노화랑 청전과 소정展·금강경 사경 결사 회향전

2018. 9. 9. 11:49
자동요약 기사 제목과 주요 문장을 기반으로 자동요약한 결과입니다.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청전과 소정은 비슷한 시기에 태어나 서양화 대신 한국화를 택했다.

두 사람은 안중식과 조석진에게 그림을 배워 교유했으며, 때로는 경쟁하고 때로는 격려하면서 한국화단의 지평을 넓혔다는 평가를 받는다.

전시에는 청전과 소정이 종이에 수묵담채 기법으로 그린 그림 약 20점이 나왔다.

노승진 노화랑 대표는 "청전은 우리 가슴속 한구석에 아련한 향수로 남은 풍경을, 소정은 발걸음으로 현장을 찾아보고 난 감흥을 각각 화선지에 옮겼다"고 설명했다.

음성재생 설정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청전 '하경산수'. [노화랑 제공]

(서울=연합뉴스) 박상현 기자 = ▲ 서울 종로구 관훈동 노화랑은 10일부터 20일까지 청전(靑田) 이상범(1897∼1972)과 소정(小亭) 변관식(1899∼1976) 작품을 소개하는 기획전 '청전과 소정'을 개최한다.

청전과 소정은 비슷한 시기에 태어나 서양화 대신 한국화를 택했다. 두 사람은 안중식과 조석진에게 그림을 배워 교유했으며, 때로는 경쟁하고 때로는 격려하면서 한국화단의 지평을 넓혔다는 평가를 받는다.

전시에는 청전과 소정이 종이에 수묵담채 기법으로 그린 그림 약 20점이 나왔다.

노승진 노화랑 대표는 "청전은 우리 가슴속 한구석에 아련한 향수로 남은 풍경을, 소정은 발걸음으로 현장을 찾아보고 난 감흥을 각각 화선지에 옮겼다"고 설명했다.

그는 1980년대 초반까지만 해도 한국화 혹은 동양화 전시가 많았지만 지금은 그 관심이 줄었다고 아쉬워하면서 "이런 현상은 한국 미술계를 더욱 좁게 만들 것"이라고 말했다.

[전통사경연구원 제공]

▲ 전통사경연구원은 고려 건국 1천100주년을 맞아 종로구 갤러리 아리수 전시장에서 '금강경' 사경(寫經·손으로 경전을 베껴 쓰는 것) 결사 회향전을 연다.

김경호 연구원장 지도로 강경애, 김명림, 박경빈, 박계준, 방태석, 송명숙, 윤경남, 이경자, 행오 스님, 허유지, 흥암 스님이 불교 경전인 금강경 사경에 참여했다.

금강경과 개인 작품을 포함해 30여 점을 볼 수 있다. 전시는 11일까지.

psh59@yna.co.kr

☞ 아이돌 'B.A.P' 멤버 20대 여성 강제추행 혐의 입건
☞ 이별을 말한 순간, 애인의 폭력이 시작됐다
☞ 손흥민 혹사 논란…외신 "손흥민에게 휴식을"
☞ 메르스 방역체계 '구멍'…검역대 통과 4시간만에 의심환자로
☞ 태평양 쓰레기 섬에 '청소기' 띄운다…24세 청년 프로젝트

▶연합뉴스 앱 지금 바로 다운받기~

<저작권자(c) 연합뉴스, 무단 전재-재배포 금지>

Copyright © 연합뉴스. 무단전재 -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