철쭉류의 왕 소백산 철쭉 복원..영주시 1만3천 그루 심어

2019. 4. 16. 10:51
자동요약 기사 제목과 주요 문장을 기반으로 자동요약한 결과입니다.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경북 영주시가 소백산 철쭉 복원에 힘을 쏟고 있다.

16일 영주시에 따르면 소백산에 자생하는 철쭉은 3년이면 개화하는 다른 곳 철쭉과는 달리 7년 만에 꽃이 피는 낙엽성이다.

이에 따라 시는 소백산 철쭉 복원과 보전을 위해 2006년부터 중장기 계획을 세워 자생지 환경조사와 관리방안을 마련했다.

지난해까지 소백산 연화봉을 비롯한 철쭉 군락지 10곳과 탐방객이 많은 관광명소 주변에 9천50그루를 심었고 생존율이 평균 50%로 복원에 성공했다는 평가가 나온다.

음성재생 설정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7년 만에 꽃 피는 자생종..2006년부터 식재, 생존율 평균 50%
소백산 비로봉 정상 철쭉 군락지 [영주시 제공]

(영주=연합뉴스) 김효중 기자 = 경북 영주시가 소백산 철쭉 복원에 힘을 쏟고 있다.

16일 영주시에 따르면 소백산에 자생하는 철쭉은 3년이면 개화하는 다른 곳 철쭉과는 달리 7년 만에 꽃이 피는 낙엽성이다.

우리나라 고유 자생관목이며 영주를 대표하는 향토 수종으로 화색이 연분홍빛으로 선명하고 뿌리가 곧고 멀리 뻗어 선비 기개를 상징해 철쭉류 가운데 왕이라는 로얄 아젤레아(Royal Azalea) 라고 한다.

우리 민족 정서와 맞아 그 가치가 매우 높다.

그러나 기상환경 변화, 자연훼손 등으로 자생지 안에 소백산 철쭉 군락지가 줄어들고 있다.

이에 따라 시는 소백산 철쭉 복원과 보전을 위해 2006년부터 중장기 계획을 세워 자생지 환경조사와 관리방안을 마련했다.

또 국립공원소백산사무소와 업무협약을 체결해 공동으로 토양환경 개선을 위한 모니터링과 체계 있는 철쭉복원 기반을 구축해 증식과 식재에 나섰다.

지난해까지 소백산 연화봉을 비롯한 철쭉 군락지 10곳과 탐방객이 많은 관광명소 주변에 9천50그루를 심었고 생존율이 평균 50%로 복원에 성공했다는 평가가 나온다.

시와 국립공원소백산사무소, 영주산악연맹은 16일에도 순흥면 배점리 소백산 국망봉 남쪽 계곡 아래 초암사 탐방지원센터에서 초암사 구간에 4년생 철쭉 묘목 4천 그루를 심었다.

남방석 기술지원과장은 "철쭉 생태복원은 소백산 가치를 높이고 우리나라 토종 종자 맥을 잇는 것으로 가치를 인정받고 있다"며 "연구와 증식, 복원으로 철쭉 군락지로 잘 보전하겠다"고 말했다.

kimhj@yna.co.kr

☞ 노트르담 대성당 화재…숭례문 70대 방화범은 지금?
☞ 이승환 "세월호가 지겹다니요…당신들이 징글징글"
☞ 차명진 "세월호 유족, 징하게 해처먹어"…논란되자 삭제
☞ 윤지오 "머투, 洪회장 꽃배달 덮으려 몇십가지 거짓말"
☞ 갤럭시 폴드 공개…외신 "주름 있지만 거슬리지 않아"
☞ 故조양호 회장 조문 마지막날 마침내 모습 보인 이명희
☞ "백두산 분화징후 심각…폭발시 아이슬란드 천배 될수도"
☞ 대권잠룡의 부적절한 신체접촉…타인과 적정거리는?
☞ "초콜릿 먹었더니 난청이 예방되었습니다…진짜?"
☞ '2014년 4월 16일' 그날을 기억해야 하는 이유

▶연합뉴스 앱 지금 바로 다운받기~

<저작권자(c) 연합뉴스, 무단 전재-재배포 금지>

Copyright © 연합뉴스. 무단전재 -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