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자를 한글처럼 입력하는 '일중자판'앱, 2018 서울국제발명전시회 참가

동아닷컴 최용석 기자 2018. 12. 7. 10:37
자동요약 기사 제목과 주요 문장을 기반으로 자동요약한 결과입니다.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대구 유망중소기업 일일디지털인쇄(대표 황보 영)가 지난 6일부터 오는 9일까지 서울 삼성동 코엑스 전시장에서 열리는 '2018 서울국제발명전시회'에서 '일중자판'앱을 선보인다.

한편, 대구출판산업단지에 입주해 있는 일일디지털인쇄는 40년간 인쇄출판만 고집해오다 한자로 된 문서 작성이나 한자의 기록문화를 위해 쉽고 빠른 한자 직접입력 시스템의 필요함을 느끼고 사내 부설연구소를 설립해 10여 년의 연구 끝에 '일중자판' 앱을 개발했다.

음성재생 설정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사진제공=일일디지털인쇄
한자획 26개 키보드 배치로 모든 한자 입력 가능

대구 유망중소기업 일일디지털인쇄(대표 황보 영)가 지난 6일부터 오는 9일까지 서울 삼성동 코엑스 전시장에서 열리는 ‘2018 서울국제발명전시회’에서 ‘일중자판’앱을 선보인다.

‘일중자판’은 표의(表意)문자인 한자 특성상 디지털 시대에 맞지 않다는 편견을 깨고 한글처럼 손쉽게 입력이 가능한 한자입력 앱이다. 26개의 알파벳 키보드에 한자 획을 하나씩 배치해 모양을 보고 그리듯이 ‘한자 획’을 조합하면 글자가 완성되는 직접 입력방식을 사용하여 번체, 간체, 약자를 모두 입력할 수 있다.

지금까지 한자의 입력프로그램은 로마자로 한자의 병음을 타자하여 맞는 한자를 간접적으로 선택하는 ‘병음 방식’과 직타 방식인 ‘오필자 방식’을 주로 사용하고 있다. ‘병음 방식’은 발음을 영어로 쓰기 때문에 노년층엔 불편함이 많고, ‘오필자 방식’은 200여개 부수를 암기해야 하는 어려움이 있으며, 3,500자 이상의 경우에는 한자 사전을 일일이 찾아봐야 하는 불편함이 있다.

그러나 ‘일중자판’은 병음을 모르거나 부수를 암기하지 않아도 되므로 비한자문화권 사람들도 함께 쓸 수 있으며 병음을 몰라도 쉽고 빠르게 입력할 수 있다는게 회사측의 설명이다.

‘일중자판’앱은 지난 9월 29일에 막을 내린 ‘2018 대만 국제발명전시회’에서 20개국 704점의 발명품들을 제치고 금상과 은상에 이어 ‘스페셜 어워드’까지 수상한 바 있다.

업체측은 “일중자판 앱을 현재 구글(플레이스토어)에서 무료로 다운로드할 수 있지만 중국에서는 구글, 네이버 등이 차단되어 있어 중국 사이트 ‘바이두’에 다시 올리려고 준비 중이다. 2019년에는 다양한 편의기능을 추가한 업데이트 유료버전을 선보일 예정이다”고 밝혔다.

또한 “내년 중으로 IOS 방식에도 적용할 예정이며, 한자학습 프로그램과 PC용 프로그램 개발도 병행해 범용성을 높여 중국과 20억 한자문화권 인구를 겨냥하겠다”고 포부를 밝혔다.

한편, 대구출판산업단지에 입주해 있는 일일디지털인쇄는 40년간 인쇄출판만 고집해오다 한자로 된 문서 작성이나 한자의 기록문화를 위해 쉽고 빠른 한자 직접입력 시스템의 필요함을 느끼고 사내 부설연구소를 설립해 10여 년의 연구 끝에 ‘일중자판’ 앱을 개발했다. 현재 모바일 족보와 한자를 연구하는 ‘말과글자연구소’, 기획 및 편집디자인을 맡은 부설연구소를 두고 있으며 일반인 12명과 장애인 12명이 운영하는 장애인표준사업장이다.

동아닷컴 최용석 기자 duck8@donga.com

[☞ 동아오토 바로가기]

Copyright © 동아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