종로 고시원 화재 전기난로 발화 추정..대부분 '부주의' 탓

2018. 11. 9. 19:31
자동요약 기사 제목과 주요 문장을 기반으로 자동요약한 결과입니다.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7명의 사망자를 낸 서울 종로구 관수동 국일고시원 화재가 전기난로에서 처음 발생한 것으로 추정되면서 날씨가 추워지는 시기 전기난로 사용에 주의가 필요하다는 지적이 나온다.

9일 소방청 국가화재정보센터에 따르면 전기난로·스토브에서 비롯된 화재는 수년째 매년 200건 이상 발생하고 있다.

올해 발생한 201건은 모두 실화로 분류됐는데, 이 가운데 부주의에 의한 화재가 97건으로 가장 많았다.

경찰에 따르면 국일고시원 화재도 거주자가 켜둔 전기난로에서 시작됐다.

음성재생 설정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종로 국일 고시원 화재 조사 시작 (서울=연합뉴스) 홍해인 기자 = 9일 오전 화재가 발생한 서울 종로구 관수동의 국일 고시원. 간판 바로 왼편이 2층 비상구. 새벽 시간 발생한 화재로 7명이 사망하고 11명이 다쳤다. hihong@yna.co.kr

(서울=연합뉴스) 황재하 기자 = 7명의 사망자를 낸 서울 종로구 관수동 국일고시원 화재가 전기난로에서 처음 발생한 것으로 추정되면서 날씨가 추워지는 시기 전기난로 사용에 주의가 필요하다는 지적이 나온다.

9일 소방청 국가화재정보센터에 따르면 전기난로·스토브에서 비롯된 화재는 수년째 매년 200건 이상 발생하고 있다.

2014∼2015년에는 각각 161건이던 전기난로·스토브 화재는 2016년 214건으로 늘었고, 2017년에는 219건을 기록했다. 올해는 현재까지 201건을 기록해 이미 200건을 넘어섰다.

올해 발생한 201건은 모두 실화로 분류됐는데, 이 가운데 부주의에 의한 화재가 97건으로 가장 많았다. 전기적 요인으로 불이 난 사례도 60건 있었으나 부주의에 의한 화재와 비교하면 3분의 2에도 못 미친다.

전기난로 [연합뉴스TV 제공] 사진은 기사 내용과 직접적인 관련 없습니다.

2012년 10월에는 전북 정읍의 내장사에 놓인 전기난로에서 불꽃이 시작돼 대웅전이 모두 불에 타고 불화(佛畵) 3점과 불상 1점이 소실된 바 있다.

경찰에 따르면 국일고시원 화재도 거주자가 켜둔 전기난로에서 시작됐다. 301호 거주자 A(72) 씨는 새벽에 전기난로를 켜고 화장실에 다녀온 뒤 난로에 불이 붙은 것을 목격했다고 경찰에 설명한 것으로 전해졌다.

한 전문가는 "누전에 따른 사고가 아닌 한 전열기구에서 발생하는 화재는 모두 근처에 있는 가연성 물체에 불이 옮겨붙으면서 발생한다"며 "난로 가까운 곳에 물건을 두지 않도록 각별한 주의가 필요하다"고 당부했다.

jaeh@yna.co.kr

☞ 애플, 일부 아이폰X 터치스크린 오작동 인정…"무상교체"
☞ 고시원 화재 희생자父 "내가 돈 있었다면 아파트 사줬을텐데…"
☞ 싱글대디 김승현, 오늘 '여성'부 장관 만나는 이유는?
☞ 프로야구 한국시리즈 5차전 시구에 배우 구혜선
☞ '최태원 SK회장에 악성 댓글' 누리꾼, 고소 취하로 처벌 면해
☞ 고속도로서 구급차 길 안 열어준 BMW 차량
☞ 개·고양이에 물린 상처, 바로 꿰매면 안되는 이유
☞ 시험문제 유출이라니…수시 믿어도 되나요?
☞ 필리핀 '사치의 여왕' 이멜다에 최고 77년형 선고
☞ 비트코인 회사에 '파이프폭탄' 소포 보낸 남성에 징역형

▶연합뉴스 앱 지금 바로 다운받기~

<저작권자(c) 연합뉴스, 무단 전재-재배포 금지>

Copyright © 연합뉴스. 무단전재 -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