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악돌이 박영래의 만화산행 특별부록지도 코스가이드 | 원적산 천덕봉] '산 수유축제' 열고 호랑이 산신제 풍습 남아

글·사진 박영래 객원기자 2019. 4. 3. 10:29
음성재생 설정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천년고찰 영원사, 반룡송, 이천백송, 고인돌 등 볼거리 산재.. 여주 방면 새 등산로 찾아 볼 만
지형도상에 원적산으로 표기되어 있는 559.2m봉에서 북서쪽으로 마주보이는 천덕봉 정상. 왼쪽 앵자지맥 뒤 멀리로 보이는 산은 무갑산이다.
한남금북정맥이 남서쪽 금북정맥과 북서쪽 한남정맥, 두 갈래로 갈라지는 곳이 칠장산(492m)이다. 칠장산을 뒤로하는 한남정맥은 문수봉(403m)에서 수원 광교산(582m)으로 이어진다. 광교산에서 한남정맥과 헤어져 북으로 가지 치는 능선이 있다. 앵자지맥이다.
앵자지맥은 독조봉(432m)~해룡산(367m)~국수봉(427m)~넋고개~정개산鼎蓋山(475m)을 지난 다음, 원적산圓寂山 정상인 천덕봉天德峰(632.1m)을 들어올린다. 이후 앵자지맥은 북으로 방향을 바꿔 쇠시랑봉~554.8m봉~삼합리고개~남이고개~앵자봉으로 이어진다.
‘원적산’하면 가장 먼저 떠오르는 것이 있다. 바로 봄의 시작을 알리는 ‘산수유축제(이천 제5경)’이다. 남동쪽 산행들머리인 이천시 백사면 송말리, 도립리, 경사리, 일원에서는 산수유 꽃이 움트기 시작하는 3월 말에서 꽃이 만발하는 4월 초 사이에 산수유축제가 개최된다. 이 기간 중에는 산수유 관련 음식 시식, 전통놀이 등의 행사가 펼쳐진다.
원적산에는 산수유축제에 가려져 널리 알려지지 않은 ‘정개산 산신제’라는 조촐한 마을행사도 전해진다. 이 산신제는 옛날부터 마을의 안녕과 풍요를 기원하며 여신女神, 또는 암호랑이신神에게 제사祭祀를 지내는 행사이다. 이 외에 산자락에는 1,400여 년 전 창건된 고찰 영원사, 육괴정(향토유적 제13호), 낙수재, 할미바위 등이 볼거리다. 여기에다 이곳을 구경 안 하면 후회한다는 반룡송(천연기념물 제381호·이천 제6경), 이천백송(천연기념물 제253호), 지석묘(향토유적 제4호) 등 볼거리가 적지 않다.
원적산 천덕봉 정상비석.
원적산 천덕봉 등산코스는 정상 남동쪽인 백사면 송말리, 도립리, 경사리에서 오르내리는 경우가 가장 많이 이용된다. 이 방면에서는 송말1리 마을회관~영원사~5부 능선(559.2m봉 동북릉)~559.2m봉(지형도에 원적산으로 표기된 봉우리)~559.2m봉 북서릉~정상(지형도 상 천덕봉), 도립1리 마을회관~육괴정~낙수재~559.2m봉 남동릉~광금사 갈림길~559.2m봉~559.2m봉 북서릉, 경사1리 산수유벽화마을~낙수재~559.2m봉 남동릉~광금사 갈림길~559.2m봉 경유 정상에 오르고 내리는 코스들이 가장 많이 이용되고 있다.
경사리 서쪽 신둔면에서는 장동리, 도암리, 지석리, 남정리에서 북쪽 앵자지맥으로 이어지는 등산로들이 있다. 이 방면 등산로들은 산 중턱에 가로 놓인 둘레길과 연결되어 있다. 신둔면에서는 남정리 전철 경강선 신둔도예촌역을 들머리, 또는 날머리로 하는 코스가 원적산으로 접근하는 데 가장 편하다.
원적산 북쪽 광주시 곤지암읍 방면에서는 넋고개 북동쪽 동원대학교에서 앵자지맥~정개산(소당산) 경유 천덕봉에 오르는 코스가 대표적이다. 이외에 동원대학교에서 시계방향으로 봉현리~앵자지맥 정개산, 이선리~앵자지맥 옛고개(440.9m봉)로 이어지는 등산로들이 있으나 주로 마을 주민들이 이용하고 있다. 이선리에서 동북쪽인 유사리柳寺里와 삼합리三合里에서는 마을 동쪽 앵자지맥~554.8m봉(헬기장·주록리 갈림길)~쇠시랑봉(헬기장) 경유 정상(천덕봉)에 오르는 코스가 대표적이다. 그러나 이 방면은 북쪽 앵자봉과 이어지는 앵자지맥 종주산행을 하는 경우 말고는 등산로 이용도가 매우 낮은 편이다.
원적산 동북쪽 여주시 금사면 주록리走鹿里에서는 쇠머리봉 능선(일명 주록리 능선)~앵자지맥 554.8m봉~쇠시랑봉 경유 천덕봉에 오르는 코스가 대표적이다.
상기 코스들 중 산수유축제가 열리는 이천시 백사면 송말리, 도립리, 경사리, 전철 신둔도예촌역을 들머리로 하는 신둔면 남정리, 여주시 금사면 주록리 방면 등산로들을 시계방향으로 소개한다.
주차장에서 축대 위로 올려다 본 영원사 대웅전. 대웅전 오른쪽 소나무 뒤 건물은 약사여래좌상(향토유적 제 12호)이 안치되어 있는 유리보전
송말1리 마을회관~영원사~5부능선~559.2m봉 북동릉~559.2m봉~정상(천덕봉)〈약 4.5 km·2시간 30분 안팎 소요〉
영원사 들머리인 송말리松末里 일원은 농가 울타리나 논·밭두렁에 수많은 산수유나무들이 군락을 이루고 있다. 그래서 3월 말~4월 초에 온 마을을 뒤덮는 노란색 산수유 꽃물결을 보려는 나들이객들과 등산인들 발길이 끊이지 않는다.
영원사靈源寺는 신라 27대 선덕여왕 7년(638년) 해법선사海法禪師가 창건했다. 영원사 주차장 상단부 왼쪽 종무소 앞 은행나무는 고려 문종 22년(1068년) 혜거국사가 사찰을 중창한 기념으로 심었다고 전해 온다. 800년이 넘는 신령스런 노거목이다.
559.2m봉 직전 뒤돌아 본 559.2m봉 동북릉. 동북릉으로는 5부능선 안부(영원사 갈림길)~낮은매기고개~백고개 경유 주록리 방면 등산로가 이어진다. 멀리는 남한강과 여주시.
도립1리 마을회관~육괴정~낙수재~559.2m봉 남동릉~559.2m봉~559.2m봉 북서릉~정상(천덕봉)〈약 4 km·2 시간 안팎 소요〉
도립리道立里는 조선 개국시 무학대사(1327~1405)가 궁터를 정하려던 중 이곳을 지나다가 ‘서울이 될 수도 있는 곳인데 큰 강과 하천이 없어 아쉽다’며 ‘경기京畿 터’라고 불렀다는 전설이 전해진다.
도립리 중심 마을인 도립1리는 일명 ‘산수유마을’로 불릴 정도로 산수유 분포도가 송말리보다 한 수 위이다. 도립1리 산수유마을은 동원대학교 남서쪽 넋고개를 시발점으로 하는 ‘걷고 싶은 둘레길’ 종점이다. 둘레길 길이는 10.5km에 달한다.
낙수재落水齋 들머리인 육괴정六槐亭(향토유적 제13호)은 조선 중종 14년(1519년) 기묘사화로 조광조趙光祖를 중심으로 이상정치를 추구하던 신진사류新進士流들이 크게 몰락, 이때 난을 피해 낙향한 엄용순嚴用順이 건립했다는 정자이다. 육괴정 옆에는 높이 15m에 밑동둘레 4.3m 규모인 수령 500년 되는 느티나무가 자라고 있다.
낙수재는 이 산에서 유일한 폭포지대이다. 낙수재 하단부 10m 높이 직폭 아래에는 제사祭祀를 지내는 큰 규모 제단이 있다. 10m 폭포 상단부 오른쪽으로는 얹힌바위가 보인다. 이곳 주민들은 ‘언진바위’라고 부른다. 언진바위는 옛날 나무하러 간 손자를 기다리던 할머니가 바위가 되어 할미바위로 불린다는 전설도 있다. 언진바위 상단부에는 약 60m 길이에 달하는 와폭이 있다.
559.2m봉 꼭대기 남쪽 약 50m 거리 절벽 중턱에는 한글로 ‘원적산 광금사’라는 현판이 있는 작은 사찰이 숨은 듯 자리하고 있다. 묘하게도 559.2m봉 광금사에서 북동쪽 직선거리로 약 1.4km 거리인 주록리 안산계곡 상류에 자리한 ‘광금사’와 절 이름이 똑 같다.
도립리 서쪽 경사1리 산수유벽화마을(큰 길 입구에 흰색 화강암 마을 안내석)에서 낙수재로 들어서는 등산로도 있다. 산수유벽화마을 서쪽에 천덕봉 예비군 동원훈련장으로 올라가는 도로가 있다. 이 도로 들머리에는 남쪽 방향으로 ‘이천 백송 1.8km→’라고 쓰인 푯말도 보인다. 이곳에서 북쪽 예비군 훈련장 방면 도로는 능선 위로 이어진다. 이 능선은 559.2m봉(지형도의 원적산) 남릉이다. 이 능선을 경계로 동쪽은 백사면, 서쪽은 신둔면이다. 신둔면에서 북쪽 앵자지맥 방면 등산로는 컬러지도 및 만화지도 참조.
낙수재 하단부 직폭. 지난겨울 눈이 워낙 안 와 갈수기가 길어져 폭포수가 메말랐다. 오른쪽 상단은 언진바위(일명 할미바위).
신둔도예촌역 뒤로 본 남정리 방면 앵자지맥(천덕봉 서남릉). 오른쪽 뾰족한 봉우리는 정개산이다.
신둔도예촌역~남정리~범바위약수~앵자지맥~정개산~정상(천덕봉) 〈신둔도예촌역 기점 약 9km·6시간 안팎 소요〉
남정리南井里라는 지명은 1519년 이곳으로 낙향한 성두문成斗文이라는 선비가 마을 남쪽에 우물을 파고 이름을 ‘남정’이라고 지은 데서 유래되었다고 전해진다.
남정리 코스는 마을주민들이 남정골 상류인 범바위약수터를 다니는 산책코스로만 알려져 있었다. 그랬던 남정리에 전철 경강선 신둔도예촌역이 생기면서 전철을 이용하는 등산코스로 각광받고 있다.
남정리에서 북쪽, 지석리에서는 북서쪽 방향으로 뾰족하게 올려다 보이는 산은 정개산鼎蓋山(475m)이다. 정개산에서는 옛날부터 지석리 주민들이 한 해 건너 격년제로 음력 2월 초하룻날에 ‘정개산 산신제’를 지내오고 있다. 정개산 산신은 과부인 암호랑이라고 전해진다. 그래서 제를 올릴 때 가장 큰 제물로 3세 내외의 건장하고 잘 생긴 수소牛를 잡아 제물로 올렸다고 한다. 아무튼 이렇게 암호랑이신에게 열심히 제사를 지내온 토박이 주민들은 ‘한국전쟁 당시 이곳 마을이 큰 피해를 받지 않았다. 전쟁에 참전했던 마을 주민 중 전사자가 한 명도 없었다. 그 이유는 정개산 산신령 도움’이라고 믿는 사람도 있다.
남정리에서 북서쪽 넋고개 너머는 광주시 곤지암읍 신촌리 동원대학교 정문 앞이다. 수도권에서 동원대학으로 운행하는 광역버스 종점이 대학교 정문 안쪽 약 300m 거리에 있다. 교내종점에서 버스를 내려 남쪽 20m 거리가 곧바로 앵자지맥이다. 그래서 버스편 교통이 편한 동원대 종점을 들머리로 이용하는 등산인들도 많다.
559.2m봉 정상 바로 남측 절벽 하단부 광금사.
옛날부터 과부 암호랑이신神에게 제사를 지내준다는 곳인 정개산 정상비석. 이곳 주민들은 소당산으로 부른다.
559.2m봉에서 동북쪽 아래로 내려다본 주록리 안산계곡. 계곡 끝머리는 금사저수지. 저수지 뒤는 여주시 방면. 왼쪽은 천덕봉 동북릉인 주록리능선. 능선 오른쪽 끝 뾰족한 봉은 쇠머리봉이다.
주록리~쇠머리봉~주록리능선(554.8m봉·동북릉)~554.8m봉~쇠시랑봉~정상(천덕봉) 〈약 3.8km·3시간 30분 안팎 소요〉
일명 사슴마을로 불리는 주록리走鹿里는 여주시 금사면에서 가장 서쪽 끝머리인 산으로 에워싸인 마을이다. 이 마을(이장 이대성)에는 등산을 좋아하는 모임인 산악회가 2개나 있다. 각각 회원 20여 명에 달하는 록진회(회장 박수정)와 사슴마을등산회(약칭 사등회·회장 김태철)가 그것이다. 이 두 산악회 회원들의 원적산 천덕봉 사랑은 대단하다. 이 산악회 회원들이 틈만 나면 원적산 천덕봉을 오르내리며 등산로들을 닦아놓았다. 특히 록진회에서는 2016년 6월 천덕봉 정상에 정상비석을 세우기도 했다. 록진회와 사등회 산악회원들의 노력에 더해져 최근에는 천덕봉 들머리(버스종점)에 여주시에서 원적산 등산안내도를 세웠다. 등산 안내도 오른쪽으로는 계류를 건너는 데크형 다리와 쇠머리봉~천덕봉으로 향하는 데크형 계단도 설치되어 있다.
삼각점(이천 24)이 있는 천덕봉 정상에서 조망은 사방으로 막힘이 없다. 우선 신둔 도예촌역 방면과 동원대학교 방면 서남릉인 앵자지맥이 첩첩산중을 이룬다. 앵자지맥 왼쪽으로는 신둔면 들판지대 뒤로 설봉산과 도드람산이 조망된다. 앵자지맥 오른쪽으로는 곤지암읍 뒤로 태화산~정광산~발리봉~백마산이 눈에 와 닿는다. 북서로는 광주시 번화가 일부가 보인다. 광주시 오른쪽으로는 무갑산~관산~앵자봉이 마주 보인다. 북으로는 양자산, 양자산 오른쪽으로는 남한강 건너 청계산, 유명산, 용문산과 백운봉, 백운봉 오른쪽으로는 주읍산~삼각산~고래산 등이 펼쳐진다. 동으로는 당산 관모산 줄리 뒤로 원주 치악산이 아른거린다.
남쪽 방면 조망은 천덕봉보다 559.2m봉이 더 시원하게 터진다. 559.2m봉에서 남으로는 이천 땅인 오갑산 뒤로 충북 충주 방면 보련산 국망봉이 하늘금을 이룬다.
주록리 사슴마을 등산회 회원들이 주록휴게소 앞에서 포즈를 취했다. 왼쪽 끝은 주록휴게소 안주인 정선숙씨.

교통

■ 동서울터미널→이천버스터미널 20분 간격(06:10~22:00)으로 운행. 요금 4,700원. 1시간 소요.
■ 강남고속터미널→이천버스터미널 20~30분 간격(06:00~22:30)으로 운행. 요금 4,700원. 1시간 소요.
■ 전철 판교역→이천역 20분 간격(05:30~ 23:21)으로 운행하는 여주행 경강선 이용. 판교역~이천역 35분 소요. 앵자지맥 정개산 경유 천덕봉으로 종주하는 경우 신둔도예촌역에서 하차, 남정리 들머리 경유 등산을 시작하면 된다.
■ 이천역→송말리 1일 5회(08:40, 11:15, 14:45, 17:25〔여기까지 23-8번 버스〕, 19:25〔23-82번 버스〕) 운행. 이 버스는 이천역 이후 이천터미널 경유함.
■ 송말리→이천역 1일 6회(06:30, 09:25, 12:05, 15:35, 18:15, 20:15) 운행. 이 시간은 하산 지점인 도립리 육괴정 앞 경유하는 시간임. 이후 이 버스는 송말 1리(영원사 입구) 경유 백사면 이천으로 운행.
■ 이천터미널→주록리 주록리는 당연히 여주 버스가 운행될 것으로 생각되지만, 이천 버스가 1일 3회(08:30, 13:50, 16:30) 운행된다. 이 버스는 백사~이포 경유 주록리 휴게소 앞까지 운행 후, 들어갔던 코스를 역으로 다시 이포~백사 경유 이천으로 나간다.
■ 주록리→이천 1일 3회(09:20, 14:30, 17:20) 운행.
택시
■ 신둔도예촌역→송말리 영원사 편도 8,000원. 송말리나 도립리로 하산, 택시를 부르는 경우 콜비 없음. 이 경우 택시로 먼 거리인 이천역 또는 버스터미널로 가지 말고 가까운 거리인 신둔도예촌역으로 나와 판교행 경강선 전철 이용이 편하다. 이천 행복콜택시 대표전화 031-631-2200.

식사 및 숙박(지역번호 경기도 031)

■ 경사리 일원 낙수재와 육괴정 들머리 (↑육괴정 380m 푯말) 왼쪽 두메산골 (632-4261), 두메산골에서 서남쪽 약 1km 거리 산수유벽화마을 입구 ‘경사골 가게’를 겸한 식당(017-255-4397), 초밥식당 등 세 곳이 있다.
■ 도립리 일원 도립 1리 마을회관 앞 산수유사랑채에서 4월 30일까지 순 햇산수유로 만든 산수유환山茱萸丸을 판다. 문의 이천산수유마을영농조합(010-4434-2104).
■ 남정리 일원 남정 1리 마을회관 동쪽 등산 들머리에 푸른정원(634-0812), 남정식당(635-1107), 정개산 쉼터(634-5400) 등이 있다. 남정리로 하산, 신둔도예촌역 이용, 귀가 길에 이용하기 괜찮은 식당들이다.
■ 주록리 일원 버스종점과 가까운 거리인 주록휴게소(010-2881-9266·이창훈), 안산계곡 안쪽 옹달샘 펜션(010-9506-2549), 주록계곡 별천민박(883-7356), 대산펜션(010-8448-9690), 하늘마당(881-6867), 청정계곡민박(881-4341) 등 이용. 주록휴게소 안주인 정선숙(010-9938-9266)씨는 사슴마을 등산회 회원이다. 주록휴게소에서는 고구마, 땅콩, 찰옥수수, 쌀 등 직접 생산한 농산물들을 직판한다.
산수유축제 문의 백사면 도립리 일원 031-644-8512.

- Copyright ⓒ 조선일보 & Chosun.com -

Copyright © 월간산.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