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년 내내 먹어 지긋" 이상민도 반한 강레오 닭가슴살 요리 '육자회담'[어제TV]

서유나 2020. 9. 18. 06:01
자동요약 기사 제목과 주요 문장을 기반으로 자동요약한 결과입니다.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강레오의 요리는 닭가슴살만 1년 내내 먹어 질렸다던 이상민도 반할 맛이었다.

강레오는 "청송에 가면 닭골목이 있다. 닭불고기라고 가슴살을 이용하는데 넓게 썰어 석쇠에 굽는다. 45년 정도 된 건데 해남식 떡갈비 언양식 불고기 중간 정도"라며 "닭가슴살만 있으면 퍽퍽할 거라 생각하는데 부드럽다"고 그 맛을 예고했다.

이상민은 "전 강셰프님이 만들고 있는 닭불고기가 맛있을지 의문"이라고 솔직하게 고백, 자신이 닭가슴살만 먹던 시절을 추억했다.

음성재생 설정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뉴스엔 서유나 기자]

강레오의 요리는 닭가슴살만 1년 내내 먹어 질렸다던 이상민도 반할 맛이었다.

9월 17일 방송된 JTBC 예능 '육자회담' 4회에서는 고기 좀 먹어본 6인이 닭고기에 대해 알아보는 시간을 가졌다.

가장 먼저 이들은 생전 처음 보는 닭요리부터 맛봤다. 이름하여 닭엿. 강레오는 "원래 보양식으로 먹던 것"이라며 꿩엿을 더 먼저 먹었으나 꿩이 워낙 잡기 힘드니 '꿩 대신 닭' 닭으로 만들기 시작한 음식이라고 밝혔다. 그 맛은 장조림 식감의 고기가 씹히는 엿 맛이었다.

이들은 이제는 한국인의 소울 푸드가 된 통닭에 대해서도 말했다. 정준하, 이상민은 이 음식을 서민 음식으로 기억하고 있었지만 강레오에 의하면 1960년 처음 나왔을 당시엔 중산층의 음식이었다. 강레오는 "일반 서민층은 먹기 힘든 중산층 문화였다. 지금처럼 튀기는 게 아니라 전기구이 통닭이었다"고 말했다.

이후 강레오는 닭가슴살이 퍽퍽하다는 편견을 깨는 요리에 도전했다. 메뉴는 청송 닭불고기. 강레오는 "청송에 가면 닭골목이 있다. 닭불고기라고 가슴살을 이용하는데 넓게 썰어 석쇠에 굽는다. 45년 정도 된 건데 해남식 떡갈비 언양식 불고기 중간 정도"라며 "닭가슴살만 있으면 퍽퍽할 거라 생각하는데 부드럽다"고 그 맛을 예고했다.

하지만 이상민은 그 맛에 의구심을 품었다. 이상민은 "전 강셰프님이 만들고 있는 닭불고기가 맛있을지 의문"이라고 솔직하게 고백, 자신이 닭가슴살만 먹던 시절을 추억했다.

이상민은 "한창 운동할 때 닭가슴살만 1년 먹은 적이 있다. 죽기 전에 몸 한 번 사진으로 남기자 해서 1년 내내 닭가슴살, 고구마만 먹었다. 그래서 '이상민 몸 사진'을 검색하면 그 사진이 나온다"며 "닭가슴살만 1년을 먹으니 하루는 구워먹고 하루는 삶아먹고, 요플레와도 섞어먹고. 어떻게 먹어야 맛있을까 연구했었다"고 밝혔다. 이미 다 도전해봤기에 그 맛이 무척 뻔하다는 뜻이었다.

이에 쏘영 역시 공감했다. 쏘영은 "살 안 찐다고 해서 먹었는데 퍽퍽한 걸 싫어하니 맛있단 걸 느껴본 적이 없다"고 말했다.

그러나 강레오는 자신의 요리로 두 사람의 편견을 완전히 깨줬다. 강레오 표 닭불고기를 먹은 쏘영은 "닭가슴살이라 퍽퍽할 줄 알았는데 전혀 그렇지 않다"고 평했고 이상민 역시 "우리가 아는 닭가슴살 식감이라고 생각하면 큰일"이라고 말했다. 이상민과 쏘영은 자신들이 싫어하던 냉동 닭가슴살의 놀라운 변신에 감탄했다. (사진=JTBC '육자회담' 캡처)

뉴스엔 서유나 stranger77@

기사제보 및 보도자료 newsen@newsen.com copyrightⓒ 뉴스엔. 무단전재 & 재배포 금지

Copyright © 뉴스엔.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