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삼성 홈 loT' 첫 선..'빅스비+가전' 지능형 서비스

윤선훈기자 2018. 5. 17. 10:02
음성재생 설정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삼성전자, '빅스비'와 만나 진화된 제품·서비스 선봬

<아이뉴스24>

[아이뉴스24 윤선훈 기자] 삼성전자가 17일 지능형 어시스턴트 '빅스비'와 연계한 '삼성 홈loT'를 처음 선보였다.

삼성전자는 이날 서울 성수동 복합문화공간 에스팩토리에서 '삼성 홈IoT&빅스비' 미디어데이를 개최했다. 김현석 삼성전자 CE부문장(사장)은 "앞으로 AI 기술을 바탕으로 가전업계의 리더십과 판도를 빠르게 바꿔 나갈 것"이라며 포부를 밝혔다.

김 부문장은 "각 가정에 IoT가 확산되기 위해서는 개별 기기의 원격 제어, 기기간 연결성을 뛰어 넘어 사용자 개인에 맞춘 지능화된 서비스가 필수적"이라며 "그 동안 연구개발을 집중해 온 '홈IoT' 기술이 '빅스비'와 만나 더욱 진화된 제품과 서비스를 보여줄 것"이라고 강조했다.

삼성전자는 이를 위해 지난해 말 삼성전자의 모든 IoT 서비스용 클라우드를 '스마트싱스(SmartThings) 클라우드'로 통합·연동한 바 있다. 올해는 스마트싱스 앱을 출시해 삼성의 모든 IoT 제품을 간편하게 연결·제어할 수 있도록 했다.

'빅스비(Bixby)' 적용도 확대하고 있다. 삼성전자는 휴대폰 외에도 2018년형 TV·냉장고·에어컨·세탁기 등 주요 가전제품에 빅스비를 적용했고 향후 오븐과 로봇청소기 등 다양한 제품군에 확대한다는 계획이다.

올 하반기에는 삼성 제품뿐만 아니라 전구, 센서 등 제3자 기기까지 연동하고 제어할 '스마트싱스 허브'를 국내 시장에 도입해 소비자들이 다양한 스마트 기기들을 연결하는데 편의성을 제공할 예정이다. 스마트싱스 허브는 와이파이(Wi-fi)뿐만 아니라 지그비(ZigBee), 지웨이브(Z-Wave) 기반 기기도 연동 가능하다.

이근배 AI센터장(전무)는 이날 삼성전자의 AI 로드맵에 대해 설명했다. 이 전무는 "복잡한 환경에서 사용자를 이해하고 필요한 서비스를 선제적으로 제공하는 것이 AI 기술의 핵심"이라며 "삼성전자는 최고의 멀티 디바이스 경쟁력을 갖췄으며 고객 접점에서 축적된 사용자 이해도가 높아 AI 분야에 큰 강점을 가지고 있다"고 강조했다.

삼성전자는 2020년까지 모든 IoT 제품에 AI를 적용하고 '빅스비'를 중심으로 언어·시각·데이터 등 차세대 핵심 AI 기술을 강화할 계획이다. 이와 더불어 자체 AI 선행연구 조직을 확대하고, 우수한 기술과 인재를 보유한 연구기관이나 기업들과의 협업, 전략적 M&A도 강화할 예정이다.

◆삼성전자 주요 가전제품에 '빅스비' 적용…음성인식 활용 다양한 loT 서비스

이날 삼성전자는 패밀리허브·무풍에어컨·플렉스워시·스마트 TV 등 '빅스비'가 적용된 주요 제품들을 통해 실생활에서 경험할 수 있는 다양한 IoT 서비스를 선보였다.

패밀리허브의 경우 음성만으로 냉장고 보관 식품 리스트를 만들어 유효기간을 관리하고, 가족 구성원 목소리를 인식해 개별 일정을 알려주고, 거실 TV에서 보던 콘텐츠를 주방의 패밀리허브 스크린으로 이어볼 수 있다.

무풍에어컨은 자연어 명령을 인식해 '덥다'고만 말해도 평소 사용 패턴을 반영해 작동을 시작하고 날씨에 맞는 운전 모드를 추천해 주거나 전기 요금을 아끼는 방법도 제시한다.

플렉스워시 세탁기는 옷감에 따라 최적의 세탁 코스를 추천하고 다양한 세탁 코스나 옵션에 대한 설명을 상세히 제공하며, 제품에 문제가 발생했을 때 원인과 해결 방안에 대해서도 대화 형식으로 알려준다.

QLED TV는 음성명령으로 TV 조작이 가능하며 '스마트싱스 클라우드'에 연동된 모든 IoT 기기들을 손쉽게 제어하고 정보 검색도 할 수 있다. TV를 보면서 냉장고 안의 식재료를 확인하거나 '유튜브에서 스파게티 요리법 찾아줘' 같은 명령도 수행한다. 또 사용자의 시청 이력을 분석해 사용자가 선호하는 콘텐츠를 추천해주고 각 콘텐츠별 최적화된 화질도 제공한다.

하나의 음성 명령만으로 여러 제품을 동시에 제어하는 솔루션도 주목받았다. 이를테면 "하이 빅스비, 나 집에 왔어"라고 말하면 에어컨· 공기청정기·조명이 동시에 켜지고 작동 중이던 로봇청소기는 충전용 거치대로 복귀하는 식이다.

또 위치기반 기술 중 하나인 '지오펜스(Geofence)'를 활용해 집과 가까워졌을 때 에어컨을 미리 작동시킬지 사용자에게 확인하는 '웰컴쿨링(Welcome Cooling)' 기능도 호평받았다.

김현석 부문장은 "빅스비와 함께 삼성전자의 제품과 서비스가 더욱 강력해진 것을 쉽게 느낄 수 있을 것"이라며 "삼성전자의 차별화된 AI 기술이 소비자들의 생활을 편리하고 풍요롭게 하는데 기여할 것"이라고 말했다.

윤선훈기자 krel@inews24.com

▶프리미엄 뉴스서비스 아이뉴스24
▶연예스포츠 조이뉴스24, 생생한 라이브캐스트
[ⓒ 아이뉴스24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Copyright © 아이뉴스24.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