무엇이든 몸에 척척 붙이는 '자석맨' 등장..기네스 기록 노린다

권윤희 2020. 10. 26. 15:51
자동요약 기사 제목과 주요 문장을 기반으로 자동요약한 결과입니다.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무엇이든 몸에 척척 붙이는 일명 '자석맨'이 등장했다.

지난달 22일(현지시간) 러시아국영 RT산하 통신사 럽틀리(Ruptly)는 이란의 한 50대 남성이 어떤 물건이든 몸에 붙이는 기이한 능력으로 기네스 세계 기록을 노리고 있다고 전했다.

자블라보니크는 2013년 9월 숟가락 31개를 얼굴에, 2016년 6월 숟가락 79개를 몸에 붙여 세계 기록을 인정받았다.

모크타리는 자신이 2017년 이미 숟가락 83개를 몸에 붙여 기네스 세계 기록을 경신했다고 설명했다.

음성재생 설정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서울신문 나우뉴스]

무엇이든 몸에 척척 붙이는 일명 ‘자석맨’이 등장했다. 지난달 22일(현지시간) 러시아국영 RT산하 통신사 럽틀리(Ruptly)는 이란의 한 50대 남성이 어떤 물건이든 몸에 붙이는 기이한 능력으로 기네스 세계 기록을 노리고 있다고 전했다.

이란 출신 아볼파즐 사버 모크타리(51)는 약 5년 전 범상치 않은 자신의 능력을 발견했다. 그는 “예전에 딸이 몸에 숟가락을 붙이는 인도 남자를 보여준 적이 있다. 나도 한 번 해봤는데 되더라”고 밝혔다.

쇠숟가락뿐만이 아니었다. 나무와 돌, 유리, 과일까지 달라붙었다. 모크타리는 “숟가락 말고 다른 것도 붙을지 궁금했는데 안 붙는 게 없었다. 인터넷에 찾아보니 몸에 무엇이든 붙일 수 있는 사람은 아무도 없었다”고 설명했다.

모크타리는 이날 웃통을 벗고 직접 ‘염력’ 자랑에 나섰다. 숟가락 여러 개와 동전, 휴대전화, 라이터, 오이, 사기그릇, 합판, 심지어 자동차 보닛까지 모두 척척 몸에 붙였다. 과학적으로는 설명이 불가능해 보이는 현상에 대해 모크타리는 ‘염력’ 이야기를 꺼냈다.

그는 “나는 염력을 가지고 있다. 마음의 힘을 사용할 줄 안다”고 주장했다. 염력은 생각만으로 작용을 일으키는 초능력의 하나로, 손을 대지 않고 정신작용만으로 물체의 위치를 옮기는 일 따위를 일컫는 개념이다.

모크타리는 염력을 사용해 다른 사람 몸에도 숟가락을 붙일 수 있다고 설명했다. 실제로 그는 아무것도 달라붙지 않던 사람의 손을 잡아 이마에 숟가락을 붙이는 모습을 선보였다. 그러면서 “접착제는 전혀 사용하지 않았다. 내 안의 에너지를 활용해 다른 사람 몸에도 숟가락을 붙일 수 있다”고 강조했다.

이어 “우리가 두뇌 명령에 따라 악수를 할 수 있는 것과 똑같은 이치다. 내가 얼굴에 무언가를 붙이고 싶다고 생각하면 그렇게 된다. 완벽히 내 통제 아래 있다. 원할 때 붙이고 원할 때 뗄 수 있다”고 역설했다.

하지만 전문가들은 유난히 끈적거리는 피부 때문일 뿐이라며, 염력을 보유하고 있다는 그의 주장을 일축했다.

일단 모크타리는 자신의 능력으로 기네스 세계 기록을 노리고 있다. 기네스북에는 ‘얼굴 위에 가장 많은 숟가락 올리기’, ‘몸에 가장 많은 숟가락 올리기’ 종목이 존재한다. 두 종목 모두 세르비아 출신 달리보 자블라보니크가 공식 세계 기록 보유자로 등재돼 있다. 자블라보니크는 2013년 9월 숟가락 31개를 얼굴에, 2016년 6월 숟가락 79개를 몸에 붙여 세계 기록을 인정받았다.

모크타리는 자신이 2017년 이미 숟가락 83개를 몸에 붙여 기네스 세계 기록을 경신했다고 설명했다. 하루 빨리 세계 기록 보유자로 인정받기를 기대한다는 말도 덧붙였다.

권윤희 기자 heeya@seoul.co.kr

▶서울신문 나우뉴스 통신원 및 전문 프리랜서 기자 모집합니다 나우뉴스(nownews.seoul.co.kr) [페이스북] [군사·무기] [별별남녀] [기상천외 중국] - 저작권자 ⓒ 서울신문사 -

Copyright © 서울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