개천절 태극기 게양 방법, 현충일과 다르다?

김정훈 기자 2020. 10. 3. 11:22
자동요약 기사 제목과 주요 문장을 기반으로 자동요약한 결과입니다.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10월3일 개천절을 맞아 태극기 게양 방법에 대한 관심이 뜨겁다.

개천절은 '하늘이 열린 날'이라는 뜻을 지녔다.

개천절이 국경일인 만큼 태극기를 게양해야 한다.

다만 태극기는 경축일과 조의를 표하는 날에 따라 다는 방법이 다르다.

음성재생 설정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개천절을 맞아 태극기 게양방법에 대해 관심이 높아진다./사진=이미지투데이
10월3일 개천절을 맞아 태극기 게양 방법에 대한 관심이 뜨겁다.

개천절은 ‘하늘이 열린 날’이라는 뜻을 지녔다. 단군왕검이 기원전 2333년 최초의 민족 국가인 고조선을 건국한 날을 기념하는 국경일이다.

나라를 처음 연 날이라고 해 대한민국 임시정부에서는 1919년부터 음력 10월3일을 기념했고, 1949년 정부수립 이후에는 양력 10월3일을 국경일로 지켜왔다.

개천절이 국경일인 만큼 태극기를 게양해야 한다. 다만 태극기는 경축일과 조의를 표하는 날에 따라 다는 방법이 다르다.

개천절을 비롯한 3.1절·제헌절·광복절·한글날의 5대 국경일과 국군의 날에는 깃봉과 깃면의 사이를 떼지 않고 달아야 한다.

반면 현충일, 국장 기간, 국민장일 및 정부지정일 등 조의를 표하는 날에는 국기 깃면의 세로 너비만큼 깃봉에 간격을 두고 태극기를 내려서 달아야 한다.

즉 개천절에는 깃봉과 깃면의 사이를 떼지 않고 달아야 한다.

태극기 게양 시간은 오전 7시부터 오후 6시까지다. 단독(공동) 주택의 경우 집 밖에서 보아 대문의 중앙이나 왼쪽에 게양하며 차량은 전면에서 보아 왼쪽에 게양한다.

건물 주변은 전면 지상의 중앙 또는 왼쪽, 옥상이나 차양시설 위의 중앙, 또는 주된 출입구의 위 벽면의 중앙에 게양한다.

[머니S 주요뉴스]
"복권 당첨금 538억, 주인을 찾습니다"
'일본 김태희' 이시하라 사토미, 품절녀 사실?
롤스로이스 타는데 건보료는 '0'원… 왜?
'고칼로리 먹방' 홍선영, 정말 괜찮나
"너무 예쁜 여신" 생얼 공개했더니 "못생긴 X"
"정신없이 울었다"… 공유-이언 어떤 사이길래
고은아 엄마 판박이?… '미르도 헷갈린 DNA'
‘장동건♥︎’ 고소영, 추석밥상 이정도였어
윗집女, 아랫집女를 전기충격기로 '헉'
나훈아발 추석 '말 폭풍'… "세상이 왜 이래!"

김정훈 기자 kjhnpce1@mt.co.kr
<저작권자 ⓒ '성공을 꿈꾸는 사람들의 경제 뉴스' 머니S,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Copyright © 머니S & moneys.co.kr,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