국립중앙박물관 쪽은 현재 <수구다라니> 유물에 대한 보존 처리 작업에 들어갔으며, 유물을 국립경주박물관으로 이관할 방침이다.
한 교수는 또 추사 김정희가 1824년 경주 남산 기슭의 창림사 석탑을 해체할 당시 탑 안에서 나온 사리기에서 신라 불경 <무구정광대다라니경>과 탑의 조성 내력을 적은 ‘무구정탑 원기 동판을 발견하고 불경과 동판의 글씨를 베낀 모사본(1930년대까지 일본 학자가 소장했으나 현재는 소재 불명)을 남겼던 것과 관련해 사라진 것으로 알려진 <무구정광대다라니경>의 원본이 전 성암고서박물관 컬렉션에 있다는 주장도 내놓았다.
전 성암박물관 소장 <무구정광대다라니경>은 불상과 석탑의 도상을 비단에 그린 앞부분의 변상도와 경전의 본문 내용을 종이에 옮겨 쓴 필사본으로 구성되는데, 분석결과 추사의 불경 모사본과 글씨가 사실상 똑같은 것으로 드러났다는 것이다. 한 교수는 추사가 모사본에 붙인 목격담에서 황색 비단에 변상도가 그려졌다고 언급한 부분과 성암본 구성이 일치하고, 성암본의 글자가 정제된 사경체 글씨로 쓰여 원본일 가능성이 크다는 견해를 내놓았다.
전 성암고서박물관 소장 불경과 변상도는 생전 관장이던 성암 조병순(1922~2013)이 1998년 임창순 등 서지학계 전문가와 일부 언론에 한 차례 공개했으나, 그 뒤로는 내보인 적이 없다.
노형석 기자 nuge@hani.co.kr, 사진 도판 한정호 교수 제공
Copyright © 한겨레신문사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 “머문 시간 따져 96만2천원”…‘김봉현 술접대’ 검사 봐주기 논란 확산
- 국힘의 ‘시한부 필리버스터’…역사의 속기록에 무엇이 남을까
- 정의당 “김남국 의원, 전화로 갑질”…김 “맥락과 다르다”
- 조두순 출소 앞둔 안산시 안심벨 보급…주민들 “언론 과도취재 말라”
- 문 대통령 “재정 부담 커도 백신물량 추가 확보”
- ‘검사 접대’ 폭로한 김봉현 “공수처에서 재조사 해달라”
- 변창흠 ‘도심 고밀개발’, ‘공공 재개발·재건축’에 무게 둘 듯
- [김이택 칼럼] 대선 주자가 지휘하는 권력 수사는 ‘정치행위’다
- 수조에 누운 '제철 대방어'는 어디서 왔을까?
- 주한미군 ‘노마스크 파티’ 유감 표명…“어리석은 행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