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코로나19 연구속보] 사회적 거리두기·마스크·소셜버블.. 코로나19 확산에 어떤 영향 미치나

한국과학기자협회 2020. 11. 26. 11:00
자동요약 기사 제목과 주요 문장을 기반으로 자동요약한 결과입니다.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최근 코로나바이러스감염증-19(코로나19) 확산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연구한 논문이 발표됐다.

사이먼 프레이저 대학교의 폴 터퍼·캐롤라인 콜린 교수는 사회적 거리두기가 코로나19 확산을 줄이는데 보편적인 효과가 있고, 소셜버블(Social bubble)과 마스크 착용 등은 코로나19 확산 상황에 좀 더 영향을 받는다는 사실을 발견했다.

음성재생 설정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미국국립과학원회보(PNAS) 제공

최근 코로나바이러스감염증-19(코로나19) 확산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연구한 논문이 발표됐다.

사이먼 프레이저 대학교의 폴 터퍼·캐롤라인 콜린 교수는 사회적 거리두기가 코로나19 확산을 줄이는데 보편적인 효과가 있고, 소셜버블(Social bubble)과 마스크 착용 등은 코로나19 확산 상황에 좀 더 영향을 받는다는 사실을 발견했다.

참고로 소셜버블이란, 가족·친구 등 평소 접촉이 잦거나 자주 만나는 사람들로 구성된 10명 미만의 소규모 집단을 말한다. 소셜버블 구성원들은 사회적 거리두기를 할 필요가 없지만, 전문가들은 한 구성원이 여러 그룹에 동시에 참여하지 않을 것을 권고하고 있다.

연구진은 다양한 환경에서 사회적 거리두기, 마스크 착용, 소셜버블 등이 코로나19 확산에 미치는 영향을 측정키 위한 모델을 개발했다. 관련 논문은 지난 19일(현지시각) 미국 국립과학원회보(PNAS)에 발표됐다.

연구에서 과학자들은 ‘사건 R’의 개념을 도입했는데, 이는 한 명의 확진자가 특정 상황에서 감염시킬 수 있는 예상 인원수를 나타낸다. 터퍼·콜린 교수는 확산 강도, 노출 기간, 개인의 밀접도 등을 검토한 후 각 상황에서 확산을 방지하는 데 가장 효과적인 예방법을 도출해냈다.

연구에 따르면, 파티·식사·나이트클럽·대중교통·식당 등 여러 상황에서 발생한 코로나19 확산 정보를 취합해 개인이 코로나19에 감염될 확률은 확산 정도 및 기간 등 특정 환경에 얼마나 오래 노출되는 지에 따라 크게 좌우된다.

‘사건 R’은 감염 확률이 높은 ‘포화’와 반대인 ‘선형’ 상태로 나뉜다. 술집·나이트클럽·과밀 사업장 등이 포화 상태의 대표적 사례이며, 선형 상태 사례는 마스크를 착용한 채로 대중교통이나 식당 및 야외 활동을 하는 등의 경우다.

연구 결과를 종합하면, 사회적 거리두기는 모든 환경에서 코로나19 확산을 줄이는 데 효과적이다. 반면, 소셜버블에서는 확산 가능성에 따라 감염 여부가 달라졌다. 다시 말해 실내 사업장, 술집, 나이트클럽, 학교 등 혼잡하고 전파확률이 높은 환경에서 소셜버블을 어떻게 통제하느냐에 따라 확산을 감소시킬 수 있다는 의미다.

연구진은 외부 활동을 하거나 사업장내 거리두기, 마스크 착용한 채로 대중교통을 이용하는 등 코로나19 노출 가능성이 낮은 환경에서의 활동 시 소셜버블의 덜 효과적이라는 사실을 발견했다. 연구진은 코로나19 감염 차단을 위한 마스크와 물리적 장벽 등이 파티, 합창단, 식당 주방, 혼잡한 사무실, 나이트클럽 및 바 등 포화 상태에서 감염 예방에 덜 효과적이라는 점에 주목했다.

비록 코로나바이러스는 신종 고전염성 바이러스이지만, 어떻게 하면 더 효과적으로 환자를 치료하고 감염병을 예방할지에 대한 지식도 축적되고 있다. 그럼에도 아직 우리가 모르는 부분이 많고 더 많은 연구도 필요하다. 콜린 교수는 “(감염병) 감염과 발생 상황에서부터 사람 수, 밀접도, 감염의 지속 기간 등의 정보를 수집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사회적 거리두기, 마스크 착용, 소셜버블 등이 코로나19 확산에 미치는 영향을 측정한 연구 논문이 최근 발표됐다. 미국 국립과학원회보(PNAS) 제공

※관련자료

https://www.pnas.org/content/early/2020/11/18/2019324117

※출처 : 한국과학기자협회 네이버 포스트

https://post.naver.com/viewer/postView.nhn?volumeNo=30068122&memberNo=36405506&navigationType=push

[한국과학기자협회 ]

Copyright © 동아사이언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