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수 실종·전세 급등.. 청주 '지방 부동산 몰락' 신호탄?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돈을 얹어줘도 집을 안 사겠다네요."
지난달 수도권 외 지역 가운데 광역시를 제외하고는 처음 조정대상지역에 묶인 청주는 '7ㆍ10 부동산 대책'으로 세금 부담까지 더해지자 매수세가 사라지고 전세값이 급등하는 이중 충격이 본격화하고 있다.
부동산 업계에서는 앞으로 다주택자들이 절세를 위해 지방 아파트부터 내놓을 가능성이 높아, 많은 지방 부동산이 청주시의 전철을 밟을 수 있다고 우려하고 있다.
실제 현장에서 전하는 청주시 부동산 시장은 그야말로 "침몰 중"이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세부담 증가에 외지인 투자자 매물 던져
투기 잡으려다 지역 실수요까지 '불똥'
"돈을 얹어줘도 집을 안 사겠다네요."
충북 청주시에서 공인중개사무소를 운영하는 A씨는 최근 난처한 상황에 빠졌다. 전용면적 59㎡인 흥덕구 아파트가 1억2,500만원에 매물로 나왔는데, 매수자를 찾을 수 없기 때문이다. 심지어 이 집에서 1억3,000만원에 전세를 사는 세입자마저 난색을 표했을 정도다. A씨는 "집주인이 전세가보다 500만원을 낮춰 집을 팔겠다는 데도 거절당했다"며 "집값이 더 떨어질 것 같다는 게 거절의 이유"라고 전했다.
정부의 규제 여파로 지방 부동산 시장이 급격히 얼어붙을 조짐을 보이고 있다. 지난달 수도권 외 지역 가운데 광역시를 제외하고는 처음 조정대상지역에 묶인 청주는 '7ㆍ10 부동산 대책'으로 세금 부담까지 더해지자 매수세가 사라지고 전세값이 급등하는 이중 충격이 본격화하고 있다.
부동산 업계에서는 앞으로 다주택자들이 절세를 위해 지방 아파트부터 내놓을 가능성이 높아, 많은 지방 부동산이 청주시의 전철을 밟을 수 있다고 우려하고 있다.
반대로 달리는 매매와 전세
26일 한국감정원에 따르면, 지난주 청주시 아파트 매매가격(20일 기준)은 전주 대비 0.06% 오르는 데 그쳤다. 지난 13일 기준 상승률인 0.08%보다 0.02%포인트 내려간 수치다. 반면 전세가격은 같은 기간 0.13% 오르며 상승폭이 0.02%포인트 커졌다. 매매가격은 수위를 낮추고 전세값이 오르는 현상이 본격화될 조짐이다.
실제 현장에서 전하는 청주시 부동산 시장은 그야말로 "침몰 중"이다. '갭투자(전세를 낀 매수)' 차단과 보유세 등 세금부담 증가로 외지인 투자자들이 집을 내놓자 매물이 쌓이면서 집값은 떨어지는데, 매수 수요는 사실상 사라졌기 때문이다.
평소 실수요자였던 이 지역 무주택자들까지 앞으로 집값이 크게 떨어질 것이라는 불안감에 전세만 찾는 분위기가 감지된다. 실제 국토교통부에 따르면 18일 흥덕구 가경아이파크1차 전용면적 59.81㎡가 2억8,000만원에 전세계약을 맺었다. 이는 약 2년 전인 2018년 11월에 거래된 1억1,000만원보다 2배 이상 상승한 값이다.
청주는 지방 부동산 몰락 '신호탄'?
현지 업계에서는 정부가 쏜 '투기와의 전쟁' 유탄이 애꿎은 지역 주민에게 날아들고 있다고 호소한다. 지난 5월 초 방사광가속기 유치 효과로 지난달 중순까지 급등하던 청주시 집값은 연달은 6ㆍ17과 7ㆍ10 대책으로 이달 들어 크게 가라앉았다.
문제는 주택 매물이 일시에 대량으로 쏟아지면서, 부동산 시장이 안정을 넘어서 침체에 빠졌다는 점이다. 청주시의 한 부동산 대표는 "계약만기를 앞둔 세입자나 큰 면적으로 이사하려던 주민들은 울어버릴 지경"이라고 귀띔했다.
전문가들은 앞으로 자칫 지방 전체가 청주시 같은 상황에 직면할 수 있다고 우려한다. 정부 방침대로 거래, 보유, 양도세가 모두 오르면 수도권과 지방에 집을 보유한 다주택자들은 지방 아파트부터 처분할 가능성이 크기 때문이다.
이미 징조도 나타나고 있다. 한국감정원에 따르면 지난 20일 기준 지방 아파트 매매수급동향지수는 전주보다 1.1포인트 떨어진 93.9를 기록했다. 지난 5월 84.8을 기록한 뒤 11주 만에 첫 하락이었다. 이 수치가 낮아지면 아파트 매매 수요보다 공급이 많아졌단 뜻이다.
지방 부동산의 충격을 막으려면 정부가 부동산 정책 기조를 바꿔야한다는 조언도 나온다. 마강래 중앙대 도시계획ㆍ부동산학과 교수는 "장기적 관점을 갖고 지방 거점공간을 서울 같은 융복합 공간으로 만드는 것이 급선무"라며 "부동산 문제는 일자리와 산업 정책을 병행해 풀어야 하는데, 지금 같은 정책으로는 서울로 돈이 쏠리는 현상을 막을 수 없을 것"이라고 지적했다.
강진구 기자 realnine@hankookilbo.com
Copyright © 한국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탈북민 지인들, 월북 사실 이미 알았다
- 탈북 유튜버 "김씨, 월북 준비 치밀 임대아파트 보증금 빼 달러로 환전"
- 주호영, '천박한 서울' 이해찬에 "스스로 부끄러워해야"
- 이낙연 '차분' 김부겸 '폭발' 박주민 '도발'.. 與대표 주자 3색 연설
- 진보 성향 강한 3040의 이탈 "영원한 집토끼는 없다"
- "SNS 중단한다"던 박지원, 청문회 앞두고 재개.. 왜?
- 고용부 국장, 카톡으로 부하 성희롱.. 직위해제
- 중기유통센터, 황당 채용실수.. 합격자 39명 탈락, 탈락자 3명 최종합격
- 푸틴 "러 해군, 극초음속 순항미사일·핵 수중 드론 무장할 것"
- 트럼프 대통령 "한미동맹, 세계 평화·안정 위해 필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