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강희의 맛있는 술 이야기>술 한 말에 시 백 편 썼다는 이백

기자 2019. 1. 14. 14:20
자동요약 기사 제목과 주요 문장을 기반으로 자동요약한 결과입니다.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우리나라와 중국은 고대사와 관련돼 대립하는 부분이 있지만 그만큼 오랜 역사를 자랑하는 나라들이다 보니 교류를 통해 서로 비슷한 점이 많다.

술이 깨기를 기다리던 현종은 정신을 차린 이백에게 시를 지어달라고 했는데, 이때 술을 한 말 정도는 마셔야 시흥을 느껴 시를 쓸 수 있으니 다시 취하게 해달라는 이백의 말에 현종은 어이가 없었다.

어쩔 수 없이 다시 취하도록 술을 마시게 한 뒤 이백에게 시를 짓게 했다.

음성재생 설정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우리나라와 중국은 고대사와 관련돼 대립하는 부분이 있지만 그만큼 오랜 역사를 자랑하는 나라들이다 보니 교류를 통해 서로 비슷한 점이 많다. 그중 하나가 누룩을 사용해 술을 빚었다는 점이다. 그리고 종류는 조금씩 다르지만, 쌀로 술을 빚었다. 우리가 알고 있는 중국술은 주로 증류로 만든 높은 알코올 도수의 배갈인데 그전에는 발효주를 만들어 마셨다. 중국은 영토가 넓어서 술을 빚을 때 쓰는 쌀과 누룩, 물이 지역마다 차이가 있었다. 발효과정에서 생긴 지역별 온도의 차이는 더욱 다양한 맛을 냈고 지역의 이름을 붙인 명주로 이어졌다.

이러한 중국의 전통 발효주를 황주라고 하는데 황주를 너무나도 사랑해 술에 취한 상태로 황제에게 불려가 시를 지은 사람이 있었다. 술을 좋아해서 술 한 말에 시 100편을 썼다는 이야기가 있을 정도의 문장가다. 그는 이름이 높다 못해 시선(詩仙)으로 불리는 인물로, 우리에게는 이태백이라는 이름으로 익숙한 이백이다. 시를 지을 때 특별한 고민을 하지 않고 자유롭게 입에서 나오는 대로 읊으며 시를 한 번에 지었다고 한다. 동시대에 살며 쌍벽을 이뤘던 열한 살 어린 두보가 글자 한 자에 정성을 쏟고 시구 한 구에 고민했던 것과 대조된다. 이러한 자유분방한 성향은 도교에 관심을 갖는 데 영향을 준다.

이백이 짓는 시와 문장이 뛰어나다 보니 당나라 황제였던 현종의 사랑을 받았다. 하루는 현종이 이백을 찾았는데 그를 궁궐에서 찾을 수가 없었다. 모두 이백을 찾았지만 보이지 않았고 이백을 발견한 신하가 간 곳은 결국 술집이었다. 대낮부터 술에 취해 자고 있는 상태로 발견된 것이다. 이백이 너무 취한 상태임을 알고 현종은 술이 깰 때까지 쉬게 했다. 술이 깨기를 기다리던 현종은 정신을 차린 이백에게 시를 지어달라고 했는데, 이때 술을 한 말 정도는 마셔야 시흥을 느껴 시를 쓸 수 있으니 다시 취하게 해달라는 이백의 말에 현종은 어이가 없었다. 어쩔 수 없이 다시 취하도록 술을 마시게 한 뒤 이백에게 시를 짓게 했다. 현종은 양귀비와 정원을 거닐다가 이백을 부른 것인데 적절하게 취해 시흥이 살아난 이백은 양귀비의 아름다움을 칭송한 청평조(淸平調)라는 시 세 수를 지었다. 시에서 한나라 성제의 황후인 조비연과 꽃을 빗대 양귀비의 아름다움을 표현했다. 문제는 이 시에 나오는 조비연이었다. 조비연은 황제의 사랑을 받다가 나중에는 동생에게 사랑을 빼앗기고 품행도 바르지 못해 황실을 어지럽힌다는 죄를 얻어 서인으로 강등까지 되는 비운의 여인이다. 현종의 총애를 받던 내관인 고력사는 이러한 내용을 이백이 지은 시에 연결시켜 양귀비를 저주한 것이라고 모함을 한다. 예전에 이백이 술에 취해 고력사에게 자신의 신발을 벗기라고 한 적이 있었는데, 그 일을 마음에 두고 있던 고력사는 이때를 기회 삼아 양귀비를 꼬드겨 이백을 모함해 궁궐에서 쫓겨나게 한 것이다. 문벌귀족사회였던 당나라에서 시골 출신으로 별다른 힘이 없었던 이백은 결국 관직에서 물러났다.

이백은 달을 좋아했다고 한다. 달에 관한 시도 썼지만 얼마나 달을 좋아했는지 강물 위에 비친 달을 건지려다 물에 뛰어들어 죽었다는 거짓 전설이 있을 정도다. 세상을 바꾸고 싶었으나 뜻을 펼치기 쉽지 않은 세상을 살았던 이백에게 자신을 묵묵히 봐주던 달은 술친구로서 제격이었을 것이다. 중국의 시문학을 이야기할 때 중국뿐만 아니라 우리나라에서도 이백이 빠지지 않고 언급된다.

술칼럼니스트

[문화닷컴 바로가기|문화일보가 직접 편집한 뉴스 채널|모바일 웹]

[Copyrightⓒmunhwa.com '대한민국 오후를 여는 유일석간 문화일보'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구독신청:02)3701-5555/모바일 웹:m.munhwa.com)]

Copyright © 문화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