창호 성능·디자인 내맘대로 고른다

최영희 2018. 7. 8. 17:03
자동요약 기사 제목과 주요 문장을 기반으로 자동요약한 결과입니다.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소비자의 디자인 취향과 필요한 성능에 따라 자신만의 차별화된 창호를 선택할 수 있는 고객 맞춤형 창호 시대가 왔다.

인테리어업계 한 관계자는 "국내 인테리어 B2C 시장이 성장하면서 'DIY' 제품을 찾는 소비자들이 늘어나는 등 집 인테리어를 통해 자신의 취향과 색깔을 드러내려는 사람들이 늘고 있다"며 "획일적인 디자인과 성능보다는 소비자의 니즈에 맞게 자신만의 제품을 꾸밀 수 있는 고객 맞춤형 서비스가 업계 전반에 더욱 확대될 것"이라고 내다봤다.

음성재생 설정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LG하우시스 옵션 카탈로그, 이건창호 건축 투어 행사
KCC 인테리어 플래너 배치
창호업계 소비자 취향따라 고객 맞춤형 서비스 강화
소비자들이 LG하우시스 지인스퀘어에서 고단열 창호를 살펴보고 있다.

소비자의 디자인 취향과 필요한 성능에 따라 자신만의 차별화된 창호를 선택할 수 있는 고객 맞춤형 창호 시대가 왔다.

기업소비자간거래(B2C) 인테리어 시장이 빠르게 성장하고 개성을 드러낸 인테리어를 원하는 소비자들이 급격히 증가하면서 창호 시장에도 변화의 바람이 불고 있는 것이다.

8일 창호업계에 따르면 국내 창호업계 1위인 LG하우시스는 고객의 취향과 필요에 따라 디자인과 성능을 차별화 할 수 있는 고객맞춤형 '커스텀(Kustom)' 서비스를 강화하고 있다. 커스텀이란 패션 업계에서 유래한 용어로 기성 제품에 자신만의 색깔을 덧입혀 자신만의 차별화된 물건을 만드는 것을 의미한다. 지난해 20%를 훌쩍 웃돈 B2C 창호 매출 성장세를 올해도 이어가기 위해서다. LG하우시스는 이를 위해 에너지, 안전, 편의성 등 창호 옵션만 따로 정리된 창호 옵션 전용 카탈로그를 선보였다. 전용 카탈로그에서 잠금 표시 핸들, 안전 강화 방충망, 세이프 클로저, 유해먼지 저감 필터망 등의 창호 옵션들에 대한 기능과 디자인 관련 자세한 설명을 첨부, 창호 옵션에 대해 쉽게 이해하고 자신이 원하는 창호를 쉽게 구성할 수 있도록 했다.

LG하우시스 관계자는 "안전하게 창문을 닫을 수 있는 세이프 클로저, 미세먼지 등 공기 속에 함유된 미세한 유해물질의 실내 유입을 줄여줄 수 있는 유해먼지 저감 필터망, 3중 잠금 기능으로 어린이 추락사고를 방지할 수 있는 안전 강화 방충망 등이 소비자들에게 좋은 반응을 얻고 있다"고 말했다.

이건창호도 고객 맞춤형 전략에 공을 들이고 있다.

이건창호의 직영 전시장인 '이건하우스'에선 각종 제품들의 구성, 핸들, 디자인, 패턴 등을 고객이 직접 조합하거나 비교해 볼 수 있는 연구실 컨셉의 이건랩(EAGON LAB)과 전문 컨설턴트로부터 견적 상담 및 시공 컨설팅을 받을 수 있다. 지난 4월과 5월 이건 오픈하우스는 건축주가 준공된 단독주택을 직접 방문해 건축가, 시공사, 인테리어 디자이너에게 설명을 듣는 건축 투어 프로그램도 진행한 바 있다. 오프라인만이 아니라 온라인 통합 브랜드몰 '이건스토어'에서도 맞춤 견적 서비스를 체험할 수 있다.

KCC는 서울 강남과 경기도 일산, 분당, 부산, 대구 등 전국 주요 지역에 홈씨씨인테리어 전시 판매장을 오픈하며 고객과 직접 소통할 수 있는 전시판매장 중심의 사업에 박차를 가하고 있다.

이 지역을 거점으로 인테리어 전문가인 인테리어 플래너를 각 현장에 배치해 고객 맞춤형 서비스 지원을 강화해 나가고 있는 것. 인테리어 플래너(IP)는 홈씨씨인테리어만의 차별화된 서비스다. 인테리어에 관심 있는 고객들을 직접 찾아가 상담은 물론 인테리어 견적, 계약, 시공은 물론 AS까지의 전 과정을 기획, 진행하는 신개념의 인테리어 전문가를 말한다.

인테리어업계 한 관계자는 "국내 인테리어 B2C 시장이 성장하면서 'DIY' 제품을 찾는 소비자들이 늘어나는 등 집 인테리어를 통해 자신의 취향과 색깔을 드러내려는 사람들이 늘고 있다"며 "획일적인 디자인과 성능보다는 소비자의 니즈에 맞게 자신만의 제품을 꾸밀 수 있는 고객 맞춤형 서비스가 업계 전반에 더욱 확대될 것"이라고 내다봤다.

yutoo@fnnews.com 최영희 기자

※ 저작권자 ⓒ 파이낸셜뉴스. 무단 전재-재배포 금지

Copyright © 파이낸셜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