삼성·LG 안 되고, 애플 되고..국내기업 역차별 지적

2020. 5. 16. 19:55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긴급재난지원금이 신용카드나 체크카드로 풀린 후 첫 주말이죠.

천만 가구가 모처럼 목돈을 손에 쥐었습니다.

그런데, 전자제품을 해외껀 살 수 있는데 국내껀 못 사기도 합니다.

사용처가 헷갈리고 아쉽다는 분들도 많았는데요.

안건우 기자가 현장 보여드립니다.

[리포트]
서울의 한 가전제품 매장.

판매하는 제품 대다수가 국산이지만 대형 마트여서 재난지원금 결제가 안됩니다.

[안건우 기자]
"주말인데도 보시는 것처럼 한산합니다.

모처럼 가전제품을 사려는 사람들도 지원금을 쓰지 못해 아쉬워하는 분위기입니다."

목돈으로 신혼 가전을 장만하려는 예비 부부는 더 아쉽습니다.

[이지연 / 인천 부평구]
"TV·세탁기·냉장고·에어컨 필요한 것 같이 (결제)했으면 좋았을 텐데 그게 안 돼서 좀 아쉬워요."

국내 기업인 삼성·LG전자 매장은 안 돼도 미국 기업 애플은 예외입니다.

애플 관련 제품을 전문적으로 판매하는 대리점에선 최근 하루 매출의 70~80%가 재난지원금에서 나온다는 말이 나올 정도입니다.

인터넷에선 애플 제품을 지원금으로 구매했다는 인증글을 심심치 않게 볼 수 있습니다.

170만 원대 노트북을 지원금으로 살 수 있는지 묻자 결제 방법을 알려줍니다.

[애플 대리점 관계자]
"처음에 정부 재난지원금액 쓰실 것 먼저 계산한 다음에 (차액 등) 다른 것 결제하셔도 되고요."

해외 업체들의 배만 불린다는 지적이 끊이질 않자 애초에 업종 제한을 두지 않는 게 나을 뻔 했다는 말도 나옵니다.

[조수영 / 부산 연제구]
"국내 업체 (소비도) 활성화할 수 있게 규제를 하지 않으면 저희 실제 쓰는 사람 입장에선 훨씬 와 닿죠."

정부는 추가로 사용처를 제한하는 방안을 고려했지만 시스템 정비에 드는 시간이나 인력을 감안하면 득보다 실이 많다고 결론 내려 현 상황이 크게 바뀌진 않을 것으로 보입니다.

채널A뉴스 안건우입니다.

srv1954@donga.com
영상취재: 정기섭
영상편집: 강 민

Copyright © 채널A.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