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다정보다잇다] 재밌는 TMI, 수산물의 영어 이름은 어떻게 지어질까?

유연수 MT해양에디터 2020. 2. 5. 08:00
음성재생 설정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메기, 날치, 청어, 볼락, 멍게, 해삼, 갈치, 귀상어의 영어 이름은?

[편집자주] MT해양은 재미있고 유익한 올바른 수산물 정보를 제공하고 수요자와 공급자를 잇기(연결하기) 위해 [바다정보다잇다]를 기획 보도합니다.

다른 것과 구별하기 위해 만드는 이름, 이름을 지을 때는 그에 맞는 이유가 있기 마련이다. 수산물에도 각기 생김새와 딱 맞아 떨어지는 영어 이름들이 있다. 수산물의 생김새와 특성과 잘 어울리는 재밌는 영어 이름(일반적인 명칭)을 소개한다.


■ 메기_catfish
메기의 트레이드 마크, 수염. 이 수염은 메기가 가진 뛰어난 감각기관이다. 고양이처럼 수염이 길게 나있기 때문에 메기는 'catfish'라는 영어 이름을 갖게 됐다.

메기는 질 좋은 단백질과 지방, 화분, 칼슘 등을 함유하고 있으며, 특히 메기국은 부기를 가라앉히고 이뇨 작용을 도와주는데 효과적이다.

■ 날치_flying fish
날치는 가슴지느러미가 새의 날개처럼 큼직하기 때문에 위험하다 싶으면 물위로 튀어나와 날아다닌다. 한자어로는 날비 물고기어 이며, 영어로는 flying fish라고 한다.

날치는 주로 구이나 탕 등으로 섭취하며, 비타민 E가 풍부하여 항산화 작용을 하므로 피부 건강에 좋다.

■ 청어_herring
청어는 영어로 herring이라고 불린다. 단어 herring은 군대를 뜻하는 독일어 'heer'에서 유래한 것으로, 청어가 떼 지어 몰려다니는 것이 마치 군대가 이동하는 것처럼 보인다는 데서 유래되었다.

맛이 독특한 청어는 소화 흡수가 잘되는 양질의 단백질 덩어리이며, 필수아미노산을 고루 함유하고 있어 동맥경화와 심장병에 탁월한 효능이 있다.

■ 볼락_black rockfish
암초가 많은 연안 해역에 주로 서식하는 볼락은 주둥이가 뾰족하고 큰 눈이 특징이다. 색깔이 검고 암초 지대에 서식하는 특성을 살려 black rock fish라는 이름이 붙여졌다.

씹는 맛이 쫄깃쫄깃한 볼락은 주로 회로 많이 먹는다. 볼락은 DHA가 많아 혈중 콜레스테롤의 농도를 낮게 해 동맥경화 등 심장질환 관련 질병을 예방한다.

■ 멍게_sea pineapple
멍게의 붉고 단단한 몸에는 원추형의 돌기가 많이 나와 있다. 이 모습이 파인애플과 비슷해서 영어로 sea pineapple이라 불린다. 비단멍게는 복숭아와 닮았다고 하여 sea peach라고도 불린다.

해삼, 해파리와 함께 '3대 저칼로리 수산물'로 꼽히는 멍게는 시원하고 상큼한 맛이 일품이다. 멍게에는 노화를 방지하는 타우린과 숙취에 좋다고 알려진 신티올 성분이 함유되어 있다.

■ 해삼_sea cucumber
해삼의 생김새가 오이의 형태와 표면이 닮았다고 하여 sea cucumber이라 불린다.

또한 해삼은 인삼에 필적할 효능을 지녔다 하여 '바다의 인삼'이라 불리기도 한다. 해삼의 사포닌 성분은 암 예방에 효과적이며, 비타민과 미네랄이 풍부하게 함유되어 있어 원기를 회복시켜준다.

■ 갈치_cutlassfish
생김새를 본 따 검어 혹은 도어로 불렸던 갈치는, 영어로 긴 칼집이나 휜 단검과 비슷하여 scabbard fish, cutlass fish로 불린다.

갈치의 몸 전체가 은빛으로 반짝이는 이유는 구아닌 이라는 물질이다. 구아닌은 모조 진주, 매니큐어 펄을 만들 때 원료로 사용된다.

갈치는 단백질이 많고 라이신, 페닐알라닌, 메티오닌 등 필수아미노산이 많고 각종 비타민 등이 고루 함유되어 있어 소화가 잘 되게 해주며 식욕 증진의 효과가 있다.

■ 귀상어_hammerhead shark
귀상어는 몸이 길고 좌우로 납작한 모양이며 머리가 T자형이다. 이 때문에 눈과 콧구멍 사이의 거리가 멀어 눈이 양쪽 끝에 달려 있다. 귀상어의 머리 모양이 망치처럼 생겼다고 하여 Hammer(망치)head(머리) 상어라고 불린다.

귀상어는 남획으로 멸종위기에 처한 종으로, 성장 속도가 느려 개체수가 줄고 있다.

[관련기사]☞'강타와 열애' 인정, 배우 정유미는 누구?남경읍 "조승우 담배피우다 내게 맞았다"강타 열애 인정에 모델 우주안 소환…"걱정하지 마세요"강용석 '도도맘 폭행사건' 조작 의혹 일파만파…입장 내놓을까"박쥐탕 먹은 확진자", "피 묻은 마스크" 팩트추적해보니…
유연수 MT해양에디터

<저작권자 ⓒ '돈이 보이는 리얼타임 뉴스' 머니투데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Copyright © 머니투데이 & mt.co.kr,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