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주3.1운동' 신흥학교 승강장, 100주년 기념 '탈바꿈'

이승석 2019. 2. 27. 17:04
자동요약 기사 제목과 주요 문장을 기반으로 자동요약한 결과입니다.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전북 전주지역 3.1운동의 역사현장인 신흥중·고등학교 인근 버스승강장이 '3.1운동 100주년'을 기념하는 공간으로 조성됐다.

시는 27일 완산구 중화산동1가 신흥중·고 앞 시내버스 승강장에서 김승수 전주시장과 박병술 전주시의회 의장, 이강안 광복회 전북지부장, 신흥중·고 교직원, 지역주민 등 30여명이 참여한 가운데 '3.1운동 100주년 기념 승강장 제막식'을 가졌다.

음성재생 설정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사진=전주시

【전주=이승석 기자】전북 전주지역 3.1운동의 역사현장인 신흥중·고등학교 인근 버스승강장이 ‘3.1운동 100주년’을 기념하는 공간으로 조성됐다.

시는 27일 완산구 중화산동1가 신흥중·고 앞 시내버스 승강장에서 김승수 전주시장과 박병술 전주시의회 의장, 이강안 광복회 전북지부장, 신흥중·고 교직원, 지역주민 등 30여명이 참여한 가운데 ‘3.1운동 100주년 기념 승강장 제막식’을 가졌다.

3.1운동 100주년 기념승강장이 위치한 신흥중·고는 1919년 3.1운동 당시 학교법인 호남기독학원에서 세운 전주신흥학교 학생들이 학교 지하실에서 태극기와 독립선언서 등 인쇄물을 만들어 3.1 독립만세운동을 펼쳤던 곳이다.

이날 공개된 3.1운동 100주년 기념승강장에는 전주지역에서 활동 중인 예술작가의 손길로 만든 3.1운동의 이야기를 담은 상징조형 작품이 설치됐다. 승강장 위에 설치된 이 작품은 생텍쥐페리의 소설 ‘어린왕자’를 모티브로, 3.1운동을 이끄는 신흥인들을 바라보며 마음속에 무언가 차오르는 느낌을 받는 어린왕자를 표현했다.

또, 승강장에는 신흥고에서 제공한 3.1운동 관련 역사기록 사진과 시대변천에 따라 변화된 태극기의 모형도 전시된다.

뿐만 아니라 승강장에 도착하는 전주시내버스에는 ‘1919년 3.1운동 당시 신흥학교 학생들이 식민지배에 항거하여 학생운동을 일으킨 곳입니다’라는 안내방송이 송출돼 시민들에게 전주지역 3.1운동의 역사성과 독립정신을 알리는 상징공간이 될 것으로 기대된다.

승강장 내부에는 버스를 기다리는 시민들이 잠시나마 미세먼지를 피할 수 있도록 공기청정기와 에어커튼 등이 설치됐다. 미니도서관와 음수대, 탄소발열의자, 교통카드잔액표시기, 라디오스피커 등 각종 편의시설도 갖춰 복합 쉼터형 공간으로 조성됐다. 시는 장애인과 노약자 등 교통약자도 편리하게 버스를 이용할 수 있도록 저상버스 승강장으로 개선하고, 장애인 알림표시벨과 표시등도 설치했다.

시는 3.1운동 100주년 기념승강장 위치가 신흥 중·고와 전주기전대, 예수대에 재학 중인 학생, 인근 신일아파트 주민 등 많은 시민들이 이용하는 만큼, 시민들에게 3.1운동의 역사적 의미를 되새기는 소중한 공간으로 자리매김 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김승수 전주시장은 “3.1정신과 역사정신은 어느 유적지에만 묻혀 있는 게 아니고, 하루의 삶을 시작하고 마무리하는 버스 승강장 등 시민들의 일상 속에도 담길 수 있다”며 “100년 전 오늘 어린 학생들과 종교인, 지식인 등 시민들이 자유와 평화를 향한 간절한 마음으로 조국의 독립을 외치며 분연히 일어났던 이곳에 세워진 3.1운동 100주년 기념 승강장이 3.1운동의 정신을 되새기고, 오늘의 시대정신을 담아 새로운 100년 희망찬 미래를 여는 공간이 될 것”이라고 강조했다.

한편, 시는 이날 제막식에 이어 오는 3월 9일에는 종교계와 시민사회단체 등으로 구성된 전주313위원회와 함께 전주 3.1운동100주년 기념행사를 열 계획이며, 3.1운동 100주년을 계기로 한 일재잔재 청산계획의 첫 신호탄으로 대표적인 일제 잔재물인 다가교 석등도 이날 제거할 예정이다.

2press@fnnews.com 이승석 기자

※ 저작권자 ⓒ 파이낸셜뉴스. 무단 전재-재배포 금지

Copyright © 파이낸셜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