집값 보다 먼저 내린 서울 주택매매 심리지수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코로나 19의 장기화와 정부의 부동산 대책 등의 여파로 서울의 주택매매 심리지수가 2개월 연속 하락 했다.
18일 국토연구원 부동산시장연구센터의 '4월 부동산시장 소비자심리조사' 결과에 따르면 지난달 서울 주택매매 심리지수는 103.8을 기록했다.
경기도의 4월 주택매매 심리지수는 전달(112.4)보다 5.5포인트 내린 106.9, 인천은 8.1포인트 하락한 111.7을 기록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서울 주택매매 심리지수 103.8 전달 보다 7.3p 하락
지난해 5월 이후 11개월 이래 가장 낮은 수준
[이데일리 김용운 기자] 코로나 19의 장기화와 정부의 부동산 대책 등의 여파로 서울의 주택매매 심리지수가 2개월 연속 하락 했다.
18일 국토연구원 부동산시장연구센터의 ‘4월 부동산시장 소비자심리조사’ 결과에 따르면 지난달 서울 주택매매 심리지수는 103.8을 기록했다. 전달 111.1에서 7.3포인트 내린 수치며 지난해 5월(98.6) 이후 최근 11개월 이래 가장 낮은 기록이다.
올해 서울의 주택매매 심리지수는 118.5에서 출발해 2월에는 122.7로 올랐지만 3월에는 111.1로 급락했고 4월에도 하락세를 이어갔다. 경기도의 4월 주택매매 심리지수는 전달(112.4)보다 5.5포인트 내린 106.9, 인천은 8.1포인트 하락한 111.7을 기록했다. 세종도 주택매매 지수가 2월 137.2에서 3월 121.3, 지난달 114.5 등으로 하락세가 멈추지 않고 있다.
전세시장 소비심리지수도 하락세에서 벗어나지 못했다. 지난달 서울의 전세 심리지수는 102.6으로 전달보다 2포인트 떨어졌고 경기도는 101.7로 1.5포인트 하락했다. 전국의 전세 지수는 전달보다 0.9포인트 하락한 100.7을 기록했다.
부동산시장연구센터는 코로나19의 장기화에 따른 경제활동 위축과 지난해 12·16 부동산 대책과 뒤이은 조정대상지역 추가 지정 및 민간 분양주택 전매 강화 등 잇따른 투기수요 억제책의 영향으로 주택매매 심리지수가 떨어지는 것으로 분석했다.
한편 국토연구원은 이달부터 부동산시장소비심리지수 전용 홈페이지를 열고 부동산시장소비심리지수와 부동산시장압력지수 등 각종 통계와 다양한 발간물을 제공하기로 했다.
김용운 (lucky@edaily.co.kr)
Copyright © 이데일리.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25억 건물, 177억에 사들였다니.." 땅 아쉬운 지주택 '한숨'
- 유현주 "저 좀 섹시한가봐요..후원사에서 준 옷 입은 건데"
- 차은우 "의료진 감사"..뒤에선 정국 등과 유흥주점行
- "위안부 쉼터는 윤미향 가족용"..與 아파도 도려내야
- 피팅비봉투에 처녀파티까지..SNS 인증샷이 뭐라고
- 책임자 없는 5·18..전두환 측 "사실 아닌데 뭘 사죄하나"
- "산으로 끌고 가 100대 때린다더라"..숨진 경비원이 남긴 음성
- 과자에서 쥐머리가?..식약처 "회수조치"
- "코뼈 골절은 자해 탓", 경비원 폭행 주민 혐의 부인
- BTS 정국 "이태원 바 방문 후 음성..심려끼쳐 죄송"