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톡톡일본] 서명보다 도장 고집하는 일본의 '손글씨' 투표

이세원 2020. 7. 18. 09:09
음성재생 설정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검은 필기구로 이름 기재..연필 권장·지우개 사용 가능
"날인 방식으로 바꾸면 기한 내 투표용지 준비 못 할 수도"

(도쿄=연합뉴스) 이세원 특파원 =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이 확산해 재택근무가 세계 각지에서 자연스러운 흐름이 됐지만, 일본 직장인들은 도장을 찍기 위해 출근한다는 비웃음을 샀다.

일본은 이처럼 도장을 고집하면서도 각종 선거 때는 도장의 일종인 기표 용구로 날인하는 대신 필기구로 후보자의 이름을 쓰도록 하는 경우가 많다.

은행 거래, 계약서, 영수증 등 서명을 인정하면 편리한 곳에는 도장을 고수하면서도 기표 용구를 쓰면 간단할법한 투표장에서는 굳이 자필로 후보자의 이름을 쓰게 하는 것이다.

(도쿄 EPA=연합뉴스) 5일 일본 도쿄도에 마련된 도쿄지사 선거 투표소에서 유권자들이 필기구를 들고 투표용지에 기입하고 있다.

도쿄도 선거관리위원회가 공표한 최근 도쿄 지사 선거 개표 결과를 보면 혐한 시위를 일삼았던 사쿠라이 마코토(櫻井誠) 후보가 17만8천784.293표를 얻은 것으로 나온다.

뒤에 붙은 0.293표가 눈길을 끈다.

기표 도구 대신 필기구를 쓰게 한 것과 관련이 있다.

이번 선거에 성만 다르고 이름이 같은 니시모토 마코토(西本誠)라는 후보도 출마했는데 투표용지에 성을 쓰지 않고 '마코토'라고만 쓴 유권자가 있었기 때문이다.

이런 투표지는 사쿠라이 마코토에게 투표한 것인지, 니시모토 마코토에게 투표한 것인지 명확하지 않기 때문에 표를 두 후보에게 나눠준 결과 소수점 이하 득표가 발생했다는 것이다.

한국의 제21대 국회의원선거를 하루 앞둔 2020년 4월 14일 오후 서울 종로구 청운초등학교 2층 체육관에서 서울특별시선거관리위원회 관계자들이 기표 용구 등을 점검하고 있다. 도쿄지사 선거에서는 기표 용구 대신 연필 등 필기구가 사용됐다. [연합뉴스 자료사진]

도쿄도 선관위 관계자는 "예를 들어 사쿠라이 마코토라고 기재한 표가 3표, 니시모토 마코토라고 쓴 표가 2표 있고 마코토만 적은 표가 1표 나왔다면 이 1표를 3대 2의 비율로 사쿠라이 마코토와 니시모토 마코토에게 나눠 준다"고 분배 방법을 설명했다.

유권자가 후보의 이름을 외우지 않아도 보고 따라 쓸 수 있도록 기표소에는 후보자의 이름이 비치돼 있다.

(도쿄 로이터=연합뉴스) 5일 실시된 일본 도쿄도(東京都) 지사 선거 투표장에서 선관위 관계자가 후보자의 이름을 쓸 때 사용할 연필을 소독하고 있다.

그런데도 후보의 이름을 실수로 혹은 고의로 잘못 쓰는 경우가 있는데 이런 경우 판정도 간단하지는 않다.

예를 들면 사쿠라이 마코토 후보의 성명을 쓰면서 '마코토'의 한자를 '정성 성'(誠) 대신 발음이 같은 '참 진'(眞)으로 쓰는 경우 등을 생각해 볼 수 있다.

선관위 관계자는 성명 표기 오류에 관해 "해당 유권자가 누구에게 투표했는지를 종합적으로 고려해 개표 현장에서 판단한다"고 설명했다.

성은 한자로 쓰면서 이름은 한자 대신 히라가나 혹은 가타카나로 표기하는 정치인이 있는데 이 역시 기명식 투표와 관련이 있다.

이름의 한자가 어려워 유권자가 잘못 쓰는 등 투표 때 불이익이 생길 것을 걱정해 쓰기 쉽게 표기를 바꾸는 것이라고 한다.

2020년 7월 5일 실시된 일본 도쿄도(東京都) 지사 선거 후보자를 알리는 홍보물이 도쿄에 게시돼 있다. [로이터=연합뉴스 자료사진]

일본 총무성의 설명에 따르면 선거 때 기표 용구를 도입하는 것이 금지된 것은 아니다.

지방 선거의 경우 지자체가 조례를 만들어 기표 용구를 사용하는 투표를 할 수 있다.

하지만 도쿄도는 기표 용구 투표를 위한 조례를 만들지 않았다.

왜 불편한 방식을 고집하는 것인지 묻자 선관위 관계자는 "후보자가 확정되는 것은 투표일이 2주가량 남았을 때인데 기표 용구를 쓰도록 투표용지에 후보자 이름을 다 넣으려면 투표일에 맞춰서 투표용지를 다 준비하기 어려울 수도 있다"고 반응했다.

(도쿄 EPA=연합뉴스) 2020년 7월 5일 일본 도쿄에 설치된 도쿄지사 선거 투표소에서 유권자가 투표용지를 투표함에 넣고 있다.

이번 도쿄 지사 선거에는 22명이 후보로 등록했지만, 투표용지에 후보자 이름을 인쇄할 필요가 없으니 용지의 크기는 가로 80㎜ 세로 128㎜에 불과했다.

후보자의 이름을 쓰는 도구는 볼펜, 사인펜, 네임펜 등이 검은 필기구가 대부분 인정된다.

선관위는 투표용지 소재와 가장 잘 조화된다며 연필을 추천했다.

이번 선거 때 선관위 측은 유권자를 위해 연필과 지우개를 준비하고 수시로 소독했다.

2020년 4월 10일 대전 유성구 온천2동 사전투표소가 마련된 어은중학교 다목적강당에서 유권자가 장갑을 끼고 투표지를 받고 있다. 한국은 후보자가 많으면 투표 용지가 길어진다. 반면 도쿄 지사 선거는 투표용지에 후보자의 이름을 인쇄하지 않고 유권자가 필기구로 직접 적는 방식이라서 후보가 많았지만, 투표용지 크기는 작았다. [연합뉴스 자료사진]

연필로 지지 후보 이름을 쓰다가 틀리면 지우고 다시 써도 된다.

개표 과정에서 연필로 쓴 후보의 이름을 고치거나 이런 일이 발생할 것을 우려하지 않느냐는 물음에 선관위 관계자는 "조작 가능성이 제로는 아니지만, 부정이 발생하지 않도록 지도·관리하고 있고 개표 현장도 주민에게 공개하고 있어 우려하는 분위기는 아니다"고 설명했다.

sewonlee@yna.co.kr

☞ 수영장에서 다같이 춤을?!…이 시국에 풀파티라니
☞ 문 대통령에 신발 던졌던 50대 남성 그 후…
☞ "꼬맹이 취급하지 마세요" 대답한 청소년 얼굴에 '퍽!'
☞ 당신 아내가 성폭행 당했다…남편에게 걸려온 전화
☞ 강제? 합의? 장관 성폭행 의혹에 정부-여성계 대립
☞ 남한과 '달라도 너무 다른' 북한의 역사교육
☞ '박원순 더러워!' 고려대에 붙은 게시판 대자보
☞ 한혜연·강민경, PPL 꼼수 논란에 입 열었다
☞ 20세 아들과 결혼한 35세 새엄마…"부도덕" vs "행복하길"
☞ 배우 김부선, 이재명 판결 직후 SNS에 "FXXX you"

▶연합뉴스 앱 지금 바로 다운받기~

<저작권자(c) 연합뉴스, 무단 전재-재배포 금지>

Copyright © 연합뉴스. 무단전재 -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