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임재훈' 몸값 54억?..'안철수계'가 민생당 탈당을 망설이는 이유

강주헌 , 김상준 기자 2020. 3. 17. 11:34
음성재생 설정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the300]

'셀프 제명'으로 옛 바른미래당을 떠났던 비례대표 의원 8명이 졸지에 다시 당적을 바꿔야 할지도 모르는 상황이 되면서 혼란에 빠졌다. 손학규 전 대표 등 바른미래당 당권파를 이어받은 민생당이 이들 의원 8명을 대상으로 제명절차 취소를 요구하며 낸 가처분 신청을 법원이 받아들이면서다.

법원의 결정에 따라 미래통합당 소속 김삼화·김수민·김중로·신용현·이동섭·임재훈 의원, 국민의당 소속 이태규 의원, 무소속 이상돈 의원 등 8명이 현 소속 정당에서 출마하려면 의원직을 내려 놓아야 하는 상황에 처했다. 아니면 민생당으로 복귀해야 한다.

김삼화·김수민·신용현·이동섭·임재훈 등 바른미래당에서 미래통합당으로 이적한 의원들은 17일 김삼화 의원실에서 모여 향후 행보를 두고 대책회의 중이다.

민생당 탈당? 고심하는 5가지 이유
(서울=뉴스1) 박세연 기자 = 바른미래당을 탈당해 미래통합당에 입당한 이동섭(왼쪽부터)·임재훈 의원과 김수민 무소속 의원이 1일 오후 서울 여의도 국회에서 열린 미래통합당 공천관리위원회 21대 총선 면접을 하기 위해 면접장으로 향하고 있다. 2020.3.1/뉴스1

통합당에 입당해 공천을 받은 의원들은 민생당을 탈당하는 길을 택할 가능성이 높다. 그러나 흔쾌히 결정할 수 없는 이유가 있다. 임 의원은 회의 도중 먼저 나와 기자들과 만나 "미래통합당에 있으려면 민생당 탈당을 해야한다"며 "(의원들이) 굉장히 고심이 깊다"고 전했다.

임 의원은 탈당을 망설이는 이유에 대해 "첫째는 요식행위를 하더라도 (당에서) 공천 절차를 다시 밟아야 하고 두번째는 공천 경쟁을 했던 분들이 이의신청을 낼 거다. 현역 (의원) 프리미엄을 가지고 공천을 받은 거 아니냐고 (문제제기를) 할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또 "세번째는 공천 받은 상태에서 설사 잘 안착을 하더라도 최종적으로 배지(의원)가 아닌 상태에서 출마해야 한다. 그러면 선거에서 악전고투할 가능성이 크다"고 밝혔다.

임 의원은 "네번째는 보좌진 퇴직 문제"라고 밝혔다. 20대 의원 임기가 두달여 남았지만 지금 의원직을 사퇴하면 보좌진들이 '실업자'가 된다는 설명이다.

임 의원은 "다섯째는 선거 후원금을 모아놨을 텐데 탈당하는 순간 의원직이 상실되서 국고에 귀속된다"며 "모아둔 돈을 어떻게 털겠나. 재정적 문제가 있다"고 말했다.

"'금값'이 됐다"…민생당, 임재훈 거취에 54억까지 확보 가능
임재훈 의원. /사진=뉴스1

이태규 의원은 비례대표 의원직을 사퇴하고 안철수 대표가 이끄는 국민의당에 합류하겠다고 밝힌 상태다. 이상돈 의원은 의원직을 내려놓지 않고 법원이 가처분 결정대로 민생당에 잔류할 것으로 보인다.

문제는 나머지 통합당으로 이적한 의원들이다. 김삼화·김수민·김중로·이동섭 의원은 통합당 공천에서 단수추천을 받았다. 신용현 의원은 대전 유성구 경선 결선을 앞두고 있다. 통합당 소속으로 공천장을 받았거나 출마를 준비하는 의원들이다.

임재훈 의원은 통합당으로 소속을 옮겨 경기 안양 동안갑에 공천 신청했으나 떨어졌다. 임 의원은 과거 패스트트랙(신속처리안건) 법안 처리에 찬성한 이력이 문제가 됐다. TK(대구·경북) 의원들을 중심으로 공천에 강력 반대하는 여론이 부담으로 작용했다.

법원의 결정으로 옛 바른미래 비례대표 의원들은 현재 민생당 소속이다. 이들을 포함하면 현재 민생당의 의석수는 26석이다. '셀프제명'으로 소속을 바꾼 의원들 중 통합당에서 출마가 유력한 김삼화·김수민·김중로·신용현·이동섭 의원과 국민의당에서 활동하는 이태규 의원을 제외하면 20석이다.

임 의원의 거취에 따라 민생당은 원내 교섭단체 20석 구성 여부가 달리게 됐다. 임 의원은 공천 탈락으로 의원직을 사퇴하면서까지 통합당에 굳이 남을 이유가 없다.

임 의원은 민생당 잔류 여부를 묻는 질문에 "의원을 더 하고 싶어서 통합당에 왔는데 이런 상황이 됐다고 민생당에 있기도 뭐하고 참 그렇다"고 토로했다.

임 의원은 "제가 계속 민생당에 있으면 국고보조금이 많이 늘어난다. (민생당에서는) 54억원을 예상하고 있다"고 말했다.

민생당에서도 임 의원에게 조속히 거취 문제와 관련해 입장표명을 해달라고 요구하는 것으로 알려졌다.

정치자금법에 따르면 분기별로 각 정당에 지급하는 국고보조금인 경상보조금은 원내 20석 이상의 교섭단체를 구성한 정당에 총액의 50%를 먼저 균등 배분하고, 5석 이상 20석 미만 정당에는 총액의 5%씩을 나눠 지급한다.

[관련기사]☞"165억 탕진후 찜질방" 임영규 고백에 견미리·이유비 관심…왜?전세계가 부러워한 한국의 '방역 아이템' 2가지"삼성전자 사야겠다" 초보 개미, 저가매수 기회 일까?"현금 많은 곳만 살아남는다"…'부자 기업' 고르는 법"이 말 한마디면 주가 1초만에 오른다"
강주헌 , 김상준 기자 zoo@mt.co.kr

<저작권자 ⓒ '돈이 보이는 리얼타임 뉴스' 머니투데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Copyright © 머니투데이 & mt.co.kr,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