8월28일 전자 전화번호부까지 개발했지만.. [오래 전 '이날']

김지환 기자 2020. 8. 28. 00:06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경향신문]
1960년부터 2010년까지 10년마다 경향신문의 같은 날 보도를 살펴보는 코너입니다. 매일 업데이트합니다.

■ 1990년 8월28일 전자 전화번호부까지 개발했지만…

요즘 가게 전화번호 찾는 일은 그리 어렵지 않습니다. 포털 사이트 등에서 찾고자 하는 곳을 검색하면 위치와 함께 전화번호까지 안내가 돼 있기 때문입니다. 하지만 30년 전만 해도 전화번호부의 역할이 중요했습니다.

30년 전 오늘 경향신문에는 ‘컴퓨터 114 등장’이라는 제목의 기사가 실렸습니다. 컴퓨터가 전화번호를 찾는 전자전화번호부 서비스가 개발, 보급된다는 내용이었습니다.


“한국전기통신공사는 서울권에서 인명부, 단체부 등을 검색할 수 있는 시범 서비스를 내년 6월부터 제공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이해욱 전기통신공사 사장은 ‘1989년부터 전자전화번호부 서비스를 위한 통신처리장치와 데이터베이스 구축에 필요한 소프트웨어 등 기술 개발에 착수, 1992년 중반에는 서울지역 업종별 전화번호와 그림광고 등을 추가 개발하겠다’고 말했다. 이어 1993년에는 부산·대구·대전·광주 등 4개 도시로 확대하고 1995년까지는 전국적으로 서비스를 제공키로 했다. 통신공사는 이와 함께 전자전화번호부를 이용할 수 있는 정보검색 단말기 300만대를 보급한다. 정보통신용 단말기는 올해부터 1996년까지 6000여억원을 투자하는데 내년 상반기에 서울 여의도, 경기 과천, 광주 등에 1만대를 보급, 시범 서비스를 실시한다.”

시범 서비스 대상은 통신공사가 구입한 20만원 상당의 정보통신용 단말기를 가정에 설치, 소정의 임대료를 내고 이용할 계획이었다고 합니다.

1998년에는 전국의 인명, 상호 및 업종별 가입자 전화번호를 담은 CD전화번호부까지 나왔습니다. 당시 전국판 CD롬 전화번호부는 전국의 1300만여명의 인명가입자와 400만 상호가입자의 전화번호를 모두 수록했습니다.

1988년 경향신문에 실린 광고.


전화번호부에는 가입자의 성명, 주소 등 개인정보가 담긴 인명부가 있었기 때문에 프라이버시 문제가 불거지기도 했습니다. 시민단체 ‘함께하는 시민행동’은 2003년 7월 홈페이지에 “종이책으로 된 기존의 전화번호부야 상대적으로 심각성이 적지만, CD롬으로 제작된 전화번호부의 경우 DM 발송 등에 이용되면서 프라이버시 문제를 야기한다”고 밝혔습니다.

당시 전화번호부 같은 오프라인 매체는 개인정보 보호 관련 법률의 적용 대상이 아니었고, 적용 대상이 된다 해도 가입 시 고객들로부터 전화번호부 게재 여부를 선택하게 해 동의를 한 사람에 한해 공개하기 때문에 불법은 아니었습니다. 하지만 오프라인 전화번호부를 전제로 했던 동의와 CD롬 같은 전자적 형태의 전화번호부를 위한 동의는 구분돼야 한다는 지적도 있었습니다. 이에 함께하는 시민행동은 CD롬 전화번호부에 고객 연락처를 제공할 때는 새로 동의를 받을 것을 정부에 요구하기도 했습니다. 인명부는 개인정보 유출 논란 끝에 2008년부터 발간이 중지됐다고 합니다.

인터넷과 휴대폰의 보급 등으로 이제 전화번호부는 추억 속의 물건이 됐습니다. <응답하라 1988> ‘성균이네’에서 전화번호부를 끼고 사는 덕후 아들 정봉(안재홍)이의 모습을 통해야만 전화번호부의 전성기를 엿볼 수 있게 됐습니다.

김지환 기자 baldkim@kyunghyang.com

Copyright © 경향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