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펫피] '동물확대범'들의 무참한 '확대' 릴레이

이선명 기자 57km@kyunghyang.com 2018. 7. 19. 16:36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동물확대’가 유행이다. ‘동물학대’가 아니다. 반려동물의 새끼 때 모습과 확연히 큰 크기로 자란 현재의 모습을 비교해 공유하는 누리꾼들의 놀이다. 반려동물을 새끼 때부터 애지중지 키워 온 반려인들의 자부심이 담겨 있다.

사회관계망서비스(SNS) 트위터를 중심으로 ‘#탐라배_동물확대범_대회’ 태그를 붙여 ‘확대’된 동물들의 모습을 공유하는 유행이 인적이 있다. 개, 고양이부터 거북이, 새까지 ‘동물확대범’의 적나라한 ‘역변’이 공개됐다. 그중 가장 뜨거운 관심을 받은 게시물들을 소개한다.

이웃집의 백호 @corcorgiBH 사회관계망서비스 트위터 캡처

온 몸을 덮었던 이불은 이제 엉덩이를 가리기도 힘들다. ‘백호’라는 이름을 가진 이 웰시코기는 50만 팔로워를 갖고 있는 ‘유명견’이다.

린 @Rin_lovelycat 사회관계망서비스 트위터 캡처

놀랍게도 같은 인형이다. 인형이 줄어든 것 마냥 같은 무늬와 새끼 때의 얼굴을 간직한 고양이가 놀라울 따름이다.

로코쑈 8/3 8/8 ㅅ당근 @siotDangdang. 사회관계망서비스 트위터 캡처

자연의 법칙은 냉혹한 듯하다. ‘아리’라는 강아지는 함께 살고 있는 친구의 의사는 중요하지 않은 듯 훨씬 더 커버렸다. 굴러 들어 온 돌이 박힌 돌을 빼냈을 것이라는 염려도 잠시, 몸을 맞대고 곤히 잠을 자고 있는 모습을 보니 안심이 된다.

유나유나 @humidhater 사회관계망서비스 트위터 캡처

‘냥줍’(길고양이를 집에 데려와 키우는 행위)한 뒤 잠시라도 방심하면 ‘동물확대범’이 된다. 글쓴이는 “왼쪽 아이를 비오는 날 얼떨결에 주워 키우다 보니 오른쪽이 됐다”고 적었다.

로데?ロデ @craftyprince 사회관계망서비스 트위터 캡처

작은 그릇에 들어갔던 햄스터는 손으로 잡기 힘들 만큼 확대됐다. ‘톰’보다 큰 ‘제리’의 탄생이다. 글쓴이 따르면 수의사조차 “햄스터가 맞느냐”고 묻는다.

오냐&오구네 @poipoi_js. 사회관계망서비스 트위터 캡처

확대됐다는 표현보다는 ‘비대’해졌다는 표현이 맞는 듯 하다. 그래도 얼굴의 무늬는 선명히 남아 있다.

안녕 꼼지 @HI_GGOMJI 사회관계망서비스 트위터 캡처

글쓴이는 “반찬통에 들어 갔던 시절도 있었는데…”라고 한탄했다. 반찬통에 들어갔던 앙증맞은 모습은 온데간데 없고 반찬통을 반찬처럼 씹어 먹을 기세다. 평온하게 이불을 덮고 낮잠을 자는 포즈 자체가 이미 ‘어른’이다.

루FFI @luffy050505 사회관계망서비스 트위터 캡처

확대범의 잔인한 배려에 귀여움은 사라졌지만 우정은 그대로다.

몬티 @montythewelsh 사회관계망서비스 트위터 캡처

게시물을 올린 확대범은 이미 깊게 뉘우치고 있다. 그는 “동물확대가 죄라면 나는 무기징역”이라며 자수할 의사를 밝혔다.

메인트윗-황남이 임보&분양 중)버찌누나 @dochi_cherry 사회관계망서비스 트위터 캡처

고슴고치도 확대범의 확대를 받았다. 화도 조금 난 듯 보인다.

모찌 @mochi0210 사회관계망서비스 트위터 캡처

확대의 가장 큰 묘미는 ‘고양이’에 있는 듯하다. 무참히 확대되도 얼굴은 그대로인 경우가 많다.

<이선명 기자 57km@kyunghyang.com>

Copyright © 스포츠경향.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