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영철의 동네 한 바퀴' 100회.. "동네 속에 가장 소중한 것 있어"

권영은 2020. 12. 10. 04:31
자동요약 기사 제목과 주요 문장을 기반으로 자동요약한 결과입니다.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배우 김영철은 매주 목요일 오전 7시면 어김없이 길을 나선다.

온종일 쉬엄쉬엄 동네 한 바퀴를 돌면서 "작은 것들의 소중함, 가까이 있는 것들의 위대함"을 발견한다.

김영철이 자신의 이름 석 자를 내걸고 2018년 11월 시작한 도시 기행 다큐멘터리 '동네 한 바퀴'가 어느덧 100회를 앞뒀다.

촬영 전 일주일 이상 제작진이 먼저 현장에 머무르며 이야기를 찾아내지만 실제 '동네 한 바퀴'를 끌고 가는 건 오롯이 김영철의 몫이다.

음성재생 설정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배우 김영철이 하루 동안 한 동네를 거닐면서 만나는 사람들의 이야기를 담아내는 도시 기행 다큐멘터리 KBS1 '김영철의 동네 한 바퀴'가 오는 12일 100회를 맞는다. 브라운관 밖 진짜 삶의 무대에 선 그가 전하는 사람 이야기가 감동과 위안을 선사하고 있다. KBS 제공

"흔하게 보던 담쟁이 덩굴이 오늘은 새삼스럽네요. 저는 이 프로그램을 하면서 소소한 것들의 아름다움을 발견하는 것 같아요. 한없이 작은 존재도 최선을 다해 자신의 생을 산다는 걸 알게 됐습니다.(지난 5일 KBS1 '김영철의 동네 한 바퀴' 99회 방송에서)"

배우 김영철은 매주 목요일 오전 7시면 어김없이 길을 나선다. 온종일 쉬엄쉬엄 동네 한 바퀴를 돌면서 "작은 것들의 소중함, 가까이 있는 것들의 위대함"을 발견한다. 길 위에서 만난 평범한 이웃들의 소박한 이야기를 펼쳐놓고, 슬며시 위안도 건넨다. 김영철이 자신의 이름 석 자를 내걸고 2018년 11월 시작한 도시 기행 다큐멘터리 '동네 한 바퀴'가 어느덧 100회를 앞뒀다. 예능 프로그램이 각축전을 벌이는 토요일 저녁 시간에 자리잡고도 평균 7~8%대 시청률을 올리면서 꾸준한 사랑을 받고 있다.

9일 서울 여의도에서 만난 김영철은 "100회까지 올 줄은 생각도 못했다"며 "멀리 있는 게 아니라 우리가 살고 있는 동네 속에 가장 소중한 것들이 있다는 걸 보여줘온 점이 많은 분들의 사랑을 받는 비결"이라고 말했다.

'동네 한 바퀴'는 심심한 재료로 감칠맛을 낸다. 평범해서 더 특별한 사람들이 주는 감동이 있다. "사람이 사는 '동네 한 바퀴'이지, 비어있는 동네 한 바퀴가 아니거든요." '동네 한 바퀴'는 결국 사람 이야기다. 사람 이야기는 공감을 부른다. "'아버지를 존경한다'는 아들 말에 너무 행복했다는 아버지를 만난 적이 있어요. 목수인 아버지와 그 뒤를 이은 아들 이야기였죠. 그걸 방송으로 보면서 제가 또 울었어요. 이런 걸 보려고 '동네 한 바퀴'를 보는 게 아닐까요." 촬영하면서 그는 울기도 여러 번 한다 했다.

배우 김영철이 '김영철의 동네 한 바퀴' 100회를 기념한 케이크 앞에서 포즈를 취하고 있다. KBS 제공

'동네 한 바퀴'를 연출하는 한경택 PD는 "우리 프로그램만의 차별화된 지점은 아날로그 감성이다. 골목에서 만나게 되는 옛 기억들이 주는 행복, 각각의 행복했던 기억을 꺼내서 던져주면 공감하게 되는 이야기의 힘이 있다"고 설명했다. 그는 "김영철이 동네라는 콘텐츠를 갖고 스토리텔링하는 게 기본 포맷"이라며 "김영철의 인간적 매력과 국민 배우 이미지가 동네 이야기와 결합하면서 얻게 되는 시너지가 있다"고도 덧붙였다.

촬영 전 일주일 이상 제작진이 먼저 현장에 머무르며 이야기를 찾아내지만 실제 '동네 한 바퀴'를 끌고 가는 건 오롯이 김영철의 몫이다. 카메라와 시청자는 그의 시선을 따라간다. 그의 눈길은 소소한 것도 예사로 봐 넘기지 않는다. 서울 성북동 한 마을을 걸으면서 "담장이 어깨 높이밖에 안 돼서 집 안의 살림살이가 다 보이네요. 동네 주민들이 그만큼 서로에 대한 믿음이 있다는 뜻이겠죠"라고 말하거나 잎이 다 진 감나무를 보곤 "서리 맞은 감을 안 땄구나. 서리 맞은 감이 더 달죠"라고 볼 줄 안다. '길거리 인터뷰'에도 이젠 요령이 붙었다. 스스럼 없이 다가가 마음의 문을 두드리는 그의 소탈한 매력이 진가를 발휘한다. "이젠 촬영이 아니더라도 누굴 만나 대화하면 이 사람은 삶이 어떻겠구나까지 보이는 것 같아요. 관상도 봅니다. 하하."

'동네 한 바퀴'는 이젠 그의 삶 일부가 됐다. "정신적으로, 육체적으로 저를 젊게 만들어주고 제게 즐거움을 줍니다. 가야할 곳이 있고, 내가 책임져야 할 것이 있다는 게 아직도 청춘 같아요." 동네 한 바퀴를 돌 때 보통 12~13㎞를 걷는데도 끄떡없단다. 오히려 '동네 한 바퀴' 1,000회 방송을 새 목표로 잡았다. "100회 오는데 2년 걸렸으니 1,000회면 20년이더라고요. 그때면 이순재 선생님 나이가 되더라고요, 딱."

권영은 기자 you@hankookilbo.com

Copyright © 한국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