어획량 급감해 '금게'가 된 꽃게

황금천 기자 2020. 5. 21. 03:03
자동요약 기사 제목과 주요 문장을 기반으로 자동요약한 결과입니다.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주부 정윤미 씨(54)는 17일 꽃게를 구입해 저녁 식탁에 올리려고 인천 남동구 소래포구 어시장에 갔다가 천정부지로 오른 꽃게 가격에 발길을 돌렸다.

앞서 지난달 국립수산과학원 서해수산연구소는 인천해역의 4∼6월 예측 꽃게 어획량은 760∼930t으로 지난해 같은 기간(702t)에 비해 8% 이상 늘어날 것으로 예상했다.

음성재생 설정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외국인 선원 부족-궂은 날씨 여파
인천지역 위판량 작년보다 40% 줄어
이달 중순부터 어획량 증가 기대
어획량이 급감해 꽃게 가격이 지난해에 비해 크게 오른 가운데 18일 인천 남동구 소래포구 어시장의 꽃게 골목이 손님이 없어 한산하다. 김영국 채널A 스마트리포터 press82@donga.com
주부 정윤미 씨(54)는 17일 꽃게를 구입해 저녁 식탁에 올리려고 인천 남동구 소래포구 어시장에 갔다가 천정부지로 오른 꽃게 가격에 발길을 돌렸다. 매년 이맘때 꽃게(암컷) 1kg을 4만 원 안팎이면 살 수 있었지만 이날은 무려 6만 원대에 거래되고 있었다. 정 씨는 “보통 암꽃게 3마리 정도가 1kg인데 4명 가족이 한 끼를 먹으려면 10만 원 이상이 필요해 도무지 지갑을 열 수가 없었다”고 말했다.

해마다 봄이면 살이 꽉 차고 등딱지에 알을 품어 미식가들의 식욕을 자극하는 꽃게가 요즘 ‘금게’로 불리고 있다. 지난달부터 서해안 꽃게 주산지인 옹진군 연평어장(면적 약 764km²)을 비롯해 인천 앞바다에서 조업이 시작됐지만 꽃게가 좀처럼 잡히지 않고 있어서다.

꽃게는 겨울에는 깊고 먼 바다에서 겨울잠을 자고, 날씨가 따뜻해지는 4월부터 산란을 위해 수심이 얕고 수온이 높은 해안가로 이동한다. 이를 틈타 어민들은 그물로 꽃게잡이에 나선다.

옹진군에 따르면 지난달 연평도 등 인천해역에서 잡은 꽃게 위판량은 6069kg으로 지난해 같은 기간 위판량(1만670kg)에 비해 약 40%나 줄었다. 이처럼 꽃게 어획량이 줄면서 지난달부터 최근까지 옹진수협 위판장의 경매가는 암꽃게가 kg당 5만 원 이상에 거래되는 날이 늘고 있다. 지난해 같은 기간 경매에서는 5만 원을 넘은 경우가 단 하루도 없었다고 한다.

앞서 지난달 국립수산과학원 서해수산연구소는 인천해역의 4∼6월 예측 꽃게 어획량은 760∼930t으로 지난해 같은 기간(702t)에 비해 8% 이상 늘어날 것으로 예상했다. 어획량에 직접적인 영향을 끼치는 꽃게 유생(幼生)의 분포밀도가 지난해 1000m³당 4614마리로 비교적 높은 수준으로 나타났다. 2017년은 3209마리, 2018년은 5976마리였다. 또 꽃게가 주로 서식하는 바다 저층의 겨울철 수온도 8.6도로 지난해 대비 0.3도 떨어지기는 했지만 생육에 적당한 8도 이상을 유지했다고 분석했다.

인천지역 수산업계는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사태로 꽃게잡이 어선들이 외국인 선원을 구하는 데 어려움을 겪었고, 지난달 연이어 풍랑주의보가 내리는 등 조업에 차질을 빚어 어획량 감소에 어느 정도 영향을 준 것으로 보고 있다.

하지만 연평어장은 보통 5월 중순이 넘어서 꽃게가 많이 잡히기 때문에 어획량이 점점 늘어날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인천 해역의 4∼6월 꽃게 어획량은 2017년 2318t, 2018년 1203t, 2019년 702t으로 매년 감소하고 있다.

황금천 기자 kchwang@donga.com

Copyright © 동아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