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문컨설팅 기업 브레인PhD, 성공 사례 언택트 포럼 개최

이미정 2020. 12. 4. 17:55
음성재생 설정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논문컨설팅 기업 브레인PhD가 코로나 19로 유난히 어렵고 힘들었던 2020년 한 해를 마무리하면서 '함께 해서 성공했어요. 브레인PhD 2020~!' 라는 슬로건으로 성공 사례 언택트 포럼을 개최한다고 4일 밝혔다.

2020년도 상반기에 이어서 하반기의 논문 심사가 거의 마무리되어 가고 있다. 연말이 되면 브레인PhD에서도 논문 통과의 소식을 전하는 연구자가 많다. 특히 박사학위를 받게 되는 경우 이때 박사 학위기가 수여되는데 학위기를 받으면서 비로소 실감이 난다는 경우들이 많다.

서울대를 졸업한 박사들로 구성된 논문컨설팅 전문 기업 브레인PhD에서는 작년 2019년 12월에 '함께 해요 브레인PhD~!' 라는 슬로건으로 강남 앰버서더 호텔을 대관하여 성황리에 포럼을 개최했다.

이 회사 관계자는 "올해는 코로나 19로 인하여 얼굴을 마주하고 축하하기가 어려운 상황이라 2020년 12월 23일 수요일 오후 7시에 언택트로 포럼을 개최하고자 한다"면서 " 작년 2019년이 SCI 논문의 성공에 대한 포럼이었다면, 올해 2020년 12월은 석·박사 학위논문 성공 사례로 구성된다"고 말했다.

그는 이어 "브레인PhD를 통해 학위 취득에 성공한 석·박사 학위 취득 예정자들과 성공을 축하하는 자리를 마련하여 성공 과정과 비전 등에 대한 내용이 포함된 포럼을 개최하게 된다"면서 "학위 취득에 성공한 연구자들과 석·박사 학위를 준비하는 연구자들의 많은 관심을 기대한다"고 덧붙였다.

33년의 논문지도 경력을 보유한 김동효 CEO는 "브레인PhD를 찾는 모든 연구자들이 전원 패스하는 회사라는 기록을 지속적으로 남기고 싶고, 어차피 소요되는 시간이라면 좀 더 투자하여 수준 높은 논문이 만들어지도록 연구자와 함께 하는 기업으로 성장하도록 하고 싶다."는 포부를 밝혔다.

2021년 새해에도 연구자들과 함께 하는 브레인PhD가 될 것이라는 게 김 CEO의 희망이다.

김 CEO는 "석·박사 학위논문, SCI 논문과 관련하여 궁금한 내용을 알고 싶은 연구자는 브레인PhD가 도움을 줄 것"이라고 자신했다.

브레인PhD는 논문컨설팅 기업으로서 몇 안 되게 서울시 교육청 산하 평생교육원을 운영하는 등 고객 접점을 마련해 고객만족에 나서고 있는 기업이다. 이미 브레인PhD는 고객접점을 확대하고 고객만족을 강화하기 위해 국내외에서 '논문작성과 SCI급 논문기고를 위한 특강'을 해마다 꾸준히 진행하고 있다. 2019년에는 국외에서는 미국 시애틀의 워싱턴 대학에서 한인학생과 유학생들을 대상으로 논문특강을 진행하였고 국내에서는 경성대 등에서 대학원생, 교수 등을 대상으로 논문특강을 진행한 바 있다.

브레인PhD는 현재 100평 규모의 판교 본사를 시작으로 현재 강남, 청담, 가산디지털, 전주, 대전, 부산 등 주요 국내 거점지역을 확보하고 있고, 해외 연구자들을 위한 미국 시애틀, 호주 시드니, 일본 동경 등 해외지점을 운영하고 있으며, 논문전략연구소, 한국브랜드대상 수상, 평생교육원 인가를 모두 갖춘 논문컨설팅 전문 기업이다.

SCI급 논문, 석사논문, 박사논문, 학술논문, 해외 학술지 논문을 작성해야 하는 연구자들이 보다 완성도를 높일 수 있도록 주제 선정법, 연구계획서 작성, 논문자료 제공, 논문 검색 사이트 활용방법(참고문헌, 인용 방법), 논문 쓰는 법(학술적, 논리적), 주제별 논문 예시, 연구방법론, 통계분석 등에서 논문작성방법과 팁을 제공하고 있다.

브레인PhD는 전문 통계팀도 운영하고 있는데, 브레인PhD 논문 통계팀은 SPSS, SAS, R, Python, AMOS, MINITAB, STATA, Jupyter를 이용한 통계분석과 분석결과에 대한 해석을 1대1로 설명해주는 서비스를 전문으로 하고 있다.

이 외에도 논문작성 또는 논문 쓰는 법을 잘 모르는 초급 연구자들을 위해 기본적인 논문자료들을 제시하고, 논문목차 등의 논문예시들을 통해 논문작성법 이해도를 높이고 있으며, 학술정보 사이트 RISS(리스), KISS(키스논문), DBpia(DB피아), 구글학술검색, 국회도서관 등의 논문사이트를 통해 논문을 쉽게 검색할 수 있도록 논문작성에 대한 필수 노하우 등을 기본적인 서비스로 제공하고 있다.

이미정기자 lmj0919@dt.co.kr

Copyright © 디지털타임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