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립공원관리공단 단기 일자리 700개 급조..혈세 낭비"

2018. 10. 21. 15:33
자동요약 기사 제목과 주요 문장을 기반으로 자동요약한 결과입니다.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환경부 산하 기관이 정부의 단기 일자리 확대 지침을 따르고자 인력 규모를 급조해 보고했다는 지적이 제기됐다.

국회 환경노동위원회 소속 강효상 자유한국당 의원이 21일 환경부로부터 제출받은 자료를 분석한 결과, 정부의 단기 일자리 확대 지침에 따라 환경부 산하 국립공원관리공단 등은 846명의 연내 신규 채용 계획을 기획재정부에 제출했다.

음성재생 설정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강효상 "단기 일자리 확대 방안 재검토해야"..공단 "필요한 인력"
강효상 의원 [연합뉴스 자료 사진]

(서울=연합뉴스) 김승욱 기자 = 환경부 산하 기관이 정부의 단기 일자리 확대 지침을 따르고자 인력 규모를 급조해 보고했다는 지적이 제기됐다.

국회 환경노동위원회 소속 강효상 자유한국당 의원이 21일 환경부로부터 제출받은 자료를 분석한 결과, 정부의 단기 일자리 확대 지침에 따라 환경부 산하 국립공원관리공단 등은 846명의 연내 신규 채용 계획을 기획재정부에 제출했다.

특히 국립공원관리공단은 지난 4일 기재부의 단기 일자리 관련 요청을 접수한 뒤 국립공원별 인력 수요 조사도 하지 않고 700명 규모의 단기 일자리 확대 방안을 마련해 다음 날인 5일 기재부에 제출했다고 강 의원은 주장했다.

한국환경공단은 130명, 한국환경산업기술원은 10명, 국립낙동강생물자원관과 국립생태원은 각각 3명의 단기 일자리 연내 확대 방안을 세웠다.

국립공원관리공단이 기재부의 예산 지원 시 추가로 고용할 700명은 산불감시원 290명, 국립공원 청소인력 290명, 해양쓰레기 수거 인력 120명이다.

이들은 최대 2∼3개월 고용돼 현장에서 업무를 할 것으로 전해졌다.

올해 초 공단이 채용계획을 세운 이런 단기 일자리 495명 가운데 400명은 채용이 끝났지만, 아직 95명이 남았다.

공단이 연내 남은 2개월간 새로 채용해야 하는 인원은 모두 795명에 달하는 셈이다.

공단이 급조된 단기 일자리를 확대하기 위해서는 약 27억원의 예산이 필요하다.

공단의 지난해 당기 순손실이 55억600만원을 기록하는 등 매년 적자를 면치 못하는 상황에서 추가 예산을 투입해 무리하게 단기 일자리를 늘리는 것은 부적절하다고 강 의원은 지적했다.

강 의원은 "적자에 허덕이는 공공기관까지 무리하게 일짜리를 급조하려고 한다"며 "국민 혈세 누출을 막기 위해 해당 기관장들은 단기 일자리 확대 방안을 전격 재검토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이에 국립공원관리공단 측은 "계절적으로 건조하고 낙엽이 지는 가을, 겨울에는 산불감시원이나 청소 인력 수요가 많다"며 "해양쓰레기는 그동안 사실상 방치돼 있었다. 이번 기회에 깨끗하게 수거하는 것이 좋다고 판단했다"고 해명했다.

ksw08@yna.co.kr

☞ '헤어진 뒤 잘 지내 보여'…살인미수로 끝난 비뚤어진 사랑
☞ 공지영 "김부선과 통화 녹취 발췌 게시자 고소"
☞ 온몸이 멍들어도 '맞았다' 말할 수 없는 아이들
☞ 동덕여대 '알몸남 촬영장소' 소독·경비강화
☞ 류현진, 한국인 선발 투수 최초로 WS 마운드 간다

▶연합뉴스 앱 지금 바로 다운받기~

<저작권자(c) 연합뉴스, 무단 전재-재배포 금지>

Copyright © 연합뉴스. 무단전재 -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