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0세 미만 10명 중 4명은 '알레르기 비염'으로 진료받는다

2019. 4. 15. 12:00
자동요약 기사 제목과 주요 문장을 기반으로 자동요약한 결과입니다.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비염은 중이염이나 부비동염, 인후두염을 동반할 수 있어 치료에 신경을 써야 한다.

15일 국민건강보험의 진료 데이터에 따르면, 2017년 건강보험 적용대상자 중 '혈관운동성 및 알레르기성 비염'으로 진료받은 환자는 총 689만명이었다.

정효진 국민건강보험 일산병원 이비인후과 교수는 "알레르기 질환은 어렸을 때 많이 생기고 나이가 들어감에 따라 증상과 빈도가 감소한다"며 "이런 경향 때문에 비염 진료환자 중 소아 비율이 높은 것으로 보인다"고 설명했다.

음성재생 설정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건강보험 빅데이터, "어릴수록 알레르기 반응, 증상 심해"
"황사와 미세먼지가 심한 날 마스크 착용으로 예방"
어린이 호흡기질환 [연합뉴스TV 제공]

(서울=연합뉴스) 신재우 기자 = 10세 미만 어린이 10명 중 4명은 알레르기성 비염'으로 한해 1번 이상 병원 진료를 받는 것으로 나타났다.

비염은 중이염이나 부비동염, 인후두염을 동반할 수 있어 치료에 신경을 써야 한다. 황사와 미세먼지가 심한 날에는 마스크를 착용해 알레르기 유발물질의 침투를 차단하는 게 좋다.

15일 국민건강보험의 진료 데이터에 따르면, 2017년 건강보험 적용대상자 중 '혈관운동성 및 알레르기성 비염'으로 진료받은 환자는 총 689만명이었다.

혈관운동성 및 알레르기성 비염은 외부 항원이 코점막을 자극해 발생하는 만성 염증성 질환이다. 맑은 콧물이 지속해서 흐르고 재채기, 코점막 부종, 코막힘 등이 주요 증상이며, 눈과 코, 목 주변의 가려움을 호소하는 경우도 있다.

10만명당 진료 인원은 1만3천530명으로 전체 건강보험 가입자의 13.5%가 진료를 받았다.

연령대별로 보면 9세 이하 38.4%, 10대 18.1% 순이었고, 20대 이상은 9∼12%대의 진료 비율을 보였다.

[건강보험공단]

성별로는 여성 환자가 남성보다 1.2배 더 많았다. 연령별로 나눠보면, 19세 이하에서는 여성과 남성이 비슷했으나, 30대는 여성이 1.7배, 20대는 여성이 1.5배로 큰 차이가 났다. 이 차이는 40대 이상으로 갈수록 줄어들어 70세 이상에서는 여성 진료 인원이 남성의 0.7배로 오히려 적었다.

정효진 국민건강보험 일산병원 이비인후과 교수는 "알레르기 질환은 어렸을 때 많이 생기고 나이가 들어감에 따라 증상과 빈도가 감소한다"며 "이런 경향 때문에 비염 진료환자 중 소아 비율이 높은 것으로 보인다"고 설명했다.

정 교수는 "여성은 생리 중이나 임신 시에는 혈중 에스트로젠 수치 변화로 심각한 코막힘, 수양성 비루 등의 증상이 심해질 수 있고, 폐경 후에는 역시 호르몬 변화로 비점막 위축이 있을 수 있다"며 "폐경 후 여성 비염 환자 감소는 이런 영향으로 보인다"고 말했다.

최근 5년(2013∼2017년)간 혈관운동성 및 알레르기성 비염 환자는 연평균 3.8% 증가했고, 이 중 9세 이하와 10대 청소년 진료 인원이 각각 연평균 5.2%, 5.8% 증가했다.

이 질병은 한국인 다빈도 질환 3위에 올라있는데 환절기인 4월과 9월에 특히 환자가 많이 생겼다.

정 교수는 "알레르기 질환은 '선진국병'이라고 불리는데 위생적인 환경에서 성장하는 소아, 청소년은 알레르기 질환에 취약할 수 있다"며 "여기에 공기순환 저하 등의 환경적 요인과 스트레스, 불안감, 피로와 같은 심리적인 요인이 복합적으로 작용해 환자가 많아졌을 것"이라고 분석했다.

알레르기 비염은 알레르기 유발 요소에 노출되지 않도록 하는 것이 중요하다. 비염은 자극 때문에 증상이 유발되기 때문에 금연은 물론 간접흡연도 유의해야 한다.

미세먼지, 황사, 꽃가루 등이 심한 날은 가능한 외출을 삼가는 것이 좋고 외출 시 마스크를 착용해야 한다. 또 집먼지진드기나 곰팡이 등의 알레르기 유발 요소를 제거하는 등 실내 환경을 잘 관리해야 한다.

withwit@yna.co.kr

☞ 윤지오 "머투 회장, 경찰수사 중 집에 꽃배달…무서웠다"
☞ 안철수, 오스트리아서 하프마라톤 완주…'수준급 기록'
☞ 친딸 살해해 복역 중인 70대, 조폭 동원해 가족 협박
☞ 지구상 가장 위험한 새 '화식조' 공격받은 남성 사망
☞ 아베, 후쿠시마 원전 방문서 방호복 대신 양복 입어
☞ '낙태 천국 될 것'이라고?…전문가에게 물어봤더니
☞ 성 추문·허리 수술 이겨낸 우즈 "나도 모르게 소리…"
☞ 어산지 체포에도 반려묘는 '무사'…검거 장면서 '딴청'
☞ 아무도 안쓰는 우표?…교도소에서는 '현금'
☞ "왜 안 만나줘?" 전 남친 오토바이 불 지른 20대女

▶연합뉴스 앱 지금 바로 다운받기~

<저작권자(c) 연합뉴스, 무단 전재-재배포 금지>

Copyright © 연합뉴스. 무단전재 -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