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산대 연구팀, 발암물질 6가 크롬 유해성 저감 기술 개발

김선호 2020. 4. 14. 10:11
자동요약 기사 제목과 주요 문장을 기반으로 자동요약한 결과입니다.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부산대 연구진이 1급 발암물질인 '6가 크롬'을 유독성이 낮은 물질로 바꾸는 신기술을 개발했다.

부산대는 화학공학·고분자공학과 정성욱 교수 연구팀이 독성물질인 '6가 크롬' 흡착 기술을 개발했다고 14일 밝혔다.

이 기술은 1급 발암물질인 '6가 크롬'을 유독성이 낮은 '3가 크롬'으로 환원해 친환경적이라는 평가를 받는다.

음성재생 설정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사이언티픽 리포트(Scientific Reports)' 온라인판에 실린 부산대 연구팀 신기술 논문 [부산대 제공. 재판매 및 DB 금지]

(부산=연합뉴스) 김선호 기자 = 부산대 연구진이 1급 발암물질인 '6가 크롬'을 유독성이 낮은 물질로 바꾸는 신기술을 개발했다.

부산대는 화학공학·고분자공학과 정성욱 교수 연구팀이 독성물질인 '6가 크롬' 흡착 기술을 개발했다고 14일 밝혔다.

이 기술은 1급 발암물질인 '6가 크롬'을 유독성이 낮은 '3가 크롬'으로 환원해 친환경적이라는 평가를 받는다.

크롬은 전기 도금, 페인트, 금속 마감, 가죽 태닝 등에 이용되는데, 산화수가 +6인 '6가 크롬'은 알레르기 반응, 피부염, 천식, 피부 화상을 일으키거나 심하면 폐암, 신장암, 기관지암을 일으키는 유독 발암물질이다.

연구팀은 지각에 가장 많이 존재하는 성분인 실리카 나노 입자를 6가 크롬에 흡착하는 과정을 통해 상대적으로 낮은 독성을 가지는 3가 크롬으로 변환하는 연구를 진행했다.

정성욱 교수는 "이번 연구 결과는 친환경적이고 간편하며 구조적 제어와 화학적 기능성 유도가 매우 쉽다는 장점이 있다"고 말했다.

연구팀 성과는 지난달 27일 세계적인 자연과학 전문지인 '네이처(Nature)'의 학술자매지 '사이언티픽 리포트(Scientific Reports)' 온라인판에 실렸다.

wink@yna.co.kr

☞ "바보같고, 코가 뭉툭"…의사협회장의 '사적인 대화'
☞ 배우 수현, 엄마 된다…임신 15주차
☞ "헤어지자" 말에 가족보는 앞에서 벽돌로 애완견을...
☞ 일찍 조치했다면… 'Mr.바른소리'발언 대통령 분노 폭발
☞ 지하철 1호선 탈선…철로 걸어 이동하는 승객
☞ 코로나19보다 더 무서운 메뚜기떼 습격 영상
☞ 선거판 휩쓴 '트로트' 열풍…가장 많이 불리는 곡은
☞ 빌 게이츠는 예언자?…5년전 '바이러스 대유행' 예견
☞ 노인요양시설에서 코로나19 3천600명 사망
☞  공공장소에서 마스크 안하면 벌금이 149만원?

▶연합뉴스 앱 지금 바로 다운받기~

<저작권자(c) 연합뉴스, 무단 전재-재배포 금지>

Copyright © 연합뉴스. 무단전재 -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