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방 쓰는 방법..나타날 현(顯)부터 관계·직위·이름 순

2019. 9. 13. 10:39
음성재생 설정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사진출처 = 연합뉴스]

추석인 13일 지방 쓰는 방법이 화제가 되고 있다.

지방(紙榜)이란 차례를 모시는 대상을 상징하는 것으로, 사당에 놓이는 신주(神主)가 없을 때 임시로 만드는 위패를 말한다.

차례상에 올리는 지방은 폭 5~6㎝, 길이 20~22㎝의 깨끗한 한지에 붓을 이용해 작성해야 한다.

전통적으로 한자로 썼지만, 최근에는 한글로 적기도 한다.

글씨는 세로로 써야 하며 상단 모서리를 조금씩 잘라 각지지 않도록 만든다. 지방의 위를 둥글게 하고 아래를 편평하게 하는 것은 각각 둥근 하늘과 편평한 땅을 상징한다.

지방에는 고인을 모신다는 뜻의 '나타날 현(顯)'자를 쓴 뒤 '고인과 차례를 모시는 사람의 관계', '고인의 직위', '고인의 이름', '신위(神位·신주를 모셔두는 자리)' 순서로 작성한다.

부모님 차례의 경우 부친은 왼쪽, 모친은 오른쪽에 적는다. 지방에 쓸 조상이 두 분 이상이면 남자는 왼쪽에, 여자는 오른쪽에 써야 한다.

부친은 '상고할 고(考)', 모친은 '죽은 어미 비(妣)', 조부는 '조고(祖考)', 조모는 '조비(祖?)', 증조 이상은 '증(曾)'자와 '고(高)'를 앞에 붙인다.

이후 고인의 직위와 이름, 신위 순서로 작성하면 된다.

[디지털뉴스국 장수현 인턴기자]

[ⓒ 매일경제 & mk.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Copyright © 매일경제 & mk.co.kr.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