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장애인 파트너 50% 이상"..스타벅스 '서울대치과병원점' 오픈

김정희 2020. 12. 3. 14:23
자동요약 기사 제목과 주요 문장을 기반으로 자동요약한 결과입니다.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스타벅스커피 코리아(대표 송호섭)가 세계 장애인의 날인 12월 3일 스타벅스 코리아 최초로 장애인 고용 증진 및 장애인 인식개선을 위한 매장인 '서울대치과병원점'을 오픈하며, 이 매장을 통해 모두가 환영 받을 수 있는 편견 없는 제3의 공간을 구현한다.

'서울대치과병원점'은 2018년 3월에 보건복지부로부터 지정 받은 서울대치과병원 부설 장애인치과병원 중앙장애인구강진료센터의 1층에 위치한 매장으로서, 스타벅스가 한국장애인고용공단(이사장 조종란), 서울대치과병원(원장 구영)과 협력해 국내 스타벅스 최초로 선보이는 장애인 고용 증진 및 장애인 인식개선을 통한 사회적 가치 실현의 의미를 담은 매장이다.

음성재생 설정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스타벅스 서울대치과병원점 파트너들이 커피찌꺼기를 재활용한 아트웍 앞에서 수어로 s.t.a.r.b.u.c.k.s(왼쪽부터)를 표현하고 있다. TOGETHER라는 문구의 아트웍은 모두가 함께 즐길 수 있는 공간이라는 뜻을 담고 있으며, 스타벅스 파트너들이 직접 제작에 참여함으로써 의미를 더했다.

스타벅스커피 코리아(대표 송호섭)가 세계 장애인의 날인 12월 3일 스타벅스 코리아 최초로 장애인 고용 증진 및 장애인 인식개선을 위한 매장인 '서울대치과병원점'을 오픈하며, 이 매장을 통해 모두가 환영 받을 수 있는 편견 없는 제3의 공간을 구현한다.

'서울대치과병원점'은 2018년 3월에 보건복지부로부터 지정 받은 서울대치과병원 부설 장애인치과병원 중앙장애인구강진료센터의 1층에 위치한 매장으로서, 스타벅스가 한국장애인고용공단(이사장 조종란), 서울대치과병원(원장 구영)과 협력해 국내 스타벅스 최초로 선보이는 장애인 고용 증진 및 장애인 인식개선을 통한 사회적 가치 실현의 의미를 담은 매장이다.

스타벅스는 이에 대한 구체적인 실현을 위해 '서울대치과병원점'의 수익금 일부를 서울대학교치과병원 중앙장애인구강진료센터에 전달해 저소득층 장애인의 치과 수술비를 지원한다.

해당 매장의 장애인 고용률을 50% 이상으로 운영하며, 적극적인 장애인 파트너 고용을 통한 장애인 인식개선 및 편견 없는 채용에 앞장선다. '서울대치과병원점'에서 근무하는 총 12명의 파트너 중 장애인 파트너는 절반 이상에 해당하는 6명으로, 다양한 직급의 장애인 파트너들이 각자의 위치에서 활약한다.

'서울대치과병원점'의 파트너들은 매장 오픈에 앞서 청각장애인 고객과의 원활한 의사소통을 위한 간단한 수어 교육 및 한국장애인고용공단의 지원을 받아 장애인 인식개선 교육을 받는 등 진정한 제 3의 공간 조성을 위한 체계적인 맞춤훈련을 받았다.

전 세계 스타벅스 최초로 매장 인테리어에서도 장애 여부를 가리지 않고 누구나 쉽게 이용할 수 있는 포괄적인 디자인을 적용했다. 매장 콘셉트 개발 단계에서부터 매장 디자인, 제반 환경, 운영 테스트 등 매장의 전반적인 부분에 대해 현재 스타벅스에서 근무 중인 장애인 파트너들의 의견을 반영함으로써 매장을 방문하는 고객과 근무하는 파트너 모두의 편의를 고려한 점이 특징이다.

송호섭 스타벅스 대표는 “이번 장애인 인식개선을 위한 '서울대치과병원점' 오픈은 지역사회와 상생하고 성장하는데 핵심을 두고 있는 스타벅스의 미션과 가치 실현에 있어 국내뿐만 아니라 전 세계 스타벅스에서도 주목하고 있다”며 “'서울대치과병원점'에서 전달하는 다양한 인식개선 메시지와 캠페인 등을 통해 모두가 환영 받을 수 있는 진정한 제3의 공간을 실현할 수 있도록 최선의 노력을 다할 것”이라고 전했다.

김정희기자 jhakim@etnews.com

Copyright © 전자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