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평화상 모디 인도 총리 선정 논란 "전두환에 평화상 준 꼴"

이보라·최미랑 기자 2018. 10. 25. 16:49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경향신문] ㆍ시민단체 “무슬림 학살자”
ㆍ재단 “경제정책 높이 평가”

나렌드라 모디 인도 총리(68·사진)가 ‘2018 서울평화상’ 수상자로 선정되면서 논란이 일고 있다. 그가 극단 힌두교도의 무슬림 학살인 ‘고드라 사건’ 책임자라는 지적이 잇따르면서 평화상 수상자로 부적합한 인사라는 비판이 나온다.

서울평화상문화재단은 24일 모디 총리를 ‘2018 서울평화상’ 수상자로 선정해 발표했다. 심사위원회는 “모디노믹스(모디 총리의 경제정책)를 통해 인도와 세계 경제 성장에 기여하고, 빈민과 부유한 사람들 사이의 사회경제적 격차를 줄였다”며 수상 이유를 밝혔다.

시민사회단체들은 모디 총리가 고드라 사건에 책임이 있는 반인권 인사라며 그의 수상에 반발했다. 국제민주연대와 아디, 팔레스타인평화연대, 아시아평화인권연대 등은 26일 오전 11시 서울 송파구 서울평화상문화재단 앞에서 항의 기자회견과 항의 면담을 할 예정이다.

이들 단체는 “모디 총리가 2002년 인도 구자라트주에서 힌두 극우세력에 의한 무슬림 학살로 무려 수천명이 살해당했던 비극의 책임자라는 사실을 서울평화상문화재단이 알고 있었는지 묻고 싶다”고 했다. 또 이번 수상자 선정을 두고 “여성과 난민을 비롯한 소수자 인권을 위해 헌신해온 역대 수상자들을 모욕하는 잘못된 결정이다. 모디 총리가 정치적으로 내세운 경제성장 이면에는 기업들을 위한 자유로운 해고와 노조탄압이 자리 잡고 있다. 모디 총리는 평화상과는 전혀 어울리지 않는 사람”이라고 말했다. 나현필 국제민주연대 활동가는 25일 경향신문과의 인터뷰에서 “학살 경력을 가진 사람에 대해 어떤 이유로든 평화상을 주는 것은 기본적으로 말이 안된다고 생각한다”며 “‘서울’ 이름이 들어간 상을 준다는 것 자체가 촛불혁명을 일으킨 대한민국의 이미지를 불필요하게 훼손하며 국제사회에 망신을 줬다”고 말했다.

시민사회단체들은 심사 주체와 과정에도 의문을 제기했다. 이들은 “서울평화상문화재단 이사장인 권이혁씨는 전두환 정권 시절에 문교부 장관을 지냈으며, 최정호 교수는 친일파를 옹호하는 칼럼으로 물의를 일으킨 인물”이라며 “단 한 명의 여성이나 인권 및 평화 전문가 없이, 반인권적이고 반평화적인 행보를 걸어온 인사들이 주축이 된 수상심의위원회가 ‘서울’과 ‘평화’라는 이름을 추락시키는 어처구니없는 결정을 내린 것에 한국 시민사회는 깊이 분노한다”고 했다. 트위터에도 “전두환이 평화상을 받았다는 소리(와 같다)” 같은 글이 올라왔다.

김승채 서울평화상문화재단 사무총장은 “모디 총리가 ‘과’도 있지만 ‘공’도 많다. 지하경제를 양성화해 13억 인구를 먹여살린 게 중요하다”며 “양국 간 경제협력 활성화도 중요하기 때문에 여러 가지가 고려됐다”고 밝혔다.

이보라·최미랑 기자 purple@kyunghyang.com

Copyright © 경향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