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행정수도 중심' 세종시 원수산 한자 표기 바꾸나..내부 검토

2019. 9. 12. 08:00
자동요약 기사 제목과 주요 문장을 기반으로 자동요약한 결과입니다.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정부세종청사가 들어선 세종시 신도심의 주산(主山)인 원수산(元帥山)의 한자 표기를 바꾸는 방안이 검토돼 향후 추이에 관심이 쏠린다.

12일 세종시 등에 따르면 지역 일부 시민단체가 원수산(元帥山)의 '수'를 우두머리를 의미하는 '머리 수'(首)로 바꾸자고 제안했다.

지금은 세종시가 행정중심복합도시지만 명실상부한 행정수도로 발돋움하기 위해서라도 한자를 바꿔야 한다는 것이다.

음성재생 설정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장수 뜻하는 원수(元帥)를 대통령 의미하는 원수(元首)로
행정중심복합도시 주산 원수산 전경 [연합뉴스 자료사진]

(세종=연합뉴스) 김준호 기자 = 정부세종청사가 들어선 세종시 신도심의 주산(主山)인 원수산(元帥山)의 한자 표기를 바꾸는 방안이 검토돼 향후 추이에 관심이 쏠린다.

12일 세종시 등에 따르면 지역 일부 시민단체가 원수산(元帥山)의 '수'를 우두머리를 의미하는 '머리 수'(首)로 바꾸자고 제안했다.

현재 사용하는 수(帥)는 장수를 뜻한다.

원수(元帥)는 고려시대 군사를 통솔하던 으뜸 장수를 지칭한다. 현대적 의미에서는 4성 장군인 대장보다 높은 가장 위 계급이다.

원수(元首)는 국가에서 으뜸가는 권력자다. 공화국에서는 대통령을, 군주국에서는 군주를 일컫는다.

시민 사회는 국회 세종의사당 건립이 가시화하고 대통령 세종집무실 설치 여론이 높아지는 만큼 국가 원수를 뜻하는 한자로 교체해야 한다고 주장한다.

지금은 세종시가 행정중심복합도시지만 명실상부한 행정수도로 발돋움하기 위해서라도 한자를 바꿔야 한다는 것이다.

두 개의 크고 작은 봉우리로 이뤄진 원수산 중턱에는 2000년에 세운 유래비가 있다.

고려 충렬왕 17년(1291년) 중국 원(元) 나라에 반란을 일으킨 합단적(哈丹賊)이 관군에 쫓겨 남하하면서 고려를 침범했고, 고려는 원나라 군사와 함께 주둔지를 출발해 연서면 쌍전리 정좌산에서 합단적을 격파했다는 내용이다.

이 전투가 연기대첩이고, 원나라 군사가 주둔했던 곳을 원수산이라 부른다는 것이다.

다른 유래도 있다.

원수산 정상에 있는 '원수 형제봉' 안내판에는 한 동네 살던 형제가 불화 때문에 전쟁 같은 싸움을 벌였고, 형제 모두 천둥·번개로 죽어 두 개의 봉우리가 됐다는 전설을 기록해 놓았다.

시민사회는 이 같은 역사나 전설을 보존하는 것도 좋지만, 미래지향적으로 국가 최고 지도자인 원수(元首)가 포함된 지명으로 교체하길 원하는 상황이다.

시 관계자는 "시민단체 제안이 들어와서 내부에서 검토 중"이라며 "주민 의견 수렴 등 절차를 거친 뒤 결정해야 하는 상황"이라고 조심스러운 반응을 보였다.

kjunho@yna.co.kr

☞ 낸시랭 "극단적 선택도 생각…예술로 극복하려고 해"
☞ 동양대 부교수 "조국 딸 표창 위조 아니다" 반박
☞ '다른듯 닮은듯' 南北 추석맞이…성묘하고 물놀이장 나들이
☞ 법원, "출장 중 '성관계 복상사'도 업무상 재해" 판결
☞ 만취 아내 침대 더럽히고 누워 있자 남편 '욱'해서
☞ 101세 노모 드리려 복숭아 몰래 딴 70대 처벌은?
☞ "친구 보여주려고"…유치원에 수류탄 들고 온 꼬마
☞ "X같은 직장" 새벽까지 단톡방서 거친말 쏟은 이사장
☞ 나경원 "조국, 완장 차자마자 검찰 죽이기"
☞ 화재 신고에 출동해보니…냉장고 속 모자 남녀 시신이

▶연합뉴스 앱 지금 바로 다운받기~

<저작권자(c) 연합뉴스, 무단 전재-재배포 금지>

Copyright © 연합뉴스. 무단전재 -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