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케아, 서랍장 넘어져 질식사 두살배기 부모에게 536억원 지급

임병선 2020. 1. 7. 18:01
자동요약 기사 제목과 주요 문장을 기반으로 자동요약한 결과입니다.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똘망똘망하게 생긴 두살배기 요제프 두덱은 지난 2017년 스웨덴 가구업체 이케아의 서랍장이 넘어지는 바람에 깔려 목숨을 잃었다.

미국 캘리포니아주에 살던 두덱은 그 해 5월 24일(이하 현지시간) 높이 76㎝로 어른의 허리 춤도 안되고 무게가 32㎏ 나가는 말름(Malm) 서랍장에 매달렸다가 서랍장에 덮쳐 질식사했다.

음성재생 설정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서울신문]

2017년 넘어진 이케아 말름 서랍장에 깔려 목숨을 잃은 요제프 두덱.두덱 가족 제공영국 BBC 홈페이지 제공

똘망똘망하게 생긴 두살배기 요제프 두덱은 지난 2017년 스웨덴 가구업체 이케아의 서랍장이 넘어지는 바람에 깔려 목숨을 잃었다.

미국 캘리포니아주에 살던 두덱은 그 해 5월 24일(이하 현지시간) 높이 76㎝로 어른의 허리 춤도 안되고 무게가 32㎏ 나가는 말름(Malm) 서랍장에 매달렸다가 서랍장에 덮쳐 질식사했다. 이 서랍장은 아이가 붙잡거나 매달릴 때 아이를 덮치며 앞으로 넘어지는 사고가 발생해 2016년 리콜된 모델이었지만 2008년에 이 모델을 구입한 두덱의 부모들은 어떤 리콜 통지도 받지 못했다.

가족들은 이케아가 서랍장이 뒤집힐 위험이 있다는 것을 알면서도, 고객들에게 서랍장을 벽에 고정해야 한다고 경고하지 않았다고 주장했다.

이케아는 6일 두덱의 부모에게 4600만 달러(약 536억원)의 보상금을 지급하겠다고 밝혔다. 미국에서 사고로 아이들이 목숨을 잃은 일로는 역대 최고액 보상금이라고 변호사들은 말했다.

이케아의 대규모 리콜 조치가 있기 전 중국 내 한 매장에 전시된 문제의 말름 서랍장. AFP 자료사진

부모 크레이그와 졸린은 성명을 통해 “아들이 너무 그립다. 오는 4월이면 다섯 살이 됐을 것”이라며 “우리는 두살배기가 76㎝ 짜리 서랍장을 넘어뜨려 질식사할줄 몰랐다. 우리는 그 서랍장이 불안정하게 디자인됐고, 안전 기준을 충족하지 못했으며, 다른 아이들에게도 이런 일이 벌어졌다는 걸 나중에야 알았다”고 밝혔다. 가족의 변호인은 “두살 짜리가 3단 서랍장을 뒤집을 수 있다면 그 서랍장은 뭔가 잘못된 것”이라고 주장했다.

이케아 대변인은 성명을 내고 “이런 합의가 우리 모두를 여기에까지 이르게 한 비극적인 사건을 바꿀 수는 없지만, 이들 가족과 관계된 모든 이를 위해 최종 타결에 이르게 된 데 감사드린다”면서 “우리는 가정에서의 안전을 매우 중요한 현안으로 다루고 있음을 보여주기 위해 최선을 다했다”고 밝혔다.

이케아 말름 서랍장이 넘어지는 바람에 목숨을 잃은 미국 어린이들. 왼쪽부터 워싱턴주 캠든 엘리스, 펜실베이니아주 커렌 콜라스, 미네소타주 테드 맥기.펠드먼 셰퍼드 제공영국 BBC 홈페이지 캡처

앞서 이케아는 워싱턴주, 펜실베이니아주, 미네소타주에서 말름 서랍장이 넘어지는 사고로 아동 셋이 잇따라 숨지자 2016년 5월 미국과 캐나다에서 서랍장 수백만개를 리콜 조치했다. 캠든 엘리스, 커렌 콜라스(이상 2), 테드 맥기(23개월) 세 아이의 유족은 같은 해 12월 합쳐서 5000만 달러(약 583억원)를 받기로 합의했다.

또 미국 의류 보관함의 자율 안전 기준을 충족한 제품들만 미국에서 판매하기로 합의했다. 아이들의 희생을 계기로 미국 소비재 안전 위원회는 서랍장이 넘어졌을 때의 위험성을 알리는 캠페인을 시작했다. 이듬해 이케아는 미국과 캐나다에서 재차 리콜 조치를 발표했다. 그러면서 벽에 고정시키지 않으면 심각하게 넘어지거나 눌려 갇힐 위험이 있다고 경고했다.

한편 두덱의 부모는 합의금 가운데 100만 달러를 위험한 제품으로부터 아이들을 보호하는 일을 하는 단체에 기부하겠다고 약속했다.

임병선 기자 bsnim@seoul.co.kr

▶ 밀리터리 인사이드 - 저작권자 ⓒ 서울신문사 -

Copyright © 서울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