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포 '아리팍' 3.3㎡당 1억 돌파.. '똘똘한 한채' 보유로 회귀?

권혁준 기자 2020. 8. 9. 17:41
자동요약 기사 제목과 주요 문장을 기반으로 자동요약한 결과입니다.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6·17 대책·7·10 대책'에 임대차 3법까지 정부가 온갖 규제를 쏟아내고 있지만 강남 집값 상승세는 계속되고 있다.

3.3㎡당 1억원 이상 거래된 첫 단지가 나왔다.

해당 면적은 지난해 10월 34억원에 거래되며 평(3.3㎡)당 1억원 아파트 시대를 열었다.

노원구 상계동 '상계주공3단지' 전용 60.5㎡은 지난달 7억원에 실거래돼 올 1월(6억원) 거래가보다 1억원 올랐다.

음성재생 설정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잇단 규제에 서울 등 곳곳 신고가
다주택자 고가아파트 집중 움직임
서울서초구 아크로리버파크가 최근 또다시 매매가 기준으로 3.3㎡당 1억 원에 거래됐다. /사진=서울경제DB
[서울경제] ‘6·17 대책·7·10 대책’에 임대차 3법까지 정부가 온갖 규제를 쏟아내고 있지만 강남 집값 상승세는 계속되고 있다. 3.3㎡당 1억원 이상 거래된 첫 단지가 나왔다. 다주택자들이 기존 셋집을 정리하고 ‘똘똘한 한 채’로 집중해 강남권 등 고가주택 가격 상승세가 이어진다는 지적이 나온다.

9일 국토교통부 실거래가에 따르면 서울 서초구 반포동 ‘아크로리버파크’ 전용 84.95㎡(옛 34평)는 지난달 35억7,000만원에 매매 거래됐다. 3.3㎡당 1억원을 넘어선 것이다. 해당 면적은 지난해 10월 34억원에 거래되며 평(3.3㎡)당 1억원 아파트 시대를 열었다.

강남지역의 거래량은 크게 줄었지만 신고가는 계속 나오고 있다. 송파구 가락동 ‘헬리오시티’ 전용 84㎡의 분양권 또한 20억원에 거래됐다. 해당 평형의 20억원대 거래는 처음이다. 강남구 일원동의 ‘래미안 개포 루체하임’ 전용 84.97㎡는 지난 5일 24억8,500만원에 손바뀜되며 7월 전 고가인 23억4,000만원을 넘어섰다. 압구정동의 ‘현대2차’ 아파트 전용 160.28㎡도 지난달 30일 전 고가보다 2억원 오른 42억원에 매매됐다.

이 같은 현상은 서울에만 국한되지 않는다. 수원 장안구 ‘화서역파크푸르지오’ 전용 101.9㎡ 분양권은 지난달 12억1,040만원에 거래되며 신고가를 경신했다. 성남 수정구 ‘위례자연앤센트럴자이’ 전용 84㎡ 또한 지난달 14억2,000만원에 손바뀜됐다. 이들 지역은 기존 조정대상지역이었지만 6·17 대책으로 투기과열지구로 격상, 각종 대출 규제 등이 적용됐다.

각종 규제에도 불구하고 고가 아파트 단지에서 신고가가 나오는 원인을 두고 ‘똘똘한 한 채’로의 회귀 현상이 지목되고 있다. 등록임대사업자 폐지 및 임대차 3법에 따라 다주택 유지가 어려워지면서 이들이 수도권 외곽 및 지방의 ‘못난이’들을 팔고 그 돈으로 강남 3구 등 상급지로의 이동을 꾀하고 있다는 뜻이다. 여전한 신축 인기 속 주택 공급 부족 우려도 입주·분양권 및 신축 아파트 급등세에 영향을 주고 있다.

중저가 아파트 역시 신고가가 나오고 있다. 노원구 상계동 ‘상계주공3단지’ 전용 60.5㎡은 지난달 7억원에 실거래돼 올 1월(6억원) 거래가보다 1억원 올랐다. 강북구 미아동 ‘SK북한산시티’ 전용 84.92㎡ 또한 최근 7억4,000만원에 실거래가 등재돼 전고가(6억8,000만원)을 훌쩍 뛰어넘었다. /권혁준기자 kwon@sedaily.com

Copyright © 서울경제.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