포스트 코로나 시대, 농막에도 열회수환기장치 필요할까?

조성일 2020. 9. 3. 06:00
음성재생 설정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농막 속 열회수환기장치

요즘 건축 시장에서 급성장하고 있는 농막.
건축 필수 자재로 손꼽히는 열회수환기장치가 과연 농막에도 필요할까?




도시외지역 건축 시장에 새로운 바람이 불고 있다. 정부의 부동산 규제로 1가구2주택과 다주택 보유를 피하고 싶고, 코로나19로 인한 비대면 가족 휴양지의 필요성이 높아지면서 ‘농막’ 시장이 급성장하고 있는 것이다. 또, 건축법 강화로 건축비가 상승해 주택 신축이 어려운 영세 농업인들과 저소득층의 주거시설로도 농막 선호도가 높아지고 있다.

‘농막’이란 농지를 소유한 농업인이 농사일을 하는 도중 휴식을 취하고 농사용 도구와 재료를 보관하기 위하여 축조하는 가설 건축물을 말한다. 농막의 허용 규모는 20m2 미만이고 다락방도 가능하다.

농막은 개발행위허가·농지전용허가·건축허가를 받지 않아도 되고, 가설 건축물 신고만 하면 설치할 수 있으며 주택 수에도 포함되지 않는다. 요즘은 지자체에 따라 정화조 설치도 가능한 지역도 있어 주말 가족 휴양시설로 사용하기에 좋다. 단, 농막은 지목이 농지인 전·답· 과수원에만 둘 수 있고, 대지와 임야의 경우는 불가능하다.


농막의 진화

1) 대량 생산의 시작과 주거 가능한 구조

농막을 전문적으로 제작·판매하는 회사들이 다양한 농막을 선보이고 있다. 이미 여러 중소기업이 농막 제작공장을 가동 중이고, 자동차나 가전제품처럼 농막도 공장에서 대량 생산하는 공산품 시대가 열리고 있다.

또한, 이제 컨테이너를 농지 한 귀퉁이에 놓고 캠핑용 조리도구를 사용해 식사를 해결하고 냄새나는 이동식 화장실을 이용하던 농막은 잊어라. 요즘 농막은 주방시설이 갖춰져 있고, 수세식 화장실 및 따뜻한 물로 샤워까지 가능하다. 여러 가지 난방 아이디어가 도입되어 한겨울에도 농막을 즐기는 주거가 가능한 구조로 진화했다.


농막 평면 3D


2) 공간 활용 아이디어

농막은 20㎡(6PY) 바닥 면적에 거실 겸 침실, 화장실, 주방, 현관을 배치하고 다락방까지 만들어 좁은 공간을 최대한 활용해 살림집을 축소한 듯한 모습으로 발전했다. 천장고를 높여 답답함을 없애고 작은 부분까지 수납공간으로 만들어 생필품 보관에도 불편함이 없다.


ⓒ아인스홈


3) 난방 방식 및 소재의 변화와 고급화

난방 방식에도 변화가 찾아왔다. 예전에는 농막에 난방을 한다면 전기필름을 까는 것이 전부였지만, 현재 농막은 전기보일러와 가스보일러, 기름보일러까지 일반 주거용 주택에서 사용하는 난방 방식이 적용되어 추위로부터 완전히 벗어났다. 소재 면에서는 컨테이너와 샌드위치패널로 짓던 때와 달리 목조주택을 짓는 목재, 전기자동차와 골프채를 만드는 탄소섬유(구조패널) 등이 쓰이기까지 한다.

농막도 고급화 바람이 불면서 1,500만~6,000만원대 농막도 많아졌다. 일반주택에서나 사용하던 시스템창호가 설치되고 수입 목재로 지어지며 농막도 가치 있는 자산으로 변모하는 중이다.


ⓒ아인스홈


농막의 문제점

농막의 가장 큰 문제점은 좁은 공간에서 여러 사람이 호흡하고 조리기구를 사용하면서 실내공기의 오염이 심해지고 산소농도가 떨어지는 것이다. 이런 실내공기 오염을 해결할 가장 좋은 방법이 바로 벽부형 열회수환기장치의 설치. 벽부형 열회수환기장치는 실내의 오염된 공기를 내보내고 외부의 신선한 공기를 들이기를 반복하면서 미세먼지필터를 통해 초미세먼지까지 제거한다.

이탈리아에서 벽부형 열회수환기장치를 수입 판매하는 아인스홈에서는 30만원대의 저렴한 제품을 국내에 보급하고 있다. 가격이 저렴해 설치에도 부담이 없고 관리도 간편하다.


아인스홈 아인스 에어 탱크


TIP. 농막 전기 사용 형태

1. 농사용 전력
바닥난방과 취사시설이 없는 경우

2. 주거용 전력
바닥난방과 취사시설이 있는 경우

3. 전기 신규 사용 신청
신청방법 : 전기공사업체 선정 후 한국전력공사에 신청서 제출
필요서류 : 신청서, 토지대장, 가설건축물설치신고서, 신분증
설치비용 : 한국전력공사에 납부하는 시설부담금* + 전기공사업체에 지급하는 내선공사비

* 시설부담금 : 가장 가까운 전신주까지의 거리가 200m 이내일 경우에는 242,000원이고, 전신주 설치비용은 추가로 납부하지 않는다. 전기공사업체의 내선공사비는 업체와 별도 협의하여야 한다.


농막은 고정형 기초를 사용할 수 없어 동절기나 우기에 지반 불안정에 대비해 건물의 수평 유지를 주기적으로 점검해야 한다. 농막 기초 불안정을 해결할 방법으로는 농막을 설치하기 전 설치 위치의 바닥 다짐을 단단하게 하는 것이 최선이다. 또한, 농막은 기초콘크리트를 칠 수 없고 바닥 띄움 구조로 지어야 하기에 겨울철 냉기 유입 및 지표면 습기로 인한 바닥 구조물 부식에 철저히 대비해야 한다. 바닥 구조물의 방습이 잘되지 않으면 몇 년 지나지 않아 바닥이 내려앉는 문제가 발생한다. 뿐만 아니라 바닥 단열을 제대로 하지 않으면 난방을 해도 바닥에서 한기가 올라와 겨울철 사용이 어렵다. 

농막은 상주하여 지속적인 난방을 하는 건축물이 아니고 주말이나 휴일 사용하는 건축물이라 겨울철 비상주 시기에 실내 배관의 동파 우려도 매우 높다. 그래서 수도배관에 열선을 감는 경우가 많은데, 이는 화재의 원인이 될 수 있어 요즘은 수도배관 안에 열선을 삽입하는 방법을 사용한다.

현재 우리나라 농막 시장의 규모는 소규모 시공업체를 포함하면 수천억원대에 이르고 급속도로 커가고 있다. 이에 발맞춰 아인스홈에서는 농막 설계도면을 무료로 제공하고 있다. 도면은 아인스홈 블로그(https://blog.naver.com/einshome0825)에서 다운로드할 수 있다. 포스트 코로나 시대, 가족의 비대면 휴양시설로 한 번쯤은 농막을 검토해 볼 만 하다.



아인스 에어 탱크 대리점 개설 문의

아인스홈

서울시 강동구 양재대로 1355 오스카빌딩 313호
02-486-1259, 010-8896-7935  www.einshome.com




구성_ 편집부

ⓒ 월간 전원속의 내집   2020년 9월호 / Vol.259  www.uujj.co.kr




Copyright © 월간 전원속의 내집.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