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포 '아리팍' 3.3㎡당 1억 돌파.. '똘똘한 한채' 보유로 회귀?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6·17 대책·7·10 대책'에 임대차 3법까지 정부가 온갖 규제를 쏟아내고 있지만 강남 집값 상승세는 계속되고 있다.
3.3㎡당 1억원 이상 거래된 첫 단지가 나왔다.
해당 면적은 지난해 10월 34억원에 거래되며 평(3.3㎡)당 1억원 아파트 시대를 열었다.
노원구 상계동 '상계주공3단지' 전용 60.5㎡은 지난달 7억원에 실거래돼 올 1월(6억원) 거래가보다 1억원 올랐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다주택자 고가아파트 집중 움직임
9일 국토교통부 실거래가에 따르면 서울 서초구 반포동 ‘아크로리버파크’ 전용 84.95㎡(옛 34평)는 지난달 35억7,000만원에 매매 거래됐다. 3.3㎡당 1억원을 넘어선 것이다. 해당 면적은 지난해 10월 34억원에 거래되며 평(3.3㎡)당 1억원 아파트 시대를 열었다.
강남지역의 거래량은 크게 줄었지만 신고가는 계속 나오고 있다. 송파구 가락동 ‘헬리오시티’ 전용 84㎡의 분양권 또한 20억원에 거래됐다. 해당 평형의 20억원대 거래는 처음이다. 강남구 일원동의 ‘래미안 개포 루체하임’ 전용 84.97㎡는 지난 5일 24억8,500만원에 손바뀜되며 7월 전 고가인 23억4,000만원을 넘어섰다. 압구정동의 ‘현대2차’ 아파트 전용 160.28㎡도 지난달 30일 전 고가보다 2억원 오른 42억원에 매매됐다.
이 같은 현상은 서울에만 국한되지 않는다. 수원 장안구 ‘화서역파크푸르지오’ 전용 101.9㎡ 분양권은 지난달 12억1,040만원에 거래되며 신고가를 경신했다. 성남 수정구 ‘위례자연앤센트럴자이’ 전용 84㎡ 또한 지난달 14억2,000만원에 손바뀜됐다. 이들 지역은 기존 조정대상지역이었지만 6·17 대책으로 투기과열지구로 격상, 각종 대출 규제 등이 적용됐다.
각종 규제에도 불구하고 고가 아파트 단지에서 신고가가 나오는 원인을 두고 ‘똘똘한 한 채’로의 회귀 현상이 지목되고 있다. 등록임대사업자 폐지 및 임대차 3법에 따라 다주택 유지가 어려워지면서 이들이 수도권 외곽 및 지방의 ‘못난이’들을 팔고 그 돈으로 강남 3구 등 상급지로의 이동을 꾀하고 있다는 뜻이다. 여전한 신축 인기 속 주택 공급 부족 우려도 입주·분양권 및 신축 아파트 급등세에 영향을 주고 있다.
중저가 아파트 역시 신고가가 나오고 있다. 노원구 상계동 ‘상계주공3단지’ 전용 60.5㎡은 지난달 7억원에 실거래돼 올 1월(6억원) 거래가보다 1억원 올랐다. 강북구 미아동 ‘SK북한산시티’ 전용 84.92㎡ 또한 최근 7억4,000만원에 실거래가 등재돼 전고가(6억8,000만원)을 훌쩍 뛰어넘었다. /권혁준기자 kwon@sedaily.com
Copyright © 서울경제.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신용카드 빌려줬다 온가족이 패가망신..광주에 무슨일이
- 윤석열 "독재" 발언에 폭발한 여당.. '총장 해임' 3대 전략은?
- [단독] '매물실종·전세가 폭등' 임대차법 후폭풍..정부는 이미 알고 있었다
- '미스맥심'이하니, 완벽한 S라인 뇌쇄적 눈빛..섹시美에 취한다
- '전공의 파업' 겨우 넘겼더니..이번엔 동네의원 집단휴진
- "매주 국민에 고통·피해 주는 정권"..또 거리 메운 집값 대책 시위
- 손발 다 잘린 윤석열..살아있는 권력에 칼 겨눌 수 있을까
- 文대통령 저격수 된 진중권, "'조국에 마음의 빚 있다' 듣고 뜨악"
- '가짜 불륜 스캔들 동영상' 유포에 고민정 "제작자 명예훼손 고소"
- "청와대 보다 집이네요"..靑 참모 집단 사의에 '싸늘한 부동산 여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