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역사의 향기/표지석] <36>소의문(昭義門)터

김정욱 기자 2019. 5. 26. 17:58
자동요약 기사 제목과 주요 문장을 기반으로 자동요약한 결과입니다.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소의문은 조선 시대 사소문의 하나로 '서소문(西小門)'으로 불렸다.

태조 5년인 1396년에 지어진 소의문은 강화(인천)로 향하는 관문인 동시에 광희문(光熙門)과 함께 시체를 성 밖으로 옮기는 관문의 역할을 했다.

영조 20년인 1744년 문루가 완성되자 소덕문의 이름을 '소의문'으로 고쳤다.

일제강점기인 1914년 조선총독부 토목국이 도로 정비를 위해 소의문 철거 계획을 세운 뒤 같은 해 12월 철거됐다.

음성재생 설정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서울경제] 소의문은 조선 시대 사소문의 하나로 ‘서소문(西小門)’으로 불렸다. 그 터는 서울 지하철 2호선 시청역 9번 출구 인근에 있다.

태조 5년인 1396년에 지어진 소의문은 강화(인천)로 향하는 관문인 동시에 광희문(光熙門)과 함께 시체를 성 밖으로 옮기는 관문의 역할을 했다.

소의문이 건립될 당시의 이름은 ‘소덕문(昭德門)’이었다. 이때 문에는 문루가 없었다. 그것은 인근의 돈의문과 숭례문이 더 큰 역할을 했기 때문이었을 것으로 학자들은 추측한다. 영조 20년인 1744년 문루가 완성되자 소덕문의 이름을 ‘소의문’으로 고쳤다.

일제강점기인 1914년 조선총독부 토목국이 도로 정비를 위해 소의문 철거 계획을 세운 뒤 같은 해 12월 철거됐다. 철거 당시 소의문의 모습을 담은 사진 기록에 따르면 이 문은 성보다 약간 높게 석축(石築)을 쌓고 4면에 나지막한 벽돌담을 둘러 양옆에 출입문을 세웠다. /김정욱기자 mykj@sedaily.com

Copyright © 서울경제.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