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악돌이 박영래의 만화산행ㅣ북배산·계관산] 산과 산으로 이어지는 방화선마다 겨울 이겨낸 봄꽃 군락

글·만화등산지도·사진 박영래 객원기자 2020. 4. 20. 10:17
음성재생 설정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몽덕산~가덕산~북배산~계관산을 연결하는 '몽가북계 종주코스'도 인기
북배산 정상에서 바라보는 조망 중 백미白眉인 경기 제1봉 화악산(왼쪽)과 응봉. 응봉에서 연鳶꼬리처럼 북배산으로 이어지는 화악지맥이 한눈에 들어온다.
한북정맥상의 도마치봉에서 남동쪽으로 가지 치는 능선이 화악지맥이다. 이 능선이 경기 제1 고봉인 화악산華岳山(1,468.4m)~실운현~응봉(1,436.3m)으로 이어진다. 응봉에서 화악지맥은 잠시 남으로 방향을 바꿔 춘천시 사북면과 가평군 북면 경계를 이루는 촉대봉(1,125m)을 들어 올린다.
이후 화악지맥은 남동쪽 홍적이고개에서 잠시 가라앉았다가 몽덕산夢德山(690m)으로 향한다. 몽덕산에서 화악지맥은 남쪽으로 향한다. 남쪽으로 향하는 화악지맥은 가덕산駕德山(857.4m)을 지나 북배산北培山(869.6m)을 빚어 놓는다. 북배산을 뒤로하는 화악지맥은 약 4km 거리에 계관산鷄冠山(일명 큰촛대봉·733.6m), 약 1km 더 나아가 작은촛대봉(665.4m)을 들어 올린다.
작은촛대봉에서 남쪽으로 가치 치는 능선이 있다. 이 능선이 약 5.6km 거리인 석파령席破嶺에서 잠시 가라앉았다가 북한강에 막혀 불쑥 들어 올린 산이 춘천 삼악산三岳山(645m)이다. 작은촛대봉에서 석파령 방면 능선을 분가시킨 화악지맥은 방향을 서남쪽으로 바꾼다. 서남쪽으로 향하는 화악지맥은 남쪽 아래 북한강과 거의 평행선을 이루며 나아가다가 물안산(일명 앞산·441.2m)과 보납산(330m)을 빚어 놓은 다음, 여맥들을 자라섬 인근 북한강에 가라앉힌다.
북배산 정상비석. 가평군에서 세운 것이다.
북배산과 계관산은 수도권 등산인들에게 사계절 인기 있는 산이다. 이 두 산은 북쪽 몽덕산에서 시작되어 남쪽 가덕산~북배산~계관산까지 이어지는 방화선 능선으로 유명하다. 이 방화선 능선은 동쪽 춘천시 서면 서상리~방동리~덕두원리, 서쪽 가평군 북면 화악리와 목동리 경계를 이룬다.
강원도와 경기도 도계道界이자 화악지맥인 방화선은 사계절 옷을 갈아입는다. 봄이면 방화선을 따라 온갖 봄꽃들이 아지랑이와 함께 피어오른다. 여름에는 초록빛 비단을 보는 듯한 초원과 어우러진 유난히 많은 싸리나무들이 보랏빛 꽃들을 피워내 금수錦繡를 이룬다.
가을도 장관이다. 가을에는 지난여름 초록 비단으로 보였던 초원지대가 가슴을 쓸어내는 억새군락으로 변모變貌해 등산인들 마음을 거머잡는다.
큰멱골 상단부 앵상골 임도 끝머리에서 왼쪽 산길로 5분 거리인 퇴골고개. 퇴골고개는 옛날 앵상골에서 춘천 서상리 퇴골로 넘나들던 고개이다.
겨울에는 서북풍과 함께 날아온 눈발이 억새풀을 뒤덮은 방화선 어디에서나 올려다 보이는 모산母山, 화악산 설경이 일품이다.
어수선한 이 시기에 단 하루라도 싱그러운 오존과 진한 봄기운 속에서 심신을 세탁하고 오겠다는 마음으로 찾아가보자. 북배산과 계관산으로.
등산코스
북배산 등산은 목동 2리 마을회관 북쪽 약 1km 거리인 북배산교 삼거리를 본격적인 등산 들머리로 친다. 북배산교 삼거리에서 북쪽은 큰멱골, 동쪽 골짜기는 작은멱골이다.
북배산 들머리인 북배산교 삼거리에서는 큰멱골~앵상골~퇴골고개~정상 북릉, 작은멱골~된봉능선(정상 헬기장 서릉)을 경유해 북배산 정상에 오르는 코스가 대표적이다.
북배산과 계관산 들머리인 싸리재 종점에서 북배산은 종점에서 0.7km 거리인 다리(계관산 들머리)~싸리골 상류 1 합수점(싸리재고개 갈림길)~큰터골~정상 남릉(도계능선)~서상 방동 갈림길~작은멱골 갈림길 경유 정상에 오르는 코스가 대표적이다.
계관산은 싸리재 종점~0.7km 거리인 다리~싸리골 상류 1 합수점(큰터골~북배산 남릉 갈림길)~싸리재고개 서릉~싸리재고개, 싸리재 종점~0.7km 거리인 다리 건너 오른쪽~595m봉 북릉~595m봉~정상 서릉, 개곡 2리 달개지~쇠팔이고개~작은촛대봉 경유 정상에 오르는 코스들이 대표적이다.
상기 코스들을 목동 2리 큰멱골을 들머리로 해서 북배산과 계관산 정상에 오르는 코스들을 시계방향으로 소개한다.
북배산교~큰멱골~앵상골~퇴골고개~도계능선~정상〈약 5km·3 시간 30분 안팎 소요〉
목동 1리(목동 터미널과 북면 면사무소재지)에서 북쪽 성황당고개를 넘으면 호주·뉴질랜드 참전기념비가 있다. 참전기념비를 뒤로하고 성황당교를 건너가면 삼거리(목동 2리 안내석)가 나온다. 삼거리에서 오른쪽 산골짜기로 약 0.6km 들어가면 평묵교 삼거리(북배산 등산로 3km 안내판)다. 이곳에서 왼쪽(북쪽)은 경덕천驚德川을 거슬러 큰멱골과 작은멱골, 오른쪽(동쪽)은 싸리재골 방면이다.
삼거리에서 왼쪽 경덕천을 거스르는 길로 약 2.5km 들어서면 북배산교 삼거리가 나온다. 북배산교 북쪽 큰멱골 상단부 퇴골고개와 근접한 곳이 앵상골이다. 앵상골은 화전민이 많았던 1970년대 이전에는 고랭지 감자재배지로 유명했던 곳이다. 퇴골고개는 옛날 앵상골에서 동쪽 춘천시 서면 서상리로 넘나들었던 고개다. 퇴골고개에서 동쪽 서상리로 패어 내린 골짜기 지명이 ‘퇴골’이다.
퇴골고개에서 남쪽 도계능선으로 10분 거리인 790.2m봉 오르막은 잠깐이다. 790.2m봉부터 평지길 같은 능선으로 15분이면 급경사가 시작된다. 급경사에는 약 20m 길이 밧줄 난간이 3개나 연이어진다. 급경사를 10분 오르면 푯말(↓큰멱골 등산로 입구 6.5km, ↑작은멱골 등산로 입구 3.9km)이 나온다. 푯말을 뒤로하고 약 30m 진행하면 북배산 정상이다.
정상 남쪽 헬기장에서 서쪽으로 조망되는 수덕산 너머의 명지산(오른쪽)과 연인산. 왼쪽 아래는 작은멱골 방면 된봉능선(헬기장 서릉)과 목동 1리 방면 소법리.
북배산교~작은멱골~된봉능선(정상 헬기장 서릉)~북배산 정상〈약 3.9km·2시간 30분 안팎 소요〉
북배산교에서 서쪽 작은멱골 안으로 약 1.2km 거리에 버스종점이 있다. ‘북배산·작은멱골’ 버스(50-2번) 종점에서는 동쪽 골짜기 위로 북배산 정상과 헬기장 서릉인 된봉능선이 올려다 보인다. ‘된봉’이라는 지명은 올라가는 데 너무 힘들다는 뜻인 ‘되다’에서 나온 말이다. 된봉이라는 말은 이곳 주민들이 부르는 지명이다.
종점에서 오르막 마을길로 20분 올라가면 ‘북배산 된장마을집’ 앞 삼거리(북배산 정상 2.0km→, ↓작은멱골 등산로 입구 1.9km 푯말)가 나온다. 삼거리에서 오른쪽 다리를 건너 흑염소농장 방면 길로 5분 오르면 왼쪽 된봉능선 등기점(←멱골 등산로 입구 2.1km, 북배산 정상 1.8km→ 푯말)이 나온다. 이후 된봉능선길은 잣나무 수림 속 급경사로 오르면 된다. 된봉능선을 다 오르면 나오는 866.7m봉(북배산 정상 남봉) 헬기장 삼거리(←북배산 정상 0.1km, ↓작은멱골 등산로 입구 3.8km 푯말)에서 정상은 평지길이다. 3~4분이면 닿는다.
북배산 정상에서 조망 중 서남쪽과 서쪽은 나뭇가지에 가려지는 것이 흠이다. 20~30여 년 전 까지만 해도 이 방향으로는 수덕산 뒤로 연인산과 명지산 방면이 나뭇가지에 가리지 않고 시원하게 조망됐었다. 20~30년 사이에 나무들 키가 많이 자란 것이다.
된봉능선을 다 오른 헬기장 삼거리 푯말. 작은 멱골입구와 계관산까지의 대략적인 거리가 정확하게 표기되어 있다.
그러나 서북쪽부터는 막힘없이 시원한 조망이 펼쳐진다. 지난 3월에 내린 잔설을 덮고 있는 화악산과 응봉이 하늘 금을 이룬다. 정북으로는 가덕산이 마주 보인다. 가덕산 뒤로는 한북정맥상의 복계산과 최전방 대성산이 보인다. 쾌청한 날인 경우 대성산 오른쪽으로는 화천 북단 적근산과 흰바위산도 눈에 들어온다. 흰바위산 오른쪽 북동으로는 용화산과 오봉산 줄기 뒤로 양구 사명산과 대암산이 조망된다. 동남으로는 북한강 건너 춘천시내와 대룡산 북릉인 구봉산 줄기가 멀리의 홍천 가리산과 함께 펼쳐진다. 동남으로는 나뭇가지들이 시야를 가린다.
싸리재마을에서 북배산은 싸리재 버스종점~싸리골 상류 1 합수점(싸리재고개 갈림길)~큰터골~정상 남릉(도계능선·화악지맥) 경유 정상으로 향하면 된다.〈싸리재 버스종점 기점 약 4.1 km·3 시간 30분 안팎 소요〉
퇴골고개에서 18분 거리인 790.2m봉에서 남쪽으로 본 북배산 정상. 정상 아래 하얀 눈 부분은 급경사이다. 약 60m 길이로 밧줄이 설치되어 있다.
싸리재마을 종점~큰터골 입구(1 합수점)~싸리재고개~남쪽 도계능선~계관산 정상〈버스종점 기점 약 3.6km·3시간 안팎 소요〉
싸리재버스종점에서 0.7km(약 10분) 들어가면 오른쪽 다리가 나온다. 다리를 건너가면 길 오른쪽 푯말(↑북배산 정상 3.4km, 계관산 정상 2.1km→ 푯말)이 나온다. 이곳에서 오른쪽 절개지 밧줄을 잡고 절개지 상단부로 올라서면 595m봉 북릉 본격적인 산행이 시작된다. 595m봉 북릉 경유 계관산 정상 서릉을 타고 정상에 향하면 된다.
또는 다리에서 큰터골 방면으로 8~9분 거리인 1 합수점 싸리재고개 갈림길(계관산 정상 2.5km→ 푯말)에서 오른쪽 숯가마 터를 지나는 싸리재고개 서릉을 타고 계관산 정상으로 향하는 코스도 인기 있다.
싸리재 종점을 기점으로 싸리재고개 경유 계관산에 오른 경우에는 정상에서 서릉~595m봉 북릉~싸리골 다리 경유 싸리재 종점으로 나오거나, 또는 이 코스를 반대로 돌아오는 원점회귀 산행이 많이 이용된다.
개곡 2리 종점~달개지~쇠팔이고개~작은촛대봉~계관산 정상〈버스종점 기점 약 7 km·3시간 30분 안팎 소요〉
계관산 정상에서 서쪽으로 길게 이어지는 능선은 북쪽 북면 목동 2리와 남쪽 가평읍 개곡리 경계를 이룬다. 그래서 개곡리로는 가평읍 북쪽 끝인 마장리에서 동쪽 골짜기를 통해 들어간다. 개곡리開谷里는 고을 또는 골짜기谷가 열린다는 뜻이다.
개곡리를 들머리로 하는 계관산 산행은 어프로치가 긴 편이다. 마장리 큰길(75번국도) 삼거리에서 약 4km 들어가면 개곡 2리 마을회관이 나온다. 버스종점은 마을회관에서 약 1.2km 더 들어간 율미촌 마을이다.
된봉능선 중간지점(주능선 헬기장을 약 1km 앞 둔 거리)인 노송지대의 큰 노송.
계관산 등기점은 버스종점에서 동쪽 골짜기로 약 3km 더 들어간 달개지마을에서도 약 1.1km를 더 올라간 쇠팔이고개(←계관산 정상 2.8km, ↓개곡리 버스종점 4.1km 푯말)이다.
쇠파리고개 들머리인 달개지에는 ‘옛날 하늘에서 내려온 장수들이 공기돌 놀이를 하다가 둥근 돌을 던져버렸다’는 전설과 ‘그 자리에 보름달처럼 둥근바위가 있어 명월이골明月谷이라는 지명이 생겼다’, ‘쇠팔이고개는 일제 때 일본군이 쇠를 녹여 갔다 해서 생긴 지명’이라는 전설〈가평의 지명과 유래 상권 116쪽〉이 전해진다.
달개지 남쪽 화악지맥상의 쇠팔이고개에서 동북쪽으로 보이는 계관산 정상인 큰촛대봉(왼쪽)과 작은촛대봉(오른쪽).
쇠팔이고개는 개곡리에서 남쪽 춘천시 서면 당림리로 넘는 비상도로이다. 말이 비상도로이지 실제로는 임도 수준이다. 승용차 통행은 안 된다.
상기 코스들 외에 홍적이고개를 들머리로 해서 몽덕산~가덕산~북배산~계관산을 연결하는 ‘몽가북계’라 불리는 종주산행도 인기 있다. 계관산에서 남동쪽 벽파령~삼악산, 또는 계관산에서 서남쪽 쇠팔이고개~물안산~보납산까지 종주를 즐기는 건각들도 적지 않다. 삼악산이나 보납산 종주에는 야영을 한다.
큰 참나무가 볼거리이기도 한 싸리재고개. ‘옛날 춘천사람들 서울 가는 길’이었다 전해진다. 옛날 가평 목동리에서 춘천 덕두원리로 넘나드는 고개이다.
계관산 정상비석. 주변에 벤치가 있어 중식 장소로 이용된다.
교통
서울→가평 열차편 서울 상봉역→가평역 전철 7호선과 경의·중앙선 환승역인 상봉역에서 1일 54회(05:08~22:48), 토·일·공휴일 1일 48회(05:33~22:48) 운행하는 경춘선 전철 이용.
버스편 청량리 환승정류장→가평 1일 22회(06:00~00:45) 운행하는 1330-2번 광역버스 이용.
가평→목동 화악리(50-4), 백둔리(75-1), 적목리 용수동(50-5)행 등 1일 34회(05:15~23:05) 운행하는 시내버스 이용.
목동→싸리재 종점(목동 2리) 50-2번 버스 1일 5회(07:10, 10:30, 12:20, 17:15, 19:15) 운행. 이 버스 편은 성황당교 삼거리 우회전~평묵교 삼거리~오른쪽(동쪽) 평묵교를 건너 싸리재 종점으로 운행.
싸리재 종점→목동터미널 50-2번 버스 1일 5회(07:25, 10:45, 12:35, 17:30, 19:30) 운행. 이 버스 편은 싸리재 종점에 들어오자마자 회차回車. 이후 다시 평묵교 삼거리로 나와~북쪽으로 약 2.5km 들어간 북배산교 삼거리에서 우회전(동쪽), 약 1km 거리 작은멱골 종점(회차)에 들어갔다가 다시 역코스로 나와 목동으로 운행한다. 큰멱골로 들어가는 경우에는 작은멱골 입구 북배산교 삼거리에서 하차.
목동터미널→가평 1일 34회(05:10~22:10) 운행.
가평터미널→개곡리 71-1번 버스 1일 7회(07:30, 09:25, 11:25, 13:15, 15:15, 17:15, 19:05) 운행. 25분 소요.
개곡리→가평터미널 71-1번 버스 1일 7회(07:50, 09:50, 11:50, 13:40, 15:40, 17:40, 19:30) 운행.
가평·목동 일원 시내버스 시간 문의 ㈜진흥고속 031-582-2308.
작은촛대봉에서 북으로 본 계관산 정상(큰촛대봉). 오른쪽으로 북배산이 보인다.
식사 및 숙박(경기도 지역번호 031)
목동 1리 일원 목동버스터미널 맞은편 지암식당(581-1245), 원조순대(582-4337), 닭갈비 막국수 전문 수연당(582-1112), 삼계탕 전문 대추나무집(582-7064), 터미널 왼쪽 팔복 수제돈까스(581-0708), 네네치킨 북면점(582-6789) 등 이용.
목동 2리 일원 성황당교 삼거리 직전 호주·뉴질랜드 전투기념비 옆 일진식당(010-5097-1008), 성황당교 삼거리에서 평묵교 삼거리 방면 목동 2리 마을 캠핑장(010-9592-7962), 평묵교 삼거리에서 북쪽 목동 2리 마을회관을 지난 북배산교 삼거리에서 북쪽 큰멱골 안쪽으로 있는 에이스펜션(010-5215-2798), 춘향이와 방자 펜션(010-8864-1596), 북배산교 삼거리에서 작은멱골 방면 워터파크 캠핑장(581-4999), 작은멱골 버스회차장을 지난 폴프랑 펜션(582-3080), 코나펜션(010-3868-2810), 북배산 민박(010-3235-4000) 등 이용.
싸리재마을에서는 나비잠펜션(010-7466-2288), 한마음펜션(010-3765-7557), 싸리꽃 향기(581-1199), 개울가 쉼터(582-6664), 모리마을 펜션(010-4937-2006), 싸리재 버스 회차장에서 더 안쪽에 있는 싸리재산장(582-7610) 등 이용.
개곡리 일원 개곡리 버스 종점에서 계곡 안쪽으로 자리한 별드림 캠핑장(010-5028-6010), 펜션 그린벨리(582-8244), 숲속의 행복한 집(582-3306), 하늘로 열린창(581-5622), 소풍펜션(582-5368), 풀하우스 펜션(582-4046) 등 이용.

- Copyright ⓒ 조선일보 & Chosun.com -

Copyright © 월간산.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