월드컵 예선 1차전 상대국 투르크메니스탄은 어디지?

정단비 인턴 2019. 9. 11. 08:02
자동요약 기사 제목과 주요 문장을 기반으로 자동요약한 결과입니다.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10일 한국 대표팀이 월드컵 2차예선 1차전 원정 경기에서 승리하면서 이번 경기의 상대국가인 투르크메니스탄에 대한 관심이 모아진다.

투르크메니스탄은 이슬람 국가로 중앙아시아에 있다.

투르크메니스탄은 국가의 90%가 사막으로 이루어져 있어 1년 내내 건조한 날씨와 더위가 이어진다.

투르크메니스탄은 '지옥의 문'으로 유명하다.

음성재생 설정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중앙아시아에 있는 이슬람 국가, 1971년부터 불이 꺼지고 있지 않은 천연가스 매장 싱크홀로 유명
투르크메니스탄 다르바자에 있는 지옥의 문/사진=AFP

10일 한국 대표팀이 월드컵 2차예선 1차전 원정 경기에서 승리하면서 이번 경기의 상대국가인 투르크메니스탄에 대한 관심이 모아진다.

투르크메니스탄은 이슬람 국가로 중앙아시아에 있다. 투르크멘인이 인구의 80%를 차지하며 투르크멘어가 공용어다. 과거 소련체제에 속했지만 1990년에 독립했다. 석유, 천연가스 등의 자원이 풍부한 국가로 과거 소련제 3위의 석유 생산국이었다. 투르크메니스탄은 국가의 90%가 사막으로 이루어져 있어 1년 내내 건조한 날씨와 더위가 이어진다.

투르크메니스탄은 '지옥의 문'으로 유명하다. '지옥의 문'은 투르크메니스탄 다르바자에 있는 메탄가스 분화구의 별칭이다. 1971년 지름 50~100m에 달하는 천연가스 분화구 구멍이 생긴 이후 48년간 분화구가 불타고 있어 붙여진 이름이다.

50년 가까이 불타고 있는 투르크메니스탄의 싱크홀, '지옥의 문' 사진 / 사진= AFP

'지옥의 문'은 1971년 구소련 지질학자들이 천연가스 채취용 구멍을 뚫다 지반이 무너지며 발생한 싱크홀이다. 당시 마을 사람들은 유독가스가 나오는 것을 막기 위해 구덩이에 불을 붙였다. 현재 그 불이 50년간 꺼지지 않고 있는 것으로 전해진다.

[관련기사]☞실검 전쟁, 이번엔 '나경원아들논문청탁'… 왜?태풍 파사이 맞은 日…"대지진 때보다 심해"삼성·LG 판정승 …中 5G 패권 야욕, 日 존재감 미미수산물 이어 공기압 밸브도… WTO 한일전 또 승리[속보] 애플, 최신형 '아이폰11' 공개…6만원 싸졌다
정단비 인턴 beforesunrise@mt.co.kr

<저작권자 ⓒ '돈이 보이는 리얼타임 뉴스' 머니투데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Copyright © 머니투데이 & mt.co.kr,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